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rooftop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3초

옥상녹화공법의 배수층 구조별 식물생육 효과 (Effects of Drainage Types of Soil Media on the Plant Growing in Rooftop Planting)

  • 이은엽;문석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1-21
    • /
    • 2000
  • This study was aimed to establish different drainage types of soil media on the plant growing in rooftop. For this study, experiment plots were installed on the roof of Social Science building, Chongju University, from April, 1998 to September, 1999. (1) Sand and sandy loam as base and check soils, (2) vermiculite as a inorganic soil media (3) "humus sawdust" and "burned rice hull" as organic soil media were used by various mixing ratio Zoysia japonica,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L5B3S2 and L5H3S2 of bad drainage character with a plastic drainage plate combination caused good growth effect on Zoysia japonica examined in 3 types of drainage layer with 5 types of soil media. From this result, it could be suggested that combined design of plastic drainage plate with 2 soil types - L5B3S2 and L5H3S2 - be desirable composition for regarding weight load and plant growth.

  • PDF

대구광역시 저층주거지역의 옥상녹화 조성에 따른 주변 열환경 변화 모의실험 (Simulation of Changes in Nearby Thermal Environment According to Green Roof in Low-Rise Residential Area of Daegu)

  • 김대욱;정응호;차재규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45-53
    • /
    • 2013
  • It is important to secure green spaces to solve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which is among problems resulted by high-density developments in metropolitan areas. However, it is hard to secure such green spaces in established urban areas so Green Rooftop development approaches have recently been highlighted and introduced as a solution to the situation. The present study conducts a simulation on residential areas in urbanized regions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s of green rooftop developments through a comparison of changes in the air temperatures before and after relevant development project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when the green roof top development is conducted in the available areas, the temperature is reduced by 0.14 degree. The extension of green project to the entire building showed the reduction of the temperature by 0.29 degre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reen rooftop development is a practically solution for reducing the air temperature of urbanized areas.

여과재를 활용한 건물옥상유출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저감 (Reduction of Suspended Solids in First Flush from a Building Rooftop using Various Media)

  • 김성범;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14-219
    • /
    • 2017
  • 건물의 우수관에 연결하여 초기빗물의 부유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기 위하여 건물옥상 유출 빗물의 수질특성 변화를 파악하고 다양한 여재를 활용해 초기빗물의 부유물질 제거를 연구하였다. 건물옥상 유출빗물의 입자성 물질은 대부분 $10{\sim}30{\mu}m$의 크기로, 부유물질 농도는 강우시 초기 10~20분까지 높았고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옥상유출빗물의 용존성 유기물과 무기물의 농도도 유출 초기에 높게 나타났다. Anthracite (AC), Polyurethane (PU), Polypropylene (PP) 여재로 여과시 초기에 50%의 부유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나 20분 이상 여과시 제거율이 급격히 낮아졌다. 세척후 반복여과를 고려하면 AC 여재만 9회까지 재사용가능하였다. 여재층의 높이가 높을수록, 통과유량이 적을수록 시간에 따른 SS 제거율 감소폭은 적었고, 여재층 30 cm, 유량 12 L/min 이하로 운전할 경우 초기빗물(SS = 450 mg/L)의 SS 제거율 50%를 달성할 수 있었다.

건축물의 단열방수의 최적 공법및 구법 선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oice of the best method of construction for building insulation and waterproof)

  • 이성구;박태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654-658
    • /
    • 2006
  • 옥상방수의 기존 습식공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옥상마감 누름층을 기성 콘트리트 블럭으로 대체하여 시공함으로써 방수하자에 따른 과잉비용을 줄이고 증축이나 개보수시 자재의 재활용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옥상 외단열방수 건식화 공법에 대한 성능평가 항목 중 단열성능을 중심으로 실험을 통하여 종합적인 정량평가 및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향후 건식화 공법의 시공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건축물의 옥상단열방수에 있어서 발생되고 있는 하자의 원인분석 및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수많은 단열방수재료와 다양한 공법 가운데서 건축물의 요구 성능에 가장 적합한 선정방법을 단계별 주요인자의 중요도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건축물의 용도, 특성 및 중요도에 따른 공법, 구법 선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음영조건을 고려한 공동주택 옥상 태양광모듈의 배치계획 평가 연구 (Evaluation on the Photovoltaic Module Arrangement Planning Considering Shading Conditions in Apartment Buildings)

  • 이겨레;이윤선;임재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5호
    • /
    • pp.169-179
    • /
    • 2019
  • During the initial design stage of apartment complex, the photovoltaic(PV) system has been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of renewable energy system and planned to install at the rooftop floor level in general.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can be influenced by the block layout, building orientation and roof top structure because of azimuth angle, tilt angle, and partial shad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photovoltaic system in apartment buildings by considering the partial shading conditions due to the block layout, building orientation and roof-top structures. For the photovoltaic module arrangement planning in rooftop floor level, shading areas were firstly analyzed due to the adjacent building structure. And the annual and seasonal power generation of PV system were analyzed through the PVsyst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shading period at the roof top surface can be increased due to the parapet and water tank. Initial design power capacity can be decreased by considering the daily insolation period and distance between PV modules through the shading simulation. As the number of PV modules decreases, the annual power generation can be decreased. However annual power generation per unit area of PV modules can be increased and performance ratio can be increased above 80%. Also the power generation of PV system can be critically affected by building orientation and the performance ratio can be drastically decreased in east-oriented buildings due to the shading problems caused by adjacent structures at roof top level such as parapet and water tank.

Energy self-sufficiency of office buildings in four Asian cities

  • Kim, Jong-Jin
    • Advances in Energy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11-20
    • /
    • 2014
  • This paper examines the climatic and technical feasibilities of zero energy buildings in Seoul, Shanghai, Singapore and Riyadh. Annual and seasonal energy demands of office buildings of various scales in the above cities were compared. Using optimally tilted rooftop PV panels, solar energy production potentials of the building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estimates of onsite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building energy consumption, the energy self-sufficiencies of the test buildings were assessed. The economic feasibilities of the PV systems in the four locations were analyzed. Strategies for achieving zero energy buildings are suggested.

새로운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정합기법에 의한 3차원 선소추출 (3D Line Segment Detection using a New Hybrid Stereo Matching Technique)

  • 이동훈;우동민;정영기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3권4호
    • /
    • pp.277-285
    • /
    • 2004
  • We present a new hybrid stereo matching technique in terms of the co-operation of area-based stereo and feature-based stereo. The core of our technique is that feature matching is carried out by the reference of the disparity evaluated by area-based stereo. Since the reference of the disparity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number of feature matching combinations, feature matching error can be drastically minimized. One requirement of the disparity to be referenced is that it should be reliable to be used in feature matching.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disparity, in this paper, we employ the self-consistency of the disunity Our suggested technique is applied to the detection of 3D line segments by 2D line matching using our hybrid stereo matching, which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e generation of the rooftop model from urban imagery. We carry out the experiments on our hybrid stereo matching scheme. We generate synthetic images by photo-realistic simulation on Avenches data set of Ascona aerial image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racted 3D line segments have an average error of 0.5m and verify our proposed scheme. In order to apply our method to the generation of 3D model in urban imagery, we carry out Preliminary experiments for rooftop generation. Since occlusions are occurred around the outlines of buildings, we experimentally suggested multi-image hybrid stereo system, based on the fusion of 3D line segments. In terms of the simple domain-specific 3D grouping scheme, we notice that an accurate 3D rooftop model can be generated. In this context, we expect that an extended 3D grouping scheme using our hybrid technique can be efficiently applied to the construction of 3D models with more general types of building rooftops.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Using Wood Waste)

  • 김대영;김미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79-87
    • /
    • 2008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 곳곳에 인공구조물이 건설되면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녹지공간의 축소는 도시의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버려진 공간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녹화 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건물에 미치는 토양의 하중으로 건물에 부하되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경량성 녹화소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성 소재인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기반재를 제작하였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의 사용은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60 : 40으로 혼합하고 습윤지력증강제의 처리를 달리하였고, 보수력을 위해 표면사이즈제를 처리하여 각 처리 조건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5%의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한 식생기반재가 습윤 시 최대의 강도를 보였고, 표면사이즈제를 도포하지 않은 식생기반재에서는 도포한 것에 비해 높은 수분증발량을 보여 표면사이즈제가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흡수 시 두께변화는 1 mm 이하로 그 변화가 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6~8.25로 중성에서 약 알카리성으로 나타났다.

도심 수목이 분산형 주거 태양광에너지 잠재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rban Trees on Residential Solar Energy Potential)

  • 고예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1-49
    • /
    • 2014
  • 본 연구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시 수목 음영이 개별 건물 지붕 및 옥상에 입사되는 태양에너지 잠재량에 미치는 영향을 LiDAR를 이용한 고해상도 3차원 수치모델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정량화하였다. 최근 분산형 태양광 발전이 기후변화 대응에 중요한 부분으로 주목받고 있으나, 이러한 도심 태양광 발전은 주변부의 지형, 건물, 지붕모양, 수목 등의 음영에 의해 발전량이 제한되는 특성이 있다. 특히 건물 주변의 수목의 경우 도시열섬현상의 저감, 냉난방 에너지 수요량의 절감 등의 순기능과 태양광 발전량 감소의 역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두 가지 효용의 상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 대한 공간적 분석이 요구된다. 샌프란시스코시 전체 건물 지붕면적의 태양에너지 총량은 년간 18,326,671 MWh으로, 수목의 음영에 의한 감소량은 326,406 MWh로 총량의 1.78%에 해당하였다. 건물지붕의 단위 면적당 일조량은 $34.4kWh/m^2/year$에서 $1,348.4kWh/m^2/year$ 범위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심 수목에 의한 건물별 일조에너지 감소량의 공간자료가 구축되었으며, 개별 건물지붕에 일조량의 변이를 주변 수목의 밀도, 평균수고, 수고의 분산값을 이용한 회귀모델을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도심수목의 환경적 순기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태양광 발전 감소량의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도시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