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ing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8초

버섯의 갈변 및 색도에 대한 전리에너지의 영향 (Browning end Color Characteristics in Mushrooms (Agaricus bisporus) As Influenced by ionizing Energy)

  • 권중호;변명우;조한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9-513
    • /
    • 1990
  • 백색종 양송이의 보존기간 연장을 위한 전리에너지 처리가 저장중 버섯의 갈변현상과 색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버섯의 갈변현상과 관련된 polyphenol성 화합물은 저장 중 $(9{\pm}1^{\circ}C,\;80{\pm}7%\;RH$, 20일간) 감소하였고 갈변색소는 저장 후 3일경부터 크게 증가하였으며, 이들의 증감현상은 2-3kGy의 감마선 조사로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포장된(종이상자와 PE) 버섯의 갓 및 줄기 부위의 표피와 내부조직에 대한 기계적 색도 측정에서 감마선은 처리직후 Hurter L값(백색도)의 감소와 a 및 b값(적색도 및 황색도)의 증가현상을 초래하였으나 저장 후 15일까지 버섯의 변색방지 효과를 뚜렷이 나타내었다. 이 같은 효과는 줄기에 비해 갓 부분에서 높았으며 조사선량(1-3kGy)에도 비례하였다.

  • PDF

치커리의 볶음처리에 따른 갈색화 특성 변화 (Changes on Browning Characteristics of Chicory Roots by Roasting Processes)

  • 권중호;홍미정;이기동;김현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1-595
    • /
    • 1998
  • 한국산치커리 뿌리의 식품학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하여, 묶음온도($120~180^{\circ}C$)와 묶음시간(10~40분) 을 달리하면서 치커리차의 품질에 관련된 갈색화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치커리추출물의 수용성 고형분함량은 묶음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낮은 온도에서는 다소 증가하였으나 묶음온도 $160^{\circ}C$ 이상에서는 서서히 감소하였다. 치커리 물추출물의 환원당함량과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묶음온도가 증가하고 묶음시간이 걸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치커리 추출액의 갈색도는 환원당 함량 및 아미노태 질소 함량과 반비례적으로 묶음온도가 증가하고 묶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였다. 또한, 치커리 분말시료의 기계적 색도로서 L 빛 b값은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음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전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과 ${\Delta}E$값은 볶음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 PDF

원적외선 건조방법이 황색종 잎담배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ar Infrared Curing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e-cured Tobacco)

  • 복진영;김상범;이종철;이철환;백순옥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1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obacco curing on far infrared light on the quality of flue-cured tobacco leave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uch as alkaloid, total sugar, total nitrogen, starch, total phenolic compounds, browning degrees, and color differences, in cured tobacco leaves were compared between hot air and far infrared curing meth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ugar/nicotine ratio and nitrogen number between the curing methods, while the contents of ether extract and filling capacity were increase by far infrared curing.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far infrared curing might be effective for high aroma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cured tobacco leaves.

  • PDF

광 파장이 표고 품종 산조 701호 균사의 갈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ght Wavelengths on the Mycelial Browning of Lentinula edodes Strain Sanjo 701ho)

  • 서동석;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63-73
    • /
    • 2019
  • 표고 균사체의 갈변은 균사배양체의 오염과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광과 광 파장이 표고 산조701호 품종의 균사체 갈변에 미치는 영향과 갈변 균사의 특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표고 균사체를 감자한천배지에서 암배양한 후 적색, 녹색, 청색의 색 셀로판 필터를 덥거나, 원적색(far-red), 적색, 녹색, 청색의 light emitted diode (LED)를 매일 14시간씩 40일간 비춘 후 균사배양체의 갈변 면적 비율(갈변율)과 갈변 균사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파장대 범위가 300~1,100 nm인 백색 형광등 빛은 세 가지 각각의 색 셀로판을 통과하면서 360~1,022 nm로 좁아졌고 각 파장별로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PPFD)는 42~71%가 감소하였다. 형광등 빛 처리로 균사체의 갈변율은 면적비율로 평균 64%였으나, 빛을 받지 않은 균사체의 갈변율은 5%에 지나지 않았다. 광 파장별로 표고 균사체의 갈변율은 원적색에서 0.02%. 적색에서 1.5%, 녹색에서 53.8%, 청색에서 57.3% 였다. 그리고 흰색의 미갈변 표고 균사는 세포벽이 $1{\mu}m$ 미만으로 얇고 원형질이 들어찬 생장하는 것이었다. 이에 반하여, 갈변층의 균사는 세포벽이 $2-4{\mu}m$으로 두껍고 세포 내용물이 없는 죽은 것으로 탄력이 없이 단단한 부정형의 구조체였다. 결론적으로 녹색~청색 파장의 빛으로 촉진된 표고 균사의 갈변층은 죽은 조직이지만 그 아래 내부 활력 균사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기능층이었다.

원료콩의 파종시기와 산지에 따른 재래식 간장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s of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 with Varying Soybean Seeding Periods and Regions of Production)

  • 강선희;이슬;고종민;황인경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61-769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soy sauces made with soybeans sown in different producing regions(Hadong, Paju) and in different seeding periods(late-May, mid-June, late-June). The total acidity, salt content, chromaticity, browning, amino nitrogen content and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the soy sauce samples were compared.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cidity level and the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soy sauce made with mid-June soybeans, and that these properties increased as the sauce aged. Salt conten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region of production. The reducing sugar content of Paju soy sauce was the highest in late -June, and for the Hadong region, highest in late-May. The sauce made with Hadong soy beans showed an increase in reducing sugar conte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aging period. Reducing sugar content in the samples of Paju soy sauce decreased up to 60 days of aging, but increased after this point. In Paju soy sauce, the brightness(L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id-June, and the Hadong variant it was higher in late -May. The yellowness(b value) at the beginning of the aging process was high in late -June for Hadong soy sauce, but overall it was higher in the mid-June period. The more matured soy sauce samples were darker and showed both higher a and b values. The browning was the lowest in the mid -June regardless of the regions and it increased with the aging period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regions. The salt, amino nitrogen contents, browning and yellownes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amples. In conclusion, the seeding period of soy beans may affect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ed soy sauce alongside the aging conditions.

저장기간에 따른 배 과실의 최소가공 특성 (Minimal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Asian Pears in Relation to Storage Duration)

  • 성종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2-277
    • /
    • 2003
  • ‘신고’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최소가공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형 과실의 저장 전과 $0^{\circ}C$에서 4개월 저장 후에 슬라이스를 제조하여 1$0^{\circ}C$에서 보관하면서 호흡량, 전해질 유출량, 총페놀 함량, 갈변도, 비타민C 함량 및 총균수를 각각 조사하였다 배 슬라이스의 제조 직후 무저장 과실보다 저장 과실로 만든 슬라이스에서 전해질 유출량, 총페놀 함량 및 갈변도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타민C 함량은 낮았다. 배 슬라이스의 보관 중에는 무저장 과실에 비해 저장과실로 제조한 슬라이스에서 호흡량이 높았으며 전해질 유출량, 갈변도 및 총균수가 보다 빠르게 증가하였고 총페놀함량은 보다 빠르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원형배의 저장기간이 최소가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최소가공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인자로 원형 과실의 저장기간도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간고등어 제조 및 품질 특성 (Characterizing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손진기;김옥선;조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3-169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alted mackerel prepared with deep seawater concentrate and salt. The quality of the salted mackerel product prepared with deep seawater was compared to that prepared with surface and intermediate seawater salts, sun-dried salt, and refined salt. After preparing the salted mackerel products using the five salts, the products were stored at $4^{\circ}C$ for 35 days. Quality characteristics compared were the acid value (AV), peroxide value (POV), lipophilic browning, volatile basic nitrogen (VBN), pH, viable cell count, and sensory factors. The deep seawater salted mackerel product had the lowest AV, POV, browning value, and viable cell counts, compared to the others, while it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sensory evaluation.

Occurrence of Internal Stipe Necrosis of Cultivated Mushrooms (Agaricus bisporus) Caused by Ewingella americana in Korea

  • Lee, Chan-Jung;Jhune, Chang-Sung;Cheong, Jong-Chun;Yun, Hyung-Sik;Cho, Weon-Dae
    • Mycobiology
    • /
    • 제37권1호
    • /
    • pp.62-66
    • /
    • 2009
  • The internal stipe necrosis of cultivated mushrooms (Agaricus bisporus) is caused by the bacterium Ewingella americana, a species of the Enterobacteriaceae. Recently, Ewingella americana was isolated from cultivated white button mushrooms in Korea evidencing symptoms of internal stipe browning. Its symptoms are visible only at harvest, and appear as a variable browning reaction in the center of the stipes. From these lesions, we isolated one bacterial strain (designated CH4). Inoculation of the bacterial isolate into mushroom sporocarps yielded the characteristic browning symptoms that were distinguishable from those of the bacterial soft rot that is well known to mushroom growers. The results of Gram stain, flagellal staining, and biochemical tests identified these isolates as E. americana. This was verified by pathogenicity,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of an analysis of the 16S rRNA gene sequences and the fatty acids profil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the isolation of E. americana from cultivated white button mushrooms in Korea.

감자에서 추출한 phenolics의 갈변화에 미치는 $\beta$carotene의 영향과 polyphenol oxidase 특성 (Effects of $\beta$Carotene on the Browning of Phenolics Extracted from Potato and Polyphenol Oxidase Characteristics)

  • 김미정;이창용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28
    • /
    • 1994
  • 한국의 민간요법에서 감자와 당근의 주스 혼합액이 위궤양의 치료에 사용되어져 왔다는 사실을 근거로 전보에서 당근이 감자의 갈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논문에서는 감자의 갈변을 저해하는 감자속의 어떤 물질의 효과를 배제시키기 위하여 감자에서 polyphenolics만을 추출하여 여기에 효소를 가한 뒤 당근을 첨가하여 갈변화를 측정하였고 감자의 PPO활성에 베타-카로틴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시료로 사용한 총 polyphenolics의 함량은 1. 854mg/g D.W.였고 PPO활성도는 100unit이였다. 감자에서 추출한 polyphenolics의 delta 'L'값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당근주스의 혼합액은 조금씩 감소하였다. Polyphenolics와 합성 베타-카로틴을 섞은 용액은 반응 50분 후에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동시에 감자에서 추출한 polyphenolics를 당관에서 추출한 카로틴 혹은 베타-카로틴을 가한 후 갈변차를 알아본 결과 당근에서 추출한 카로틴 용액을 섞은 것은 delta 'L'값이 증가하였고 1 시간 후 합성 베타-카로틴과 비슷하게 감소하였다. 한편 감자에서 추출한 PPO의 갈변화에 기질과 효소의 농도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본 결과 기질농도 10%일때 최적효소의 농도는 10%였으며(대조군의 농도비는 완충액 2.6 : 기질 0.3 : 효소액 0.1이었음). 효소농도 3.3%일때 최적 기질의 농도는 13.3%이었고 베타-카로틴의 농도는 PPO활성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산수유와 정금나무 열매로 제조한 푸딩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dding Using Fruit of Corni Fructus and Vaccinium Oldhamii Miq.)

  • 박수진;정지숙;손병길;고근배;정연권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16-32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hose Vaccinium oldhamii as a material to complement the redness of Sansuyu, which is unstable to heat, to Sansuyu pudding. Methods: The level of browning and hunter color of Corni fructus juice supernatant (CFS) and Vaccinium oldhamii extract (VOE) were examined and dependent on heating time and storage period. Results: A value (redness) of VOE was high, browning was moderate during the storage period, and though the storage period was extended, the value stayed stable, meaning overall redness was maintained. Wit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added VOD, the color preference of Sansuyu pudding, and D (VOE 10.0%) was marked the highest at 5.80. As for the preference of texture, B (VOE not added) was the highest at 5.35, but C (VOE 5.0%) was marked the highest at 5.10 for overall preferenc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ansuyu pudding was 15.86-21.39% at a concentration of 1,000 ppm,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136.76-139.62 mg/100 g. Since the redness of Sansuyu is unstable to heat and then is heated, its degree of browning and b value (degree of yellowness) increases. Conclusion: So if a material with a red color that is stable to heat is added to Sansuyu, the preference of Sansuyu products will impr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