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ubbles

검색결과 879건 처리시간 0.026초

육상시추용 Mud treatment system의 유동특성 평가 (Evalu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of Mud Treatment System for Onshore Drilling)

  • 김승찬;전중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4권6_2호
    • /
    • pp.763-772
    • /
    • 2021
  • Drilling Mud Treatment Systems are widely used for Oil Gas drilling mud circulation,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mud recycling, geothermal drilling, mining, coal exploration drilling, water well drilling. Degasser is a device used in drilling to remove gasses from drilling fluid which could otherwise form bubbles. For small amounts of entrained gas in a drilling fluid, the degasser can play a major role of removing small bubbles that a liquid film has enveloped and entrapped. As with the desander, its purpose is to remove unwanted solids from the mud system. The smaller cones allow the desilter to efficiently remove smaller diameter drill solids. In this study, a simulation study is conducted on the degasser of the facility in the Mud Treatment System to conduct a performance review on the gas separation in the mud.

확산동기 증발에 의한 극저온 액체 과냉각 (Subcooling of cryogenic liquid by diffusion-driven evaporation)

  • 조남경;정상권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2-82
    • /
    • 2007
  • This paper relates to reducing the temperature of a cryogenic liquid by contacting it with gas bubbles, which can be characterized by diffusion-driven evaporative cooling, The characteristic of diffusion-driven evaporative cooling is thoroughly examined by theoretical. analytical and experimental methods specifically for the case of helium injection into liquid oxygen. The results reveal that if the gaseous oxygen partial pressure in helium bubbles is lower than the liquid oxygen vapor pressure, cooling occurs autonomously due to diffusion mass transfer. The method of lowering the injected helium temperature turns out to be very effective for cooling purpose.

DAF공정에서 개체군 수지를 이용한 기포-플록 응집체의 부상효율과 수리학적 부하율의 운전특성 평가 (Evaluation on Flotation Efficiency of Bubble-floc Agglomerates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Hydraulic Loading Rate Using Population Balance in DAF Process)

  • 곽동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1-540
    • /
    • 2008
  • The main advantage of dissolved air flotation (DAF) in water treatment process is the small dimens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gravity sedimentation and it can be basically reduced by the separation zone performed with the short solid-liquid separation time. Fine bubbles make such a short time possible to carry out solid from liquid separation as a collector on the course of water treatment. Therefore, the dimension of separation zone in DAF process is practically determined by the rise velocity of the bubble-floc agglomerates, which is a floc attached with several bubbles. To improve flotation velocity and particle removal efficiency in DAF proces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attach bubbles as much as possible to flocs. Therefore, the maximum number of attached bubble on a floc and the rise velocity of bubble-floc agglomerate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sign the separation zone of flotation tank in DAF process was simulated based on the population balance theory.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of this study, the size and volume concentration of bubble influenced on the possible number of attached bubble on a floc. The agglomerates attached with smaller bubble was more sensitive to hydraulic loading rate in the separation zone of DAF process. For the design of a high rate DAF process applied over surface loading 40 m/hr. it is required a precise further study on the variation of bubble property and behavior including in terms of bubble size distribution.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사리장엄구의 재보존처리 (Conservation of the Reliquary from the East Pagoda at Gameunsa Temple Site)

  • 박학수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3권
    • /
    • pp.59-69
    • /
    • 2012
  • 국립중앙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보물 제1359호 감은사지 동삼층석탑 사리장엄구 중 금동전각형사리기의 귀꽃이 2010년 11월에 분리된 것을 계기로, 금동사리기외함을 포함하여 2점의 재보존처리를 2011년 3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보존처리는 과도한 광택과 기포를 가진 코팅부위를 제거하고 인크랄락(Incralac)으로 재코팅 하는 과정과, 균열 부위와 분리된 귀꽃을 재접합 후 직조 유리 섬유로 보강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코팅과 접착제 부위가 가진 광택과 기포를 제거할 수 없는 부위는 소광(消光) 처리와 채색을 통해 광택과 기포가 눈에 적게 띄도록 하였다.

Clinical Analysis of Epidural Fluid Collection as a Complication after Cranioplasty

  • Kim, Seung Pil;Kang, Dong Soo;Cheong, Jin Hwan;Kim, Jung Hee;Song, Kwan Young;Kong, Min 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6권5호
    • /
    • pp.410-418
    • /
    • 2014
  • Objective : The epidural fluid collection (EFC) as a complication of cranioplasty is not well-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dictive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EFC as a complication of cranioplasty, and its outcomes. Methods : From January 2004 to December 2012, 117 cranioplasty were performed in our institution. One-hundred-and-six of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either having EFC, or not having EFC.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EFC.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using the t-test and chi-square test,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f the 117 patients undergoing cranioplasty, 59 (50.4%) suffered complications, and EFC occurred in 48 of the patients (41.0%). In the t-test and chi-test, risk factors for EFC were size of the skull defect (p=0.003) and postoperative air bubbles in the epidural space (p<0.001). In a logistic regression, th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EFC was the presence of postoperative air bubbles. The EFC disappeared or regressed over time in 30 of the 48 patients (62.5%), as shown by follow-up brain computed tomographic scan, but 17 patients (35.4%) required reoperation. Conclusion : EFC after cranioplasty is predicted by postoperative air bubbles in the epidural space. Most EFC can be treated conservatively. However, reoperation is necessary to resolve about a third of the cases. During cranioplasty,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when the skull defect is large, since EFC is then more likely.

아음속 유동장에 수직분사시 오리피스 내부유동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s of Orifice Internal Flow on Transverse Injection into Subsonic Crossflows)

  • 김정훈;안규복;윤영빈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8-39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캐비테이션과 수력튀김과 같은 유동 현상이 수직 분사된 액체 제트의 분열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오리피스 지름, 오리피스의 길이대 지름비, 오리피스 입구의 형상 그리고 배출 압력을 변화시켜가며 내부 유동 변화를 살피고 수직분사시 액주의 분열 거리와 제적을 구하여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곡률이 없는 경우(sharp edged)의 오리피스에서는 어느 정도 이상의 압력에서 모두 캐비테이션이 발생하였고 곡률이 없는 경우 중 길이대 지름비가 작은 오리피스에선 캐비테이션 성장에 의한 수력튀김(hydraulic flip)현상도 관찰할 수 있었다 수직분사시 캐비테이션이 성장할수록 그리고 수력튀김 현상이 나타날 때 액주의 분열거리는 상당히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곡률이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 모두 유량 계수를 고려한 유효지름과 유효 모멘텀 플럭스 비에 대해 거의 같은 궤적 형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2 가스 기포 누출 탐지 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tection techniques for CO2 gas bubble plumes)

  • 금병철;조진형;신동혁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9호
    • /
    • pp.1163-1169
    • /
    • 2014
  • $CO_2$ 가스 기포 탐지 기술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로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수층의 $CO_2$ 가스 기포 플룸을 다중빔음향측심기, 단일빔음향측심기 그리고 천부지층탐사기(SBP)를 이용해서 탐지 비교하였다. 인위적으로 발생시킨 기포의 상승속도는 가스 탱크에서 압축된 가스의 강제적인 누출이 영향을 미쳐 기존 자료보다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빔음향측심기는 단일빔 음향장비에 비하여 넓은 범위를 탐지할 수 있고 가스 누출 위치 및 수층에서 가스 플룸의 3차원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다중빔음향측심기는 단일빔의 음향장비 보다 더 뚜렷한 가스 플룸을 탐지할 수 있으나, 상호보완적으로 동시에 운영하면 보다 효과적인 탐지기술을 확립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는 특정가스의 음향학적 특징을 파악하여 정량적, 정성적 탐지 기술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난류전단 흐름에서의 기포응집에 관한 수치모의: 2. 모형의 적용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oalescence of Air Bubbles in Turbulent Shear Flow: 2. Model Application)

  • 전경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365-1373
    • /
    • 1994
  • 난류전단 흐름에서의 기포 크기분포를 예측하기 위하여 개발된 Monte-Carlo 모의모형을 실험실 크기의 문제에 적용하였다. 각종 모형 매개변수 및 물리적 변수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관측치와의 비교를 통하여 모형의 실제 적용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공기와 물의 유량비 또는 마찰계수가 증가함에 따라 기포의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가포의 크기는 작아지지만, 폭기구간내 기포의 총표면적은 거의 일정함을 보였다. 모형의 종방향 거리증분에 따른 기포 크기분포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횡방향 거리중분을 크게 할수록 기포가 크거나 작은 쪽으로 치우쳐 중간정도의 크기를 갖는 기포의 수가 감소하였다. 기포의 크기분포는 그 초기분포 및 공기의 주입위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포의 충돌과 응집을 구분하기 위하여 충돌효율을 도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