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adleaf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8초

전남 사찰림에서의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Growth of Korean Red Pine and Location Environment in Temple Forests in Jeollanam-do, Korea)

  • 박석곤;홍석환;오찬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09-419
    • /
    • 2017
  • 사찰인근 소나무림은 문화경관림으로서 가치가 높으나 식생천이와 기후변화로 쇠퇴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사찰인근 소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소나무 활력도, 입지환경 특성을 조사해 소나무 생육과 입지환경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했다. 소나무림이 양호하게 남아 있는 전남지역의 천은사, 원효사, 증심사, 태안사 4개소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했다. 이 대상지의 교목층에는 모두 소나무가 우점하고 하층에는 낙엽활엽수종이 주로 출현했다. 소나무의 수령이 많은 천은사 지역보다 증심사 원효사의 소나무 생육상태가 전반적으로 좋지 않았다. 토양의 총질소량은 증심사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편이었는데 하층식생 발달로 총질소량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낙엽활엽수종과의 질소양분 경합에서 밀려 소나무의 생육이 악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해발고와 가지길이는 부(-)의 상관관계를, 경사도와 소나무 평균상대우점치도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해발고 경사도가 상승할수록 토양환경을 포함한 생육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소나무의 생장량 우점도가 저조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경사도는 소나무 가지길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소나무림이 주로 분포하는 입지환경 범위 내라면, 급경사지일수록 낙엽활엽수종과의 경쟁을 회피해 소나무 생육이 양호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증가할수록 소나무 생육이 더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토양양분 증가는 낙엽활엽수종의 식생 발달을 촉진해 소나무의 생육환경을 악화시켜 소나무림의 건전성 유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Study on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with Remote Sensing

  • Yuan, Jinguo;Long, Lim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250-255
    • /
    • 2002
  • This paper describes the study methods of identifying forest vegetation types, based on this study, forest vegetation classification method based on vegetation index is proposed. According to reflectance data of vegetation canopy and soil line equation NIR=1.506R+0.0076 in Jingyuetan, Changchun, China, many vegetation index are calculated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vegetation index and vegetation types are that PVI identifies broadleaf forest and conifer forest the most easily, the next is TSAVI and MSAVI, but their calculation is complex. RVI values of different conifer trees vary obviously, so RVI can classify conifer trees. In a word, combination of PVI and RVI is evaluated to classify different vegetation types.

  • PDF

광릉숲의 임상별 조류의 분포 현황 (Bird Distribution in Relation to Forest Types in Gwangneung Forest)

  • 권영수;박성근;황근연;김미란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8권2호
    • /
    • pp.137-14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005 to October 2007 to investigate bird distribution at three types of forest (mixed, broadleaf and coniferous) in Gwangneung forest. As a result, more birds used mixed forests than broodleaf and coniferous forest. During forest was opened to public, more birds also frequently used mixed forests. When forest was closed to public, there was no preference among three forest types. We also compared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between open and restricted area. More species and individuals used restricted area.

Can $CO_2$ concentration at one level of eddy covariance measurement be used to estimate storage term over forest\ulcorner

  • Choi, Tae-Jin;Chae, Nam-Yi;Kim, Joon;Lim, Jong-Hwan
    • 한국환경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과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Clean Environment
    • /
    • pp.47-50
    • /
    • 2003
  • $CO_2$ concentration profile was measured to investigate whether $CO_2$ concentration at one level (i.e., eddy covariance measurement level) can be used to estimate storage term without significant uncertainty at broadleaf deciduous forest at Kwangneung experiment forest in Korea. Based on t-test with significance level of 5%,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storage term from one-level $CO_2$ concentration and one from $CO_2$ profile measurement. Storage term constitutes on average 5% of half hourly net ecosystem exchange (NEE) even at unstable stability (i.e., well mixed condition), indicating that storage term should be considered even at daytime, which is sometimes neglected.

  • PDF

산불확산 저지를 위한 맥문동 식재폭 산정 야외실험 (A Field Experiment Study of Broadleaf Liriope Planting Width Calculation for Forest Fires Spread Blocking)

  • 권춘근;이시영;이시형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17-42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역에 군락으로 서식하는 상록 다년초인 맥문동을 이용한 현장 실험을 실시하여 지표화 방지 및 확산속도 저지를 위한 산불 이격거리를 제시하고자 삼척시 검봉산 맥문동 식재지에서 식재지 미식재지 총 4종류의 실험구를 설정하고 실험한 결과 맥문동 식재지는 미식재지에 비해 1.1-2.9배 산불확산속도 저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표화 발생시 산림내로 확산되기 전 초동진화에 필요한 시간(30분)을 감안하면, 산림인접지 부근의 식재폭은 최소 69m 최대 203m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ffect of Two Glomus Species Inoculations on Survival, Photosynthetic Capacity, Growth, Morphology ana Root Ginsenoside Content of Panax quinquefolius L.

  • Fournier, Anick R.;Khanizadeh, Shahrokh;Gauthier, Louis;Gosselin, Andre;Dorais, Martin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4호
    • /
    • pp.178-182
    • /
    • 2003
  •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e (VAM) fungi naturally colonise American ginseng roots and this relationship is highly beneficial to enhance plant productivity. Our goal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dding two Glomus species (Glomus etuticatum, G. intraradices) on survival, photosynthetic capacity, growth, morphology and root ginsenoside content of one-year-old American ginseng plants grown in a broadleaf forest. While our study revealed that VAM inoculations significantly affected root morphology and Re ginsenoside content, the survival, photosynthetic capacity and root growth of American ginseng plant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VAM inoculations. Surface area and volume of rootlets were 16-25% higher for ginseng grown in VAM-inoculated soil compared to those grown in the control plots. Also, Re ginsenoside content was 18 % higher in YAM-inoculated roots compared to controls.

용도별 세계목공예품의 수종조사 (Visual Inspection of Wood Crafts in Uses around World)

  • 김사익;조종수;윤승락;노정관;나종범;김동귀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22
    • /
    • 2006
  • This study attempted to visually inspect eight hundred wood crafts collected from various countries. These include sculputures, toys, jewl cases, kitchen wares, candle holder and wooden vases, stationery, sport outfits and etc. The most impressive wood is Myrtlewood, a broadleaf evergreen which grows along the coastline of southern Oregon and northern Califonia. Myrtlewood possesses a wide variety of grove patterns. This unique wood varies in color from a deep, rich brown to silver grey, red and every yellow. Myrtlewood is being recognized as being one of the most beautiful hardwoods in the world.

  • PDF

시계열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전국 산림의 임상 변화 특성 분석과 미래 전망 (Future Prospects of Forest Type Change Determined from National Forest Inventory Time-series Data)

  • 김은숙;정병헌;배재수;임종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1권4호
    • /
    • pp.461-472
    • /
    • 2022
  • 우리나라 산림의 임상은 자연적·인위적 요인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임상(침엽수림, 활엽수림, 혼효림)면적의 비율은 국가 산림자원 특성 파악에 중요하게 활용되는 정보이기 때문에 임상 변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전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임상 변화 발생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미래 임상 변화 예측치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제5차, 제7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의 10년 기간 임상 변화정보와 임상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기후, 지형, 임분, 교란 등)를 이용하여 임상 변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산림은 침엽수림이 감소하고 혼효림과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엽수림에서 혼효림으로, 혼효림에서 활엽수림으로 변화되는 지역은 주로 지형적으로 습윤하고 강수량이 많아서 수분관련 생육환경이 양호하며 주변에 활엽수림이 많은 지역이었다. 또한 기온이 높은 지역, 임분의 임령과 밀도가 낮은 지역, 주변 지역에 비산림이 많은 지역 등 교란 가능성이 높은 지역에서 변화가 많이 발생했다. 이러한 임상의 변화 특성을 반영하여 기계학습 모형(SVM)을 구축하고 기후변화시나리오(RCP 8.5)를 이용하여 미래의 임상 변화를 전망한 결과, 2015년에서 2055년까지 40년 동안 침엽수림은 38.1%에서 28.5%로 감소, 활엽수림은 34.2%에서 38.8%로 증가, 혼효림은 27.7%에서 32.7%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미래 임상분포 변화 정보는 향후 산림관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맥문동을 첨가한 배추김치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kimchi added with Broadleaf Liriope (Liriope platyphylla))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391-398
    • /
    • 2015
  • 본 연구는 맥문동 첨가가 김치의 맛과 발효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김치 제조 시 사용되는 재료의 무게를 기준으로 맥문동 첨가량을 0, 3, 5. 7, 10%로 달리한 후 $5^{\circ}C$에서 28일간 발효시키면서 pH, 산도, 총 균수, 젖산균수 조사와 관능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pH는 대조구에서 발효 7일째 급격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문동 처리구는 14일째까지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14일째 이후 큰 변화 없이 발효가 진행되어 최적숙기의 pH를 유지하였다. 산도는 대조구에서 발효 14일 이후 급격히 상승하였으며, 맥문동 처리구는 21일째부터 산도 변화가 거의 없었다. 총균수는 대조구에서 숙성 21일차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문동 처리구는 14일차 이후 큰 변화 없이 숙성이 진행되었고, 젖산균수는 총균수의 변화와 비슷한 결과를 보여 발효가 진행되면서 젖산균 수가 증가하였다가 21일차부터 변화가 거의 없이 28일까지 유지되는 양상을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 맥문동 처리구의 전체적인 기호도, 향미, 맛, 신맛, 감칠맛, 조직감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신맛과 감칠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맥문동 5% 처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나 맥문동을 5% 첨가한 처리구가 김치의 맛과 저장성을 향상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