• 제목/요약/키워드: bukhansan

검색결과 91건 처리시간 0.02초

산사태취약성 분석을 통한 북한산국립공원의 생태적 위험도 평가 (An Assessment of Ecological Risk by Landslide Susceptibility in Bukhansan National Park)

  • 김경태;정성관;유주한;장갑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7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산사태 발생인자들에 대한 공간정보를 구축하였으며, 중첩분석 및 합산평가 매트릭스분석을 이용한산사태 취약성 지도 및 생태적 위험 지표 작성을 통해 향후산사태 재해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사태 평가 인자로는 사면경사, 사면방향, 경사길이, 토양배수, 식생활력도(NDVI), 토지이용도가 선택되었으며, 공간데이터베이스는 $30m\times30m$ 해상도로 구축되었다. 분석결과, 우이동 및 도봉계곡 일대의 산사태 취약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생태적 위험도는 도봉계곡, 용어천계곡 및 정릉계곡, 평창계곡 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향후 이들 지역의 관리계획 수립 시 산사태 위험에 대한 영향도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역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평가 (Users' Evaluation for the Trail Structures in the Dobong District of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유기준;조우;조근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5-151
    • /
    • 2008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탐방로상 도입된 보행시설물에 대한 탐방객 평가를 통해 국립공원 탐방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관련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산국립공원 도봉지구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 250명을 대상으로 응답자직접기입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도봉 주능선 도봉지구에 설치된 6개의 보행 시설에 양적 질적 상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재데크 시설, 목재난간 시설, 돌깔기 시설이 기타 시설에 비해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이용편의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국 국립공원에서의 보행시설물의 도입에 있어 친자연적인 소재의 도입은 필수적이며 자원보호와 탐방편의의 기능과 함께 경관조화라는 시각적 효과의 고려가 필요하다.

지오태그 이미지를 활용한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미 평가 및 맵핑 (Assessing and Mapping the Aesthetic Value of Bukhansan National Park Using Geotagged Images)

  • 김지영;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64-7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지오태그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인지하는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미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에서 제시된 평가 방법은 크게 지오태그 이미지 데이터의 수집, 경관 이미지 식별, 조망대상 확률 지수를 적용한 누적가시도 분석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데이터로 사용한 램블러(Ramblr)는 국내에서 많은 이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아웃도어 활동 지원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로부터 북한산국립공원에 대한 총 110,954장의 지오태그 이미지를 수집하여 경관미 평가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지오태그 이미지들은 Google Vision API를 활용해 이미지의 내용을 해석하였으며,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서 전체 수집한 사진을 총 11개의 경관이미지 유형과 9개의 비경관이미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추출한 경관이미지를 바탕으로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 유형을 분석한 결과, 봉우리나 산맥과 같은 지형적 특성과 관련한 이미지 유형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 임내 경관, 단풍경관, 수경관이 주요한 경관 유형으로 발견되었다. 도출된 경관미 평가맵에서는 이러한 주요 경관 유형의 비중과 특성에 따라 표고 및 경사가 높을수록 전반적으로 높은 경관미를 보였다. 그러나 일부 저지대 및 완경사를 지닌 진입지역에서도 높은 경관미가 확인되었다. 또한 북한산 지역이 도봉산 지역보다 경관미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도봉산 지역의 경우에는 표고 및 경사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경관미가 확인되었다. 이는 경관미가 물리적인 환경 조건뿐만 아니라, 경관을 조망하는 탐방객들의 휴양 활동과도 크게 관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지오태그 이미지의 누적 가시도를 활용한 경관미 평가는 사람들의 인식에 기반한 경관적 가치를 지리적으로 이해하고, 그 편차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후 북한산국립공원의 경관 계획 및 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따른 탐방수요예측 및 관리비용 분석 (Estimating Demand and Additional Management Cost of National Park Considering Abolition of Entrance Fee)

  • 한상열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4호
    • /
    • pp.393-400
    • /
    • 2007
  • 본 연구는 국립공원 입장료 폐지에 따른 탐방 증가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이선선택형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하여 수요함수를 개발하고 탐방증가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탐방증가에 따른 추가적인 관리비용도 함께 산출하였다. 그 결과 입장료 폐지에 따른 국립공원의 탐방수요 증가량은 현재 탐방수요 수준보다 약 5.8%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국립공원별로는 북한산 9.0%, 계룡산 8.5%, 덕유산 8.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악산은 3.0%로 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18개 국립공원의 추가적인 총관리비용은 약 56억원으로 나타났고, 공원별로는 북한산이 약 14억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지리산 7억원, 다도해해상 5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북한산국립공원 탐방객 만족요인 및 예측모형 (Satisfaction Factors and Determinants of Visitors in Bukhansan National Park, Korea)

  • 백재봉;김동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3-11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북한산 국립공원을 방문한 207명의 탐방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방만족도, 만족요인과 예측모형을 분석하여 공원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만족도 분석결과, 불법야영, 취사행위, 바가지요금 등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는 것으로, 쓰레기문제, 혼잡, 탐방로 훼손, 문화시설부족 등에 대해서는 매우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요인분석결과 시설관리요인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모형에서는 자연자원 훼손, 문화 역사자원 힌손, 교통시설 부족 등의 변수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산 둘레길에서 참진드기의 계절적 발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 검출 (Seasonal Prevalence of Ticks at Bukhansan Dullegil and Detection of 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Virus)

  • 서장훈;전보영;;이인용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43-149
    • /
    • 2020
  • 2019년 4월부터 10월까지 북한산 둘레길 12구간(지축동), 14구간(울대리), 18구간(호원동)에서 참진드기를 채집해서 계절적 분포 조사와 매개체의 SFTS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였다. 천젓기와 천끌기 방법으로 개피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와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주된 매개체로 알려진 작은소피참진드기 3종이 채집되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는 채집비율이 지축동 91%, 울대리 94%, 호원동 98%를 차지하여 우점종이었다. 작은소피참진드기의 성숙단계에 따른 계절별 채집비율을 보면 성충의 경우 세 지역 모두 9월에 최고치를 보였고 약충의 경우에는 4월에서 6월 사이에 주로 채집되었다. 유충의 경우에는 9월과 10월에 최고치를 보였다. 채집된 작은소피참진드기 1,158개체를 성숙단계별로 2× OneStep RT-PCR과 nested PCR로 SFTS 바이러스 검사를 한 결과 양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2010년 개장 이후 이용객이 늘어나는 북한산 둘레길에서 기후 온난화로 증가가 예상되는 참진드기 매개 질환에 대한 위험분석과 효율적인 예방에 본 조사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북한산 산개나리의 자생지 내 상대 광량과 생리적 특성간 상관 관계 (Correlation Between Relative Light Intensity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rsythia saxatilis in Bukhansan Natural Habitats)

  • 한심희;김길남;김두현;김경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2호
    • /
    • pp.236-24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산식물이며, 희귀멸종위기식물인 산개나리의 유전자원 보존 및 복원을 위한 생육 환경 특성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광 조건을 가진 북한산 산개나리 개체군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산개나리 각 개체군의 광량은 전광의 10%에서 78%의 범위로 매우 다양하였다. 북한산 산개나리의 잎 길이, 잎 폭, 잎 면적 및 건중량은 광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잎 건중량과 면적의 비도 광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산개나리 잎의 엽록소 a와 b의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 모두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총 엽록소 함량과 카로테노이드 함량의 비는 전광의 10%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산개나리 개체군별 광합성 속도는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이 전광의 10% 개체군보다 2배 이상 높았으며, 기공전도도, 증산속도, 암호흡 속도 및 순양자수율도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산개나리 잎에서 측정한 총 비구조 탄수화물 함량은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전광의 10% 광량을 가진 개체군보다 1.5배 이상 높았으며, 총 수용성 당 함량도 전광의 78% 광량을 가진 개체군에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자생지에서 생장하는 산개나리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은 광량과 정의 상관을 가지므로, 낮은 광량에서 자라는 산개나리 개체군의 생장과 생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광량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