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iler chicken meat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19초

사료 내 홍삼박과 겨우살이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Red Ginseng Mare and Korean Mistletoe Powder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97-204
    • /
    • 2014
  • 본 시험은 육계에 홍삼박과 겨우살이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 성분, 혈액 성상, pH, TBARS, 보수성, 전단력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홍삼박과 겨우살이를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홍삼박 0.5% 급여구는 T1, 홍삼박 1% 급여구는 T2, 겨우살이 0.5% 급여구는 T3, 그리고 겨우살이 1% 급여구를 T4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대조구보다 홍삼박과 겨우살이 급여구에서 낮아졌다(P<0.05). 계육의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 등의 일반 성분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조지방은 홍삼박과 겨우살이 급여구에서 낮았다. 육계의 혈액 성상 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함량은 대조구보다 홍삼박과 겨우살이 급여구에서 감소하였고, HDL-cholesterol은 증가하였으며, triglyceride와 glucose 함량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TBARS는 대조구보다 홍삼박과 겨우살이 급여구에서 유의하게 낮아, 육계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이되리라 생각된다. 육색은 CIE $L^*$값과 CIE $b^*$값은 홍삼박과 겨우살이 급여에 의한 변화는 없었지만, CIE $a^*$값은 T4에서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홍삼박과 겨우살이를 급여하면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함량이 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성상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동애등에의 급이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Chicken Meat in Broiler Chicks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Black Soldier Fly Larvae, Hermetia illucens (Diptera : Stratmyidae))

  • 최영철;박관호;남성희;장병귀;김지혁;김동욱;유동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0-35
    • /
    • 2013
  • 본 시험은 동애동에의 공급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 가축으로는 육계 초생추 병아리를 이용하였으며, 3처리 4반복 반복 당 30수씩 총 360수를 공시하였다. 시험설계는 대조구(C), 동애등에 분말 3%(T1), 6%(T2) 첨가구로 배치하였다. 시험사료는 옥수수와 대두박을 기초로 에너지와 영양소 수준은 NRC(1994) 요구량을 충족시켜 주었으며 육계 전기(3,100 kcal/kg ME, CP 22.0%) 및 육계 후기(3,100 kcal/kg ME, CP 20.0%) 사료로 나누어 공급하였다. 생산성 조사 결과 생존율은 각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시험이 종료되는 5주령 체중 및 증체량에서는 대조구가 가장 무거웠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사료섭취량은 체중이 가장 무거웠던 대조구에서 사료섭취량이 많았으며 사료요구율도 체중이 무거웠던 대조구가 낮은 사료요구율을 보였다. 부분육 수율은 동애 등에를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도체율을 비롯한 부분육 수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가슴수율에서는 동애 등에를 6% 급여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율을 보였다(P<0.05). 동애등에의 첨가에 따른 계육내 지방산 조성에 대한 결과는 대조구와 비교 시 처리구에서 지방산 가운데 축산물에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는 불포화지방산 중 하나인 올레산(Oleic acid, 18 : 1n-9)과 포화지방산 중 팔미트산(Palmitic acid, 18 : 0)의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Shelf Life of Selenium-Supplemented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Rhee, Min-Suk;Ryu, Youn-Chul;Kim, Byoung-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31-436
    • /
    • 2006
  • Effects of vacuum packaging and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on shelf life of selenium-supplemented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were examined. Body weight and feed efficiency were unaffected by dietary selenium level. Dietary treatments and packaging method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level of microbial growth, lightness, and metmyoglobin content. MAP decreased purge loss (10.9-34.5%) and lipid oxidation (15.2-15.9%) more efficiently than vacuum packaging. Broiler chicks supplemented with ${\alpha}$-tocopherol or ${\alpha}$-tocopherol + selenium had similar TBA values. Dietary supplementation of 4 and 8 ppm selenium reduced lipid oxidation, and this effect was less significant in MAP breast meat.

목초액을 이용한 산란노계의 육질 개선 연구 (Effects of Wood Vinegar Addition for Meat Quality Improvement of Old Layer)

  • 윤병선;남기택;장경만;황성구;최일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6
    • /
    • 2005
  • 산란노계를 닭고기로서 자원화하여 농가의 수익과 단백질 공급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산성이 낮고 경제적 가치가 적은 산란노계 사료에 목초액을 첨가${\cdot}$급여하여 육질 개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계획하였다. 이사브라운 갈색종 240수를 배치하여 대조구에는 육계용 배합사료, 시험 1구에는 국산 목초액 $0.8\%$, 시험 2구에는 외국산 목초액 $0.4\%$를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3g 정도 적었는데 목초액의 유기산이 사료의 소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려된다. 사육성적의 차이는 국산과 외국산 목초액의 구성성분의 차이에 기인하며, 외국산 목초액의 첨가는 성페르몬과 성분이 유사한 목초액이 내분비 물질의 분비를 촉진한 결과 산란율이 증가하였고, 목초액의 첨가에 따라 조지방 함유량은 다리 고기가 가슴고기보다 많았으며 육색의 개선 효과도 있었다. 다리고기의 육질과 관능검사는 근섬유의 조직을 가늘게 하고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외국산 목초액 첨가구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Relationship of IGF-I mRNA Levels to Tissue Development in Chicken Embryos of Different Strains

  • Kita, K.;Noda, C.;Miki, K.;Kino, K.;Okumura,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12호
    • /
    • pp.1653-1658
    • /
    • 2000
  • Insulin-like growth factor-I (IGF-I) mRNA levels in the eyes, heart, liver and breast muscle removed from dwarf egg-type, normal egg-type and normal meat-type chicken embryos at 7, 14 and 20 days of incubation were measured. There was no influence of chicken strain on IGF-I gene expression in the eyes and liver. The IGF-I gene expression in eyes increased significantly along with the incubation period. In the liver, IGF-I gene expression at 20 days of incub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14 days of incubation. In the muscle, the lowest value for IGF-I gene expression was observed in meat-type chicken embryo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IGF-I gen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weights of the eyes and liver, but not the muscle. We conclude that there is little influence of strain on tissue IGF-I gene expression in chicken embryos during incubation but that tissue development in chicken embryos is nevertheless at least partly regulated by the change in IGF-I gene expression.

Comparative effects of dietary functional nutrients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immune responses, and stress biomarkers in broiler chickens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 Kim, Deok Yun;Kim, Jong Hyuk;Choi, Won Jun;Han, Gi Ppeum;Kil, Dong Yong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1호
    • /
    • pp.1839-1848
    • /
    • 2021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effects of dietary functional nutrients including glutamine (Gln), chromium picolinate (Cr picolinate), vitamin C (Vit C), betaine (Bet), and taurine (Tau)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immune responses, and stress biomarkers in broiler chickens raised under heat stress conditions. Methods: A total of 420 21-d-old Ross 308 male broiler chickens (initial body weight = 866±61.9 g)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7 treatment groups with 6 replicates. One group was kept under thermoneutral conditions and was fed a basal diet (PC, positive control). Other 6 groups were exposed to a cyclic heat stress condition. One of the 6 groups was fed the basal diet (NC, negative control), whereas 5 other groups were fe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0.5% Gln, 500 ppb Cr picolinate, 250 mg/kg Vit C, 0.2% Bet, or 1.0% Tau. The diets and water were provided ad libitum for 21 d. Results: Broiler chickens in NC group had decreased (p<0.05) growth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s measured based on cutaneous basophil hypersensitivity (CBH), but increased (p<0.05) stress responses measured based on feather corticosterone concentrations and blood heterophil:lymphocyte than those in PC group. However, none of dietary functional nutri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Dietary supplementation of 250 mg/kg Vit C improved (p<0.05) CBH responses of broiler chickens, but other functional nutrients had no such an improvement in CBH responses. All functional nutrients decreased (p<0.05) stress responses of broiler chickens. Conclusion: Functional nutrients including Gln, Cr picolinate, Vit C, Bet, and Tau at the supplemental levels used in this study decrease stress responses of broiler chickens to a relatively similar extent. However, this reduction in stress responses could not fully ameliorate decreased productiv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raised under the current heat stress conditions.

시중 유통 토종닭의 품종별 품질 및 관능 특성 비교 (Comparison of Meat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Native Chickens in Korean Market)

  • 차주수;김선효;정사무엘;강호진;조철훈;남기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53-59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시중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는 2종의 토종닭인 HH종과 WD종 닭고기를 비교하기 위해 일반 육계(BR)와 더불어 육질 및 관능 특성을 분석하였다. 토종닭 내에서 HH종의 가슴육만 일반 육계보다 다소 낮은 지방함량을 보였다. 육색에서는 가슴육과 다리육 두 부위 모두에서 HH종의 명도($L^*$)와 적색도($a^*$)가 WD종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항산화력 측정을 위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pH가 WD종이 HH종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5). 가슴육에서 C18:1은 일반 육계가 다른 두 품종의 토종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대표적인 n-3 지방산인 C18:3의 경우, WD종이 HH종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C20:4와 C22:6의 경우, 토종닭이 일반 육계에 비해 약 2.5배이상 높은 조성을 보였다(p<0.05). 관능평가 맛 부분에서는 가슴육에서 WD종이 일반 육계나 다른 HH 토종닭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수치를 보였다(p<0.05). 특히 WD종의 연도가 다른 품종에 비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도 WD종이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5).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시판되는 토종닭 2품종의 품질 및 관능 특성은 요인별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기도 했으며(p<0.05),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 기호에 적합한 새로운 품종의 토종닭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육질 특성은 품종 이외에도 급여한 사료 및 사양 방식에 따라 다른 것이므로, 보다 많은 시료 수를 바탕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Properties of North and South Korean Native Chickens and Commercial Broilers

  • Jeon, Hee-Joon;Choe, Jun-Ho;Jung, Yeon-Kook;Kruk, Zbigniew A.;Lim, Dong-Gyun;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71-17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and thigh meat from North Korean native chickens (NKNC), South Korean native chickens (SKNC, woorimotdak), and commercial broilers (CB). NKNC thigh meat had a higher crude protein content than CB. In addition, the breasts of NKNC and CB had higher pH values than that of SKNC, but the cooking loss was higher in NKNC. The surface color of the breast and thigh meat of NKNC was darker and redder than that of SKNC and CB. The total collagen content of the breast and thigh muscles was the highest in NKNC, followed by SKNC and CB. A similar trend occurred with breast meat hardness. The content of arachidonic and docosahexaenoic acids was higher in both the breast and thigh muscles of NKNC than in those of the other groups, while the concentration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higher only in thigh meat. Sensory evalua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mong the three different strains of chicken except for the meat color. Sensory panelists preferred thigh meat from SKNC and CB to that of NKNC due to the strong dark color of the NKNC. Based on these results, NKNC had harder breasts based on texture, as well as a darker surface color and higher composition of long 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han CB.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KNC tested in this study were intermediate between NKNC and CB; however, SKNC may have a better chance of acceptance by Korean consumers due to the undesirable color of NKNC.

지렁이 분변토 발효사료가 고품질 닭고기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earthworm cast feed on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chicken meat)

  • 고용균;김진수;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07-817
    • /
    • 2017
  • 본 연구는 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는 3개의 균주를 지렁이 분변토에 접종하여 제조한 생균제인 분변토 발효사료가 육계의 사양성적 및 닭고기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육계 240마리를 4개의 처리구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대조구, Lactobacillus fermentum으로 제조된 상업용 생균제 (CP) 0.2%, 분변토 발효사료 0.3% (FECF3), 분변토 발효사료 0.5% (FECF5)로 구분하였다. 평균 체중 증가량, 흉선, 비장, F낭의 무게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혈액 IgG 함량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증가하였다. 맹장 Lactobacillus는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으나 Escherichia, Salmonella, Coliform bacteria 및 total aerobic bacteria는 FECF 처리구가 낮았다. 닭고기의 보수력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높았다. 닭고기 n-6/n-3 지방산의 비율은 대조구, CP 처리구와 비교할 때 FECF 처리구가 낮게 나타났다.

국내산 닭고기의 유통규격별 이화학적 조성의 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in Domestic Broiler Chickens of Different Marketing Standard)

  • 채현석;유영모;조수현;박범영;김진형;안종남;이종문;윤상기;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37-343
    • /
    • 2001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닭고기를 중량규격인 5호∼16호로 분류하여 수분,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및 육색 그리고 무기물 힘량을 분석하였다. 가슴살에 대한 수분의 함량은 중량이 비교적 큰 11∼16호의 평균이 74.87%인 반면 중량이 작은 5호∼10호의 75.50%중량이 증가할수록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지방 함량은 5호부터 8호가 2.78∼2.35%을 나타내었으나 12∼16호에서는 0.47∼0.66%로 낮은 지방 함량을 보였다. 그러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중량이 적을수록 감소하였으나 중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보수력과 가열감량은 중량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전단력의 경우 중량이 적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무기물 중 칼슘은 중량규격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인은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K와 Mg는 중량규격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철은 중량이 낮은 6호의 경우 6.16 ppm인 반면 15호는 3.50 ppm으로 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육색은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5호가 71.3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에서는 중량규격별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가슴살에서 6.79∼1.73의 분포를 나타냈으며 중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다리살도 중량규격별 11호부터 16호까지 수분, 지방, 단백질 및 회분의 일반성분과 전단력, 보수력, 가열감량 및 육색 그리고 무기물 함량을 분석하였는데 가슴살과 같은 중량범위에서는 부위(가슴살, 다리살)에 따른 차이는 있었으나, 중량규격(11호∼16호)에 따른 증감율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