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ken ston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보존을 위한 석조문화재의 특징과 암석의 풍화현상에 대한 연구(II)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장흥군 일부지역-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Cultural-Properties and Weathering Phenomena of the Rocks for Conservation(II) - Naju, Hwasun, and a Part of Jangheung, Cheollanam-do)

  • 이상헌;신철균;최기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1-60
    • /
    • 1997
  • 전라남도 나주시, 화순군 그리고 장흥군 일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석조문화재에 대하여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문화재의 특징, 암석의 풍화상태 및 보존상태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에는 석탑과 부도 12기, 석불 4구, 비석 3기, 석등 2기, 석장승 4구 및 석당간 1기 등 모두 26점이며, 이들은 국보 4점, 보물 13점, 도유형문화재 2점, 도문화재자료 3점, 그리고 중요민속자료 4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석조문화재에 사용되어진 암석들은 주로 역을 함유하는 응회암질암과 화강암류로 되어 있으며 이들은 조사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대체로 주위에 발달하고 있는 암석들은 문화재의 종류에 관계없이 그대로 사용하였다. 이들 문화재들은 오랜 시간에 걸친 풍화작용과 이끼들의 영향에 의해 검게 변색되어 있거나 얼룩이 진 것 같은 양상들을 보이고 있다. 많은 부분들이 파손되어 전체적으로 또는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것들도 있다. 최근에 보수한 것들 중에는 상이한 종류의 암석을 사용하였거나 암석의 표면을 다른 색으로 칠하여 전체적으로 이질감을 느끼게 하는 것도 있어 앞으로의 보존에 있어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모든 석조 문화재의 앞으로의 보존계획 수립과 작업에 있어 암석의 종류, 풍화상태 및 틈의 발달 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야 과학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전암대자율을 이용한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비신의 복제용 석재 선정 연구 (Study for Selection of Replica Stone of the Stele for Buddhist Monk Wonjong at Yeoju Godalsa Temple Site using Magnetic Susceptibility)

  • 이명성;전유근;김지영
    • 암석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10
    • /
    • 2016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는 과거 도괴되어 현재 귀부와 이수는 여주 고달사지에 남아있고 비신은 파손된 채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탑비를 구성하는 암석은 두 종류로, 귀부와 이수는 조립질 흑운모화강암, 비신은 부분적으로 각섬석 집합체와 2~3 cm 크기의 장석반정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세립질 흑운모화강암이다. 귀부와 이수의 조립질 흑운모화강암은 여주 일대에 분포하는 흑운모화강암과 전암대자율 및 암석기재적 특징이 매우 유사하다. 반면 비신의 암석은 이 지역 내에서 산출되는 암석과 다소 차이가 있어 국내 화강암의 전암대자율, 암석학적 특징, 탑비의 금석문과 고려시대 고문헌 기록을 토대로 유사한 암석의 산출지를 탐색하였다. 이 결과 북한 해주 지역의 화강암이 색상, 각섬석 집합체, 광물조성, 전암대자율 분포 등에 있어 비신의 세립질 흑운모화강암과 거의 동일하였다. 따라서 해주 화강암이 탑비 암석의 산지암석으로서 가능성이 가장 크며, 원종대사탑비 비신을 복제하기 위한 석재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주첨성대의 파손과 잘못된 복구 (Destruction and Improper Restoration of Cheomseongdae)

  • 장활식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5권2호
    • /
    • pp.72-99
    • /
    • 2012
  • 경주첨성대는 원형을 유지하고 있거나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보존되었다고 여겨져 왔다. 경주첨성대가 파손되었음을 명시적으로 전하는 역사기록은 없으며, 파손되었다는 어떤 물증이 제시된 바도 없으므로 원형이 유지되었다는 견해는 별반 무리가 없다고 평가되어왔던 것이다. 그러나 국립문화재연구소가 2009년에 발간한 "첨성대 실측 및 훼손도 조사 보고서"를 면밀히 분석해 보면 첨성대가 원형에서 벗어나 있음이 분명하게 나타난다. 첨성대의 상층부는 심각하게 파손되었다가 원형을 회복하지 못한 형태로 잘못 복구되었음이 확실하며, 그 물증이 현재 첨성대에 고스라니 남아있다. 본 연구는 그 증거로 제 29단 정자석이 대각선방향으로 파손되어 있는 점, 제 28단에 있었던 은장이 사라진 점, 제 26단의 장대석 위에 작은 석재 3개가 남아 있는 점, 제 25단과 제 26단 장대석에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4개의 홈이 남아있는 점, 제 25단과 26단의 장대석 위치가 서로 바뀌어 있는 점 등을 제시한다. 경주첨성대가 처음으로 파손되었다가 원형과 다른 모습으로 복구되었던 시점은 15세기 중반 이전으로 본다.

Performance Evaluation of Rice Mill Plant By a Computer Simulation

  • Chung, Jong-Hoon
    • Agricultural and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권1호
    • /
    • pp.7-14
    • /
    • 2001
  • A rice mill plant with a capacity of 3 t/h was constructed with automated facilities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 simulat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LAMSYSTEM for evaluation and improving the rice mill process. The developed model was validated in the view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other materials produced, at bottlenecks in the processes. The results of hulling efficiency, milling efficiency, milled rice recovery in the simulation were, respectively, 81.1%, 89,5%, and 73.1%, while those of the actual mill plant were 81.5%, 90.2%, and 73.5%. The simulation results including the rates of other materials(chaff, bran, broken rice, stone, etc) produced in the processes were almost similar with those of the actual process. In the simulation the bottlenecks were found out in the process for separating brown rice and sorting colored rice. These phenomena also appeared in the actual process. It needed to increase the hourly capacities of the brown rice separator and the rice color sorter. As the developed model could well express the automated rice mill plant, it could be used for designing and improving rice mill plants.

  • PDF

미륵사지석탑 붕괴상태 고찰 (A Study of collapsed conditions of the stone pagoda in Mireuk Temple Site)

  • 김덕문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305-327
    • /
    • 2005
  • 미륵사지석탑은 이미 오래전에 붕괴된 상태로 남아 있다. 붕괴된 시기와 원인은 역사적 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6층까지 무너져 내려 부재가 헝클어진 서측면 하부에는 1층 높이까지 석축이 쌓여 있다. 이 석축은 남아 있는 부분이 더 이상 무너지지 않도록 이미 오래전에 쌓았다. 그러나 언제 누가 이 석축을 쌓았는지 역사적 사실에 대한 기록이나 전해지는 이야기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제2장에서 미륵사지석탑의 모습을 표현한 옛 문집 등에 나타나 있는 정황을 시대별로 정리하여 역사적 배경을 짐작해 보았다. 1915년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은 서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석축 상부 무너진 경사면에 콘크리트를 덮었다. 그 후 1998년도에는 전라북도에서 미륵사지석탑에 대한 구조안전진단을 실시하였다. 문화재위원회는 구조안전 진단에 근거해서 1915년에 공사한 콘크리트를 제거하고, 탑을 보수정비하기로 결정하였다. 탑이 무너져 내린 상태는 콘크리트를 제거하면서 그대로 발견되었다. 탑의 붕괴상태는 지진 또는 기초가 침하되는 현상, 홍수, 태풍 따위의 자연 현상에 따라 각각 다른 모 습으로 나타날 수 있다고 가설을 세웠다. 이 논문에서는 제3장에서 역사적으로 기록된, 여러 가지 자연 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의 모습을 관찰하여 그 특징을 분류해 보았다. 그리고 제4장에서 미륵사지석탑에서 나타나 있는 상태와 앞서의 다른 예들과 비교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미륵사지석탑은 지표면보다 높게 구성되어 있는 탑의 기초에 해당하는 기단에서 우수에 의한 침식 현상이 발견되었다. 기단에서 발생한 침식은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진행된 현상으로 관찰되었다. 기단 침식이 심해지면서 서측면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지게 된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상부층을 받치고 있는 1층 벽체가 바깥쪽으로 기울어짐에 따라 탑의 상부 구조는 평형을 잃어 무너지게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고찰되었다. 그밖에 지진이나 태풍, 지반 침하와 같은 자연현상에 의해 무너진 탑들에서 나타나는 붕괴상태의 특징이 미륵사지석탑에서는 뚜렷하게 발견되지 않고 있다.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내구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ur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 서치호;김병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385-392
    • /
    • 2005
  • 본 연구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재생굵은골재를 대체율에 따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동결응해 저항성, 탄산화 저항성 및 건조수축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여 내구특성의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내구성 증진방안을 강구함으로써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생굵은골재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모든 대체율에서 $90\%$를 상회하는 상대동탄성계수로 나타나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며, 전 사이클에서는 $99.2{\~}91.0\%$의 상대동탄성계수의 범위를 보여 쇄석을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의 상대 동탄성계 수 범위인 $97.5{\~}90.6\%$에 비해 향상된 내동해성으로 나타났다. (2)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촉진탄산화 깊이는 대체율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하지 않은 보통 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재생굵은골재를 혼합골재로 하는 재생골재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에 의한 길이변화율은 전 배합에서 쇄석을 사용한 보통 콘크리트보다 $18.5{\~}3.9\%$ 작게 나타났다.

석회석 광산에서 기존 일반발파와 이중분상 Air Deck 발파공법의 비교연구 (Comparison of Blast Fragmentation Efficiencies from Conventional Bench and Double Air Deck Charge Blast Methods in Limestone Mine)

  • 강대우;허원호;양국정;박동철
    • 화약ㆍ발파
    • /
    • 제29권2호
    • /
    • pp.13-31
    • /
    • 2011
  • 국내외의 광산 및 대규모 현장에서는 노천발파 시, Air Deck 발파공법을 사용하여 발파효율성을 높이려 하고 있으나 이는 공 내부 상태에 따라 장전밀도가 달라짐으로 인해 대괴가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특히 석회석 광산의 경우 침식 용해 작용에 의해 공벽이 확공되거나 손상된 경우가 많아 Air Deck 공법 적용 시 의도하지 않은 집중장약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광산의 대규모 노천발파를 대상으로 사전에 공 내부를 내시경 검사한 후 공 내부에서 장약집중을 야기할 수 있는 구간을 Air Tube를 이용한 데크차지 공법으로 분상장약(Deck Charge)하여 Air Deck 발파공법의 효과가 온전히 나타나도록 유도하였고 이를 일반장약 공법과 비교하였다. 비교대상은 전체적인 발파효과, 파쇄도, 장약량 절감율 및 시공속도(장약에서 발파까지의 총 작업속도)였으며, 그 결과 시공속도를 제외한 나머지 비교대상에 있어 일반장약에 의한 발파공법 보다 Air Deck를 이용한 이중분상 발파공법이 더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A Quarter Century of Scientific Study on Korean Traditional Ceramics Culture: From Mounds of Waste Shards to Masterpieces of Bisaek Celadon

  • Choo, Carolyn Kyongshin Koh
    •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 /
    • 제1권1호
    • /
    • pp.39-48
    • /
    • 2012
  • The first twenty-five years of scientific study within Korea on Korean traditional ceramics has been characterized as a bridging effort to understand the rich field of artistic ceramic masterpieces on one hand with analytic results gained from mounds of broken shards and kiln wastes on the other. First shard pieces were collected directly from the waste mounds, but most of the analyzed shards were provided by art historians and museum staffs directly involved in systematic excavations. The scientific study is viewed as one of many complimentary ways in learning about the multi-faceted ceramics culture, ultimately connecting human spirits and endeavors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to the future. About 1350 pieces of analyzed shards have been so far collect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location and time perio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odies and glazes have been deduced for many kiln sites of Goryeo and Joseon dynasties. Except for a few local kilns, porcelain stone was used as body material in both dynasties. The principle of mixing a clay component with a flux material was used in Korean glazes as was in China. The clay component different from body clay was often used early on. In Gangjin a porcelain material appropriate for whiteware body was mixed for celadon glaze, and in Joseon Gwangju kilns glaze stone was chief clay material. The use of wood ash persisted in Korea even in making buncheong glazes, but in Joseon whitewares burnt lime and eventually crushed lime were used as flux material.

백제(百濟) 기단(基壇) 축조술(築造術)의 대신라(對新羅)의 전파(傳播) (A Study on How Baekje delivered Stylobate-Constructing Techniques to Silla Counterpart)

  • 조원창
    • 건축역사연구
    • /
    • 제14권2호
    • /
    • pp.57-69
    • /
    • 2005
  • A stylobate, part of the foundation for hardening soil below the floor, has been built with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tone, tile and brick, in several kinds of combined constructions of soil, stone, and brick. In particular, Baekje used a tile-piled stylobate that could not be found in Goguryeo and Silla counterparts, thus showing outstanding performance in the construction culture. Archeological excavations up to now evidence the stylobate played a role in building the magnificent structures or enhancing the decorative effects. It can be enough inferred that such features are reflected on dual footing stylobate, framed stylobate and tile-piled stylobate. Baekje had delivered its techniques for constructing stylobate to Silla from about the middle of 6th century. They can be traced down back from the dual stylobate that has been identified in Hwangryong-sa temple lastly built in the old site of Silla, those constructed with broken stones at Najeong, tile-piled stylobate of the mode of vertical-horizontal rows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Inwang-dong, Gyeongju, the capital of the kingdom, and a framed stylobate at Hall enshrining Buddha (Golden Hall) site of Gameun-sa temple site. Recently, relics of structures, including temple sites, are intermittently being unearthed in the old sites of Baekje and Silla. However, studies linking archeology with architecture can be rarely found up to now. It is, therefore, necessary that the relics should be correctly construed in archeological as well as architectural aspects. We expect that further studies can graft architectural insight into archeological analysis.

  • PDF

GSHP용 수직형 지중열교환기의 열전달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of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 of GSHP(Ground Source Heat Pump))

  • 정민호;장기창;나호상;백영진;박성룡;유성연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B
    • /
    • pp.2102-2107
    • /
    • 2007
  • GSHP systems are used for air-conditioning systems in commercial buildings, schools, and factories because of low operating and maintenance costs. These systems use the earth as a heat source in heating and a heat sink in cooling mode. Ground heat exchangers are classified by a horizontal and vertical typ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method. Vertical type is usually constructed by placing small diameter high density polyethylene tube in a vertical borehole. Vertical tube sizes range from 20 to 40 mm nominal diameter. Borehole depth range between 100 and 200 m depending on local drilling conditions and available equipment.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ingle u-tube with bentonite grouting, single u-tube with broken stone grouting and double u-tube bentonite grouting of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s, test sections are buried on the earth and experimental apparatus is installed. Therefore the heat transfer performance and pressure loss of these are estim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