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leaves/conifers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Richness of Forest Stands and Atmospheric Carbon Dioxide Storage in Urban Institutional Lands of Bukavu, D.R. Congo

  • KADIATA, Bakach D.;NDAMIYEHE, J.B. Ncutirakiz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2호
    • /
    • pp.79-90
    • /
    • 2017
  • Improving the urban environmental quality relies mainly on the increasing of urban forests capacity to store carbon dioxide. This study assesses the floristic diversity of urban institutional lands in Bukavu and their potential to reduce atmospheric $CO_2$. An exhaustive inventory over three sites ($Coll{\grave{e}}ge$ Alfajiri, $Cath{\acute{e}}drale$ Notre-Dame de la Paix and Institut $Sup{\acute{e}}rieur$ $P{\acute{e}}dagogique$) of Bukavu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1,113 trees of which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1.30 m) ranged from 4.9 to 161 cm. Results reveal a floristic diversity made up of 4 families of conifers with 4 species and 14 of broadleaves with 21 species. Average densities were of $54trees\;ha^{-1}$ and $5.21m^2\;ha^{-1}$ of basal area. Urban-based allometric equations used yielded up to 312.8 tons of carbon stored in trees aboveground biomass equivalent to 1,147.9 tons of $CO_2$ reduced from the atmosphere over the three sites. The rate of carbon storage reaches $15.1tons\;ha^{-1}$. Thus, trees of the three institutional sites in Bukavu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atmospheric $CO_2$ and contribute, thereby, to mitigate global climate change effects. Given the current environmental challenge associated with high population growth rate in cities, the urban forest ecosystem in DRC requires to be extended and further investigation.

위성영상을 이용한 난대림 식생 분류와 관리 시스템 (Classification of Warm Temperate Vegetation Using Satellite Data and Management System)

  • 조성민;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31-23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1991년 위성 데이터와 2002년의 위성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전남 완도의 난대림 식생 변화추이를 밝히는데 있다. 이를 위해 1991년 Landsat TM영상과 2002년 Landsat ETM 영상이 이용되었으며, 이미지 프로세싱은 ENVI를 이용하였다. GIS를 이용한 난대림 관리 시스템 개발은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영상 데이터의 촬영시기 차이와 TM 영상의 해상도(Resolution)가 정밀하지 못해 복잡한 지형특성을 지닌 곳에서는 정확한 변화추이를 파악하기는 불가능하였으나, 2002년 영상을 이용하여 분석된 완도의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약 2,027ha로 산출되었다. 상록활엽수림과 상록침엽수림은 11년 전에 비해 소폭으로 증가하였으나 낙엽활엽수림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식생분류를 위한 기준은 상록활엽수림, 상록침엽수림, 낙엽활엽수림, 기타로 구분하였으며 감독분류기법을 통해 식생이 분류되었다. 완도의 공간 데이터는 녹지자연도, 현존식생도, 산림토양도, 훼손유형도, 지형도, 토지소유현황도로 분류되었고, 이에 대한 속성 데이터 베이스는 Arc/Info와 ArcView를 이용하여 완성되었다. 데이터를 관리하고 필요한 정보를 색인 분석하는 사용자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Avenu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