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ze age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6초

靑動器時代 扶餘地方의 自然環境과 人間生活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fe in Buyeo Region during the Bronze Age)

  • 이의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9-501
    • /
    • 2000
  • 옛 인간의 삶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연환경과 인간생활의 상호관계를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송국리를 비롯한 부여지방에는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은 청동기 시대의 유물.유적이 분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여지방의 청동기시대 유물.유적지의 지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당시의 자연환경 특히 해수변동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다. 그럼으로써 자연환경이 인간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를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 PDF

평택 현화리 청동기시대 집터 출토 숯의 수종과 재질 분석 (Species and Macroscopic Analysis of the Charcoals Excavated From Dwelling Sites of the Bronze Age at Hyeonwhari, Pyungteak)

  • 박원규;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6-22
    • /
    • 1999
  • 평택 현화리 청동기 시대 (약 2500-3100 B.P.)집터들 에서 발굴된 숯 741점에 대하여 수종을 식별하고 이중 크기가 큰 9점에 대해서는 나이테의 수와 너비 조사를 병행하였다. 수종은 대부분$(97.7\%)$ 참나무속 상수리나무류로 밝혀졌으며 나머지 수종은 오리나무속 오리나무류$(1.6\%)$, 오리나무속 두메오리나무류$(0.3\%)$, 소나무속 잣나무류$(0.4\%)$이었다. 나이테의 수는 $8\~36$개에 이르렀으며 나이테의 평균너비는 $0.65\~1.82mm$이었다. 나이테 분석 대상 숯시료는 모두 상수리나무류로 대부분 수(髓)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심재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타이로시스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지름이 $10\~15cm$ 이상인 임목이 특별한 가공없이 수간 형태로 주거지 기둥재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다뉴경(多鈕鏡) 문양의 기하학적 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A study on textile design utilizing geometric elements of Danyugyung)

  • 이의정;강경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81-96
    • /
    • 2019
  • The study intends to seek the creative ideas that can satisfy the needs of individual consumers by rediscovering the modern meaning and the artistic value of geometric ornaments engraved on the backside of Danyugyung,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pattern. In terms of the study method, the symbolic meaning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anyugyung were determined, and the form of its pattern and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this, Photoshop and illustrations were used to apply the shapes of Danyugyung and internal patterns to the textile design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Danyugyung was associated with the bronze mirror, which was us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and was the product of artistic activities and an object and acted as a shamanistic and authoritative symbol of the ruling parties, which were responsible for the acts related to the spiritual world. Secondly, it was discovered that forms of Danyugyung were classified into Jomungyung and Semungyung in accordance with Forms of Danyugyung (造飾), and the formative features of the geometric ornaments that were engraved in great detail on the backside could be found in the images which change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inner patterns. Thirdly, with regard to the development of the textile designs utilizing the shape and inner patterns of Danyugyung based on the formative features, it was could discover that the simple shape of Danyugyung presented a value which can be applied as a unique design factor delivering a visual rhythm by attempting to create various harmonies overlapping lines engraved on the inner patterns and the shapes of Danyugyung. Based on the above-mentioned outcomes, the possibility was confirmed that Danyugyung can be used as a novel motif and as a standard unit of patterns for textile design. With future studies, I would like to utilize the unique and diverse images as pattern motif for textile design.

진주지역의 '성읍국가' 성에 대한 탐구 (Searching for the Remains of Walled-Town State Sites in Jinju Region)

  • 이전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04-615
    • /
    • 2009
  • 청동기시대에 한반도에 산재하던 정치적 독립체들은 '군장사회(君長社會)'라고 부르는 것보다는 '성읍국가(城邑國家)'라고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본다. 이기백의 학설에 따르면, 청동기시대의 '성읍국가' 지배자들은 나지막한 구릉 위에 토성이나 목책을 만들고 스스로 방위하면서 그 바깥 평야의 농민들을 다스렸다. 이 연구에서는 진주지역에 산재하는 21개의 성 중에서 "나지막한 구릉 위에 입지하면서 그 바깥 평야를 훤히 내려다볼 수 있는 성"을 선택해서 '성읍국가'의 성으로 간주하고 그 성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진주지역에서 '성읍국가'의 성으로 간주되는 다섯 성은 모두 산정식 산성(山頂式 山城)에 속하고, 그 성내에는 우물터가 없다. 다섯 성의 평균 해발고도는 189.4m이고 평균 둘레는 250m이다. '성읍국가'의 성은 대체적으로는 토축성 목책성이었지만, 부분적으로는 석축의 성벽을 갖고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이러한 성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조사가 수행되어 '성읍국가'의 성에 대한 좀 더 과학적인 결론을 도출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풍납토성 출토 청동유물의 제작기술 및 납 원료의 산지추정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Analysis of Bronze Artefacts excavated from Pungnap earthen fortress)

  • 한우림;김소진;한민수;황진주;이은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2호
    • /
    • pp.110-119
    • /
    • 2015
  • 풍납토성은 백제 초기의 토성으로 토기 및 주거유물과 더불어 다량의 청동기가 출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풍납토성 출토 청동기의 제작기술과 청동기 내에 포함된 납 원료의 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출토지가 명확한 7점의 청동기 시편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속심이 남아있는 4점에 대한 미세조직 및 성분 분석 결과, 3점은 Cu-Sn-Pb의 3원계 합금이며 나머지 1점은 Cu-Sn의 2원계 합금의 청동기로, 조직 내에 뚜렷한 쌍정이 관찰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주성분 이외에 S(황), Fe(철)가 검출되어 황동광($CuFeS_2$) 또는 반동광($Cu_5FeS_4$)을 원광석으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이용한 산지 추정 결과 4점의 청동포수, 청동세환 2점, 청동유물 편(나)의 청동기에 산지는 zone 3(충청남 북도, 전라남 북도)의 지역으로 표시되었다. 청동유물 편(라)는 중국 북부로 표시되었으며 청동검은 zone 2(경상남 북도)의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몽골 출토 철제 유물의 보존처리 (Iron Conservation Treatment excavated in Mongolia)

  • R. 에르드네쳇첵;유동완;강소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31호
    • /
    • pp.173-202
    • /
    • 2010
  • Within the framework of the Mongolian-Korean Joint Project for "Research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I enrolled in 3 months training course from February to May 2010 at the Metal laboratory of Conservation Science Division i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Korea. Some metal artifacts, which are preserved in Institute of Archaeology, Mongolian Academy of Sciences, were brought and restored there. These chosen findings were found at Gobi and mountainous region of Mongolia, preserved under the different circumstances and dated back to Middle Age from Bronze Age. At the Metal laboratory of the NRICH, the conservation work was carried out for three months on 15 metal objects, including arrowhead, stirrup, caltrop, axe, knife, ring and so on, which were found at Khugshin Teel's ruin of Khairkhandulaan soum of Uvurkhangai province, Ungut of Altanbulag soum of Tuv province, Baruun Naran and Ukhaa khudag of Khankhongor and Tsogttsetsii soums of Umnugobi province. The report of the result of this conservation work is available here.

  • PDF

Neo-Catastrophism and a New Global Interpretation of History

  • Yi, Tae-Jin
    •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 /
    • 제1권1호
    • /
    • pp.85-116
    • /
    • 2013
  • The theory of terrestrial impact which has been developed by the astronomy scientists since 1970s is employed for this article in a new angle that atmospheric conditions of our planet should be adopte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history of mankind. Large and small terrestrial impacts must be acknowledged as key tasks in terms of the study of 'world history'. The Society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has already advocated that the 'Bronze Age Civilization'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long term terrestrial impact phenomena.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from Korea, the present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years 680-880, 1100-1220, 1340-1420, and 1490-1760 as periods in which territorial impacts occur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