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wn sole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문치가자미 (Limanda yokohamae) 자치어(仔稚魚)의 형태발달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Larvae and Juveniles of the Marbled sole, Limanda yokohamae)

  • 한경호;박준택;진동수;장선익;정현호;조재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1-165
    • /
    • 2001
  • 이번 연구에 사용된 문치가자미 어미 (female : 전장 25.1~30.4 cm, male : 전장 24.5~28.5 cm)는 1999년 12월 20일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 군내리 활어위판장에서 어미를 구입하여 전라남도 수산종합관 사육동으로 운반하여 건도법으로 인공 수정시켰고, 부화한 자치어는 사육수조에서 사육하면서 자치어의 형태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의 전장은 3.13~3.42 mm (평균 3.31 mm, n = 10)로 눈은 황갈색을 띠며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다. 부화 후 3~6일째의 자어는 전장이 3.35~4.61 mm (평균 3.45 mm, n = 10)로 입과 항문이 열리고, 난황이 거의 흡수되어 입이 커지면서 섭이활동이 활발하였다. 부화 후 25일째의 자어는 전장 5.47~5.91 mm (평균 5.96 mm, n = 10)로 척색말단이 위로 굽어지기 시작하고, 꼬리지느러미즐기의 원기가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등지느러미의 원기가 출현하였다. 부화 후 35일째의 자어는 전장 6.83~7.60 mm (평균 7.38 mm, n = 10)로 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에 줄기가 출현하고, 왼쪽 눈이 조금 이동하였다. 부화 후 55일의 치어는 전장 9.38~11.73 mm (평균 10.03 mm, n = 10)로 눈은 완전히 머리부분의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체형이나 반문이 성어와 완전히 닮아 있었고, 저서생활로 이행하였다 (D. 68~70 : A. 50~52 : P. 11: V. 6 : C. 18~19).

  • PDF

남자 대학생의 신발 착용실태와 장해요인 (A Study on the Wearing Conditions and Factors of Discomfort with Shoes for Male College Students)

  • 권수애;최종명;김정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9-9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wearing conditions and cause of discomfort with shoes for male college students which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ur the shoes manufacturer.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46 male college students on purchasing practices, wearing conditions, and overall satisfaction with sho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ale college students have a tendency to have longer buying cycles and buy more expensive shoes compare to high school students. The order of criteria considered fer purchasing was shape, price, style coordination with clothing. The order of criteria considered for purchasing differed according to their major, economic status and purchasing place. Most of them have two pairs of white or black sports shoes and one pair of either black or brown dress shoes. The most popular material was man made leather but college students have more leather shoes than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in wearing conditions, how many they have, material and color. The varieties of shoes differed by season.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hoes' design and color but unsatisfied with qualify or the material and durability of the shoes. Due to the pressure of the shoes, they experienced discomfort such as numbness, blisters on the feet and red skin. They experienced discomfort on the soles of the feet. The causes of discomfort were shape, width, hight of the heel, material and length in order. Dress shoes cause more discomfort than sport shoes due to the hardness of material, and flexibility of the sole. Since the material differed by the price, the degree of discomfort significantly differed by price too.

한국산 납서대과 어류 1미기록종, Brachirus annularis (First Record of the Annular Sole, Brachirus annularis(Soleidae, Pleuronectiformes) from Korea)

  • 김맹진;고수진;윤병선;김성태;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8-182
    • /
    • 2019
  • 납서대과에 속하는 Brachirus annularis 1개체 (표준 체장 161.0 mm)가 제주도와 거문도 사이의 해역에서 2019년 3월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유안측에 불규칙한 형태의 반점과 얼룩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꼬리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와 연결되었고, 머리와 눈 그리고 가슴지느러미가 작은 형태를 띠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유안측에 불규칙한 형태의 반점과 얼룩무늬를 가지는 특징에 기초하여 이 종의 속명과 국명은 각각 "얼룩서대속"과 "얼룩서대"라고 명명하였다.

콩포장에서 노린재류의 밀도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Observation Methods for Density of Stink Bugs in Soybean Field)

  • 배순도;김현주;이건휘;박성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53-158
    • /
    • 2007
  • 콩의 생식생장기에 노린재류의 밀도조사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타락법, 포충망법 및 달관법으로 콩의 개화기(R2), 결협기(R4) 및 성숙기(R7)에 발생하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로줄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및 썩덩나무노린재의 성충과 약충의 밀도를 조사한 결과 노린재류의 총 조사량은 타락법에서 5,214.2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달관법에서 2,581.8마리 였으며, 포충망법에서 103.1마리로 가장 적었다. 타락법과 달관법에 의한 노린재류의 총 조사량은 가로줄노린재 > 풀색노린재 > 썩덩나무노린재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 알락수염노린재의 순서로 많았고, 발생량의 차이도 분명하였으나, 포충망법에 의한 노린재류의 총 조사량은 18-23마리로 발생량의 차이가 분명하지 않았다. 따라서 타락법에 의한 주요 노린재류의 조사밀도는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성충을 제외하곤 대체로 높았다. 하지만 타락법보다 불출법으로 콩의 개화시부터 성숙까지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성충을 더 많이 조사할 수 있었고, 일중 조사량은 오후시간대보다 오전시간대에 많았다. 그러므로 콩포장에서 노린재류의 밀도조사법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불출법으로, 가로줄노린재,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및 썩덩나무노린재는 타락법이 추천되었다. 이러한 2가지 조사법의 적용은 노린재류의 종간 행동적 특성 차이 때문이다.

등전점 전기영동에 의한 서해산 해산어의 근형단백질의 전기영동에 관한 연구 (Electrophoretic Patterns of Sarcoplasmic Proteins in Mid-West Korean Sea Fishes by Thin Layer Polyacrylamide Gel Isoelectrofocusing)

  • 김종배;최선남;이근우;정용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55-460
    • /
    • 1991
  • 서로 비슷한 어종으로 약간의 저차 가공시에도 육안적 규별이 어려운 12개 어종의 등전점 전기영동 결과는 다음과 같다. 3종의 갑각류에서 대하와 중하는 밀새우와 다른 단백질 pattern이 pH 4.5 이하에서와 pH 5~7.5에서 서로 구별이 가능하였으며, pH 범위를 변경했을때, 중하와 대하 사이의 구별은 pH 5 부근에 있는 단백질띠로 나타났지만 크기나 형태적으로 거의 같은 대하의 치어에 대한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민어속 어류에서도 참조기와 항강달이는 비슷한 등전점을 가지는 단백질의 분포가 pH 5~8 사이로 나타났다. 이 분포대에서 돌가자미와 도다리에서도 비슷한 현상을 보였으며, pH 6~7, pH 8~9 범위에서 박대와 도다리는 서로 다른 단백질 분포를 보였고, 참가자미와 돌가자미는 pH 4.5, pH 6.0과 pH 8.0이하에서 뚜렷이 다른 분포를 보였다. pH범위를 변경하여도 단백질 pattern의 구별이 어려운 참조기와 황강달이에서의 2차원 전기영동은 pH 5.0rhk pH 6.0부근에 있는 단백질들에서 추정분자량 11,700과 87,000으로서 등전점 전기영동시 pH 범위 변경 및 2차원 전개 전기영동을 병용할 경우 서해산 어종(중하, 대하, 밀새우, 참조기, 수조기, 황강달이, 참가자미, 도다리, 박대, 돌가자미, 병어, 아홉등가리)의 판별에 구성 단백질의 등전점 전기영동이 신속하고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ison of amino acid digestibility of soybean meal, cottonseed meal, and low-gossypol cottonseed meal between broilers and laying hens

  • Kai Qiu;Xiao-cui Wang;Jing Wang;Hao Wang;Guang-hai Qi;Hai-jun Zhang;Shu-geng Wu
    • Animal Bioscience
    • /
    • 제36권4호
    • /
    • pp.619-628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the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soybean meal (SBM), cottonseed meal (CSM), and low-gossypol cottonseed meal (LCSM) fed to broiler chickens and laying hens. Methods: Three semi-purified diets containing the identical crude protein concentration at 20% were formulated to contain SBM, CSM, or LCSM as the sole source of N. A N-free diet was also formulated to estimate the basal ileal endogenous losses of AA for broilers and hens. A total of 300 male Ross 308 chicks at one-day-old and 144 Hy-Line Brown laying hens at 30-week-old with initial egg production rate of 88.3%±1.0%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1 of 4 dietary treatments, respectively. Results: CSM and LCSM showed more Arg and Cys+Met while less Lys, Ile, Leu, and Thr relative to SBM. Significant interactions existed between species and experimental diets for AID (except for Arg, Asp, Glu, Gly, and Pro) and SID (except for Arg, His, and Phe) of most AA. Most AA in diets showed higher AID (except for Lys) and SID (except for Lys, Met, and Ser) in broilers relative to laying hens. The AID and SID of all A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diets. In broilers, the AID and SID of most indispensable AA except for Arg in SBM and LCSM was higher than CSM. In laying hens, the AID and SID of most indispensable AA except for Arg, Met+Cys, and Phe in SBM was higher than CSM and LCSM. Conclusion: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AID and SID of AA in CSM and LCSM for broilers and layers benefits the application of CSM and LCSM in chicken diets. The cottonseed by-products CSM or LCSM showed the species-specific AA digestibility values for broilers and layers.

탈지방우유에서 가바생성 유산균 배양을 통한 가바생성 연구 (Production of γ-amino Butyric Acid by Lactic Acid Bacteria in Skim Milk)

  • 차진영;김영록;백보람;박지헌;황철원;도형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3-228
    • /
    • 2018
  • 동해안 지역 수산발효식품과 수산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유산균들을 분리하여 감마아미노낙산(GABA) 활성을 위해 분석을 하였다. 박층크로마토그래피(TLC)를 이용하여 GABA를 생성하는 4개의 균주를 확보하였으며, 16S rRNA sequencing 분석 결과를 통해 FSFL0004, FSFL0005, FSFL0036 균주는 Lactobacillus (Lb.) brevis, 그리고 FGL0007은 Lactococcus (Lc.) lactis에 가장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Lb. brevis FSFL0004와 FSFL0005는 발효된 아귀로부터 분리되었고, Lb. brevis FSFL0036는 갈치 젓갈로부터 분리되었으며, Lc. lactis FGL0007 균주는 참가자미의 내장으로부터 분리되었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한 정량분석결과를 보면, FSFL0004, FSFL0005, FSFL0036과 FGL0007에서 각각 $10,754.37{\mu}g/ml$, $13,082.79{\mu}g/ml$, $12,290.19{\mu}g/ml$, $45.07{\mu}g/ml$의 GABA가 생성되었다. GABA가 풍부한 낙농제품의 발효 종균으로서 상용화 실험을 위해 1% MSG를 포함한 탈지방우유에 4개의 균주를 각각 접종하였다. TLC 결과를 보면 4개의 균주 모두가 GABA 생성을 보였다. HPLC 분석 결과를 보면, 4균주 중 Lc. lactis FGL0007이 가장 높은 GABA 생성($431.42{\mu}g/ml$)을 보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GABA가 함유된 유제품 개발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