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ilding fire safety

검색결과 644건 처리시간 0.026초

Beliefs of University Employees Leaving During a Fire Alarm: A Theory-based Belief Elicitation

  • Christopher Owens;Aurora B. Le;Todd D. Smith;Susan E. Middlestadt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4권2호
    • /
    • pp.201-206
    • /
    • 2023
  • Background: Despite workplaces having policies on fire evacuation, many employees still fail to evacuate when there is a fire alarm. The Reasoned Action Approach is designed to reveal the beliefs underlying people's behavioral decisions and thus suggests causal determinants to be addressed with interventions designed to facilitate behavior. This study is a uses a Reasoned Action Approach salient belief elicitation to identify university employees' perceived advantages/disadvantages, approvers/disapprovers, and facilitators/barriers toward them leaving the office building immediately the next time they hear a fire alarm at work. Methods: Employees at a large public United States Midwestern university completed an online cross-sectional survey. A descriptive analysis of the demographic and background variables was completed, and a six-step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open-ended responses was conducted to identify beliefs about leaving during a fire alarm. Results: Regarding consequence, participants perceived that immediately leaving during a fire alarm at work had more disadvantages than advantages, such as low risk perception. Regarding referents, supervisors and coworkers were significant approvers with intention to leave immediately. None of the perceived advantages were significant with intention. Participants listed access and risk perception as significant circumstances with the intention to evacuate immediately. Conclusion: Norms and risk perceptions are key determinants that may influence employees to evacuate immediately during a fire alarm at work. Normative-based and attitude-based interventions may prov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fire safety practices of employees.

스프링클러 작동특성(作動特性)과 피난평가(避難評價)에 관한 실증적(實證的) 연구(硏究) (An Empirical Study on the Sprinkler Operational Characteristics and Escape Time Estimation)

  • 진복권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7-50
    • /
    • 2006
  • The trends in building construction these days are moving towards having better work spaces and greater suitability for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refore people can work in a more relaxed delightful and pleasant environment. Accident such as like fire could cause the mass destruction of human beings.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path of the spread of a fire and the suitability of fire fighting appliances for maximum egress time. General advanced phase of compartment. Aswell, we analyzed and verified the path of the flame in compartment fires. Also we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adaptation of sprinkler systems concerned with sprinkler RTI. Moreover those evaluation is made more earlier by the development and use of computer simulation program and rapid progress to apply PBFD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고층 아파트 피난설계기준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연구 (A Study on Identifying Problem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Design Codes)

  • 황은경;서동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1권6호
    • /
    • pp.47-52
    • /
    • 2017
  • 최근 영국 그린펠타워 화재사건으로 인해 범정부차원에서 고층 건축물 화재안전대책이 다각적으로 모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피난기준을 도입하기 이전에 각 개별법령에 산재되어 있는 고층 아파트 피난기준 비교분석을 통하여 현행 피난기준의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향후 고층건축물 피난기준 개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고층건축물 피난관련기준은 크게 건축법, 주택법, 초고층 재난관리법, 소방 시설법 등이 있었으며, 이외에도 지방자치단체에서 별도 자체 기준을 마련하여 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요 피난기준을 비교분석한 결과 각 개별법령 관련 기준 상이, 법령규정이외 추가기준 운용, 피난기준의 실효성 등의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단일 건축물에 여러 가지 기준 적용시 나타나는 문제로, 향후 관련 기준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부처간 협의가 매우 시급하다.

양수발전소의 화재안전 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Safety Measure of Pumped Storage Power Plant)

  • 김유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25-130
    • /
    • 2006
  • 양수발전소는 여러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에너지를 심야시간에 남을 경우 잉여분의 전기를 이용하여 저지대의 물을 양수하여 고지대로 이동하여 필요시 물의 낙차 압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재생산하는 발전 설비이다. 전국의 양수발전소는 "전원개발에 의한 특례법 제6조"로 인한 건축물대장에 미 등재로 인하여 건축물이 아닌 구조물로 분류되어 인가와 완공까지 소방행정의 참여가 배제되어 소방시설허가가 필요치 않게 되어 왔다. 따라서 향후 전국에 운영 및 시설 중에 있는 양수발전소에 유사한 화재로 인하여 똑같은 피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원 개발에 의한 특례법 제6조"의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시설의 보완 그리고 안전관리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유사 피해를 최대한 막고자 한다.

수소가스사고의 피해범위 (Hazard Distance from Hydrogen Accidents)

  • 조영도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1
    • /
    • 2012
  • 수소가스의 제트 누출에 의한 확산, 화재, 그리고 폭발에 의한 위험 범위를 분석하고, 안전거리 기준을 설정하기 위한 위험거리를 확산, 화재, 그리고 폭발에 대한 단순한 예측 식들을 제시하였다. 핀홀에 의한 누출과 같은 소량 수소가스 누출속도에 있어서 피해거리는 제트누출 확산에 의한 피해거리가 제트화재에 의한 피해거리보다 크며, 압력의 제곱근에 그리고 누출 홀의 직경에 비례하고 이는 수 십 미터에 이른다. 배관의 완전 파손 또는 저장 탱크의 큰 홀 발생과 같은 대량의 수소가스 누출속도에서는 제트화재의 피해거리가 개방공간의 가스운 폭발에 의한 피해거리보다 크며, 수 백 미터에 이른다. 수소충전소와 건물과의 최소이격거리 즉 안전거리 설정 기준을 대량 수소가스누출 사고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다면, 도심지에 수소충전소는 안전거리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대량의 수소가스 누출사고를 안전장치들을 통하여 예방하고, 안전거리 기준을 소량의 수소가스누출사고 기준으로 설정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량누출 가능성이 있는 경우 학교와 병원 등 인구밀집 건물은 수 백 미터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여야 한다.

전통사찰 문화재의 화재안전 관리방안에 관한 고찰 (Fire Safety Administration Way of Tradition Buddhist Temple Cultural Heritage)

  • 신민섭;공하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119-124
    • /
    • 2008
  • 우리나라의 전통 사찰은 대부분 목조로 되어 있고 국가 중요 전통사찰의 건축 구조는 대부분이 목재로서 연소성이 높기 때문에 일단 착화되면 빠른 속도로 화재가 전파되고 산중에 있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사찰 문화재의 화재안전관리 개선방안으로 법 제도적인 측면, 건축방화적인측면, 재난 방재 기본 시스템구축 및 유관기관 합동점검, 훈련 등 예방활동 강화를 제시하였다.

  • PDF

건축물 계단에서의 연돌효과 저감방안에 대한 3차원 수치해석 연구 (Study on 3D Numerical Analysis of Stack Effect Reduction in Stairwell of Building)

  • 김정엽;김지석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7권3호
    • /
    • pp.152-157
    • /
    • 2015
  • Stack effect on high-rise building have negative effect on living environment, energy and life-safety aspect. Thus, it's necessary to find the measure to reduce the stack effect. As a result of field test on a 31-story building, a circulating type stack effect reduction technology was developed, which supplies air in the low stairs and discharges air in the high stair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is circulating type stack effect reduction technology on building stairs, a 3D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Momentum Loss Model for analyzing leakage flow between compartments in a building. Consequently, numerical analysis proved that the stack effect on building stairs was reduced by a circulating type stack effect reduction technology.

해저터널 구난역 열차화재시 압축공기포(Compressed Air Foam) 소화설비의 적용성 평가 실험 (Evaluation test of applicability of Compressed Air Foam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train fire at rescue station in Subsea tunnel)

  • 박병직;신현준;유용호;박진욱;김휘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5호
    • /
    • pp.413-418
    • /
    • 2016
  • 최근 한중, 한일 해저터널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구체화되고 있으며, 해저터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해저터널은 일반 지상터널에 비해 열차화재에 따른 대규모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기존의 일반터널 방재설계 이외에도 효율적인 소화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열차화재를 구난역에서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포 소화설비를 개량한 '압축공기포(CAF) 소화설비'를 활용한 실물 화재실험을 7차례 수행하였다. 실험은 가상의 터널에 구난역을 설치하고 KTX 열차의 1 량 규모의 가상열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압축공기포를 화원에 직접 분사한 경우에 햅탄(Heptane) 원료 30 L의 가연물을 1분 이내에 소화시켰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하여 해저터널 구난역 열차화재 소화설비에 압축공기 포 소화설비가 적합한지 확인하였으며, 해저터널 외에 일반터널에서도 CAF가 갖는 장점을 활용하여 빠르고 손쉬운 소화가 가능하도록 노즐 각도 및 설치위치 등을 변경하여 소화수와 소화약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추가로 실험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Modeling and simulation of large crowd evacuation in hazard-impacted environments

  • Datta, Songjukta;Behzadan, Amir H.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4권2호
    • /
    • pp.91-118
    • /
    • 2019
  • Every year, many people are severely injured or lose their lives in accidents such as fire, chemical spill, public pandemonium, school shooting, and workplace violenc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fate of people in an emergency situation involving one or more hazards depends not only on the design of the space (e.g., residential building, industrial facility, shopping mall, sports stadium, school, concert hall) in which the incident occurs, but also on a host of other facto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occupants' characteristics, (b) level of familiarity with and cognition of the surroundings, and (c) effectiveness of hazard intervention systems. In this paper, we present EVAQ, a simulation framework for modeling large crowd evacuation by taking into account occupants' behaviors and interactions during an emergency. In particular, human's personal (i.e., age, gender, disability) and interpersonal (i.e., group behavior and interactions) attributes are parameterized in a hazard-impacted environment. In addition, different hazard types (e.g., fire, lone wolf attacker) and propagation patterns, as well as intervention schemes (simulating building repellent systems, firefighters, law enforcement) are modeled. Next, the application of EVAQ to crowd egress planning in an airport terminal under human attack, and a shopping mall in fire emergency are presented and results are discussed. Finally, a validation test is performed using real world data from a past building fire incident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integrity of EVAQ in comparison with existing evacuation modeling too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