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wing vinega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6초

Change of Ginsenoside Composition in Ginseng Extract by Vinegar Process

  • Ko, Sung-Kwon;Lee, Kyung-Hee;Hong, Jun-Kee;Kang, Sung-An;Sohn, Uy-Dong;Im, Byung-Ok;Han, Sung-Tai;Yang, Byung-Wook;Chung, Sung-Hyun;Lee, Boo-Yo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09-51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ginseng extract us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_3$, a special component in red ginseng. From when the ginseng saponin glycosides transformed into the prosapogenins chemically, they were analyzed using the HPLC method.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of an edible brewing vinegar. The results indicated that ginsenoside $Rg_3$ quantities increased over 4% at the pH 2-4 level of vinegar treatment. This occurred at temperatures above $R90^{\circ}C$, but not occurred at other pH and temperature condition. In addition, the ginseng and ginseng extract were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about 14% acidity). This produced about 1.5 times more ginsenoside $Rg_3$ than those processed with regular amounts of brewing vinegar (about 7% acidity) and persimmon vinegar (about 3% acidity). Though the white ginseng extract was processed with the brewing vinegar over four hr, there was no change for ginsenoside $Rg_3$. However, the VG8-7 was the highest amount of ginsenoside $Rg_3$ (4.71%) in the white ginseng extract, which was processed with the twice-brewed vinegar for nine h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inseng treated with vinegar had 10 times the quantity of ginsenoside $Rg_3$, compared to the amount of ginsenoside $Rg_3$ in the generally commercial red ginseng, while ginsenoside $Rg_3$ was not found in raw and white ginseng.

시판 발효식초의 원료에 따른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in commercial fermented vinegars made with different ingredients)

  • 나환식;최경철;양수인;이지헌;조정용;마승진;김진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2-487
    • /
    • 2013
  • 시판되는 발효식초 7종을 대상으로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pH는 감식초가 가장 높았으며, 양조식초, 무화과 식초, 쌀식초, 사과식초, 현미식초, 매실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산의 경우 현미식초, 사과식초, 매실식초가 6.33~6.57%의 범위를 보여 타 시료에 비해 조금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양조식초>무화과식초>감식초>쌀식초>매실식초>사과식초 순으로 나타났으며, ${\gamma}$-aminobutyric acid(GABA) 함량이 무화과식초와 감식초에서 타 시료에 비해 높게 분석되었다. 항산화성분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감식초>무화과식초>양조식초>쌀식초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그 경향이 총 폴리페놀 함량과 일치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현재 상업적으로 대량 판매를 하지 않는 무화과 식초가 타 식초에 비해 유기산 성분과 GABA 함량이 풍부한 기능성 식초를 제조하는데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hysicochemical Qualities and Flavor Patterns of Traditional Chinese Vinegars Manufactur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Aging Periods

  • Gao, Yaping;Jo, Yunhee;Chung, Namhyeok;Gu, Song-Yi;Jeong, Yong-Jin;Kwon, Joong-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2권1호
    • /
    • pp.30-36
    • /
    • 2017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ujian Yongchun aged vinegar (FYAV) and Shanxi mature vinegar (SMV)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fermentation methods applied and aging periods (3, 5, 8, and 10 years), and combined E-nose/E-tongue analyses were performed to assess their flavors. Compared with submerged fermentation-derived FYAV, solid-state fermentation-derived SMV showed higher values of pH, brix, soluble solids,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but not total acidity or total organic acids. Aging period resulted in an increase in pH, total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E-tongue/E-nose analyses was perform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vinegars produced by different fermentation methods and under aging periods. Solid-state fermentation and an aging process were considered good techniques for vinegar brewing, considering the various organic acids and high levels of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전통정치배양에 의한 농가형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arm-made brown rice vinegar via traditional static fermentation)

  • 백창호;정다희;백성열;최지호;박혜영;최한석;정석태;김재현;정용진;권중호;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4-57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전통 항아리를 이용하여 발효온도 및 여과 방법을 달리한 현미식초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산발효에 사용하는 발효제와 온도에 따라 적정산도는 발효 4~5주에 가장 높았으며, 강제여과가 전통여과방식보다 산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pH는 모든 구간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당도는 각각의 발효액 모두 초산 생성이 원활할 때는 발효초기와 비슷하게 유지되었지만, 발효액이 과산화 되었을 때는 당도가 낮아졌다. 유기산 함량은 발효온도와 여과방식에는 큰 차이는 없지만 다양한 발효제에 따라 발효 초기에 8종(oxalic, citric, malic, tartaric, succinic, lactic, acetic 및 formic acid 등)이 검출되었고, 발효가 진행되면서 acetic acid가 많이 생성되었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초산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지되거나 감소의 폭이 적었으며, 초산함량이 감소하는 발효 6주에 총 아미노산 함량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아리에서 초산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초산함량이 증가할 때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효온도 및 여과방식을 달리함에 따라 유기산 및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차이가 큰 것으로 판단되며, 초산 발효액의 경우, 향후 숙성과정에서 유기산 및 유리 아미노산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장기 숙성에 따른 초산 발효액의 품질변화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발효제 비율에 따른 현미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Vinegar by Ferment Ratio)

  • 백창호;최지호;최한석;정석태;이수원;권중호;우승미;정용진;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875-883
    • /
    • 2011
  • 양조용 발효제 비율을 달리한 현미 술덧을 정치배양하여 현미식초를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발효과정에서 알코올 함량은 (B) 9.1%, (C) 8.8%, (D) 8.6%, (E) 8.5%로 조효소제 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고 (A)는 7.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적정산도는 모든 구간에서 0.7% 정도로 나타났다. 정치배양 현미식초의 최종 적정산도는 (BV)가 약 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기 pH는 3.6~4.0으로 나타났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감소 하였으며, 발효 15일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유기산 함량 변화를 조사한 결과, acetic acid는 모든 첨가구에서 비슷한 함량을 나타내었고, 기타 유기산들은 단일 첨가구(AV, EV)보다 혼합 첨가구(BV, CV, DV)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누룩 단일 첨가구에 비하여 누룩 및 조효소제 혼합 첨가구의 알코올 발효능 및 식초의 품질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숙성과정에서 변화를 거치면서 향기성분, 관능적 특성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어 다양한 식초의 품질인자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식초양조(食醋釀造)에 있어 밀감과피즙(果皮汁)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Orange Peel in the Spirit Vinegar Brewing)

  • 김용호;박윤중;손천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108-116
    • /
    • 1981
  • 밀감과피(果皮)를 이용(利用)한 주정초(酒精醋)를 생산(生産)하는데에 필요(必要)한 기초질료(基礎質料)를 얻기위(爲)하여 실험(實驗)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과피수율(果皮收率)은 29.0%였다. 2.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함유량(含有量)은 25%내외(內外)가 적당(適當)하였다. 3. 배지중(培地中)의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가 70% 이상인 경우에는 초산(醋酸)발효가 저해되었으며 밀감과 피즙 농도가 90%인 경우에는 밀감 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 25%에 비(比)하여 초산생성(醋酸生成)의 최고산도가 약(約) 1% 저하되었다. 4. 초산(醋酸)발효 배지중(培地中)의 밀감과피즙(果皮汁) 농도(濃度)를 25%로 하여 통기(通氣) 발효를 할 경우 평균(平均)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062g/100ml.hr. 대수기의 산생성속도(酸生成速度)는 0.15g/100ml.hr., 이론치에 대한 실제치의 산화수율(酸化收率)은 91.4%였다. 5. 초산(醋酸) 발효액에서 oxalate, malate 등(等)이 검출 되었다. 6. 밀감 과피즙(果皮汁) 함량 25% 배지(培地)를 사용(使用)할 경우 생성(生成)된 식초(食醋)의 품질(品質)은 상당히 양호(良好)하였다.

  • PDF

고산도 생성 초산균의 분리 및 발효특성 (Characterization of Acetobacter sp. Strain CV1 Isolated from a Fermented Vinegar)

  • 백창호;백성열;이세희;강지은;최한석;김재현;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6-13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정치 배양법으로 고농도의 초산을 생산할 수 있고 에탄올 내성이 우수한 균주를 확보하고자 농가형 발효식초에서 초산균을 분리 및 선발하였고, 이들 초산균의 형태적 특징을 조사한 바, 분리균 CV1은 그람 음성으로 운동성이 없는 간균으로 나타났다. 분리균의 chemotaxonomy를 분석한 결과, meso-DAP이며, 대표 퀴논은 Q10이고, G+C mol 함량은 61.0 mol %로 나타났으며 16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Gluconacetobacter saccharivorans로 동정되어 Glu. saccharivorans CV1로 명명하였다. CV1 초산균의 최적 성장조건은 30℃, pH 3.0 이상으로 판단되었고 에탄올 농도에 따른 초산 생성능은 10% 에탄올 농도에서 9.3%, 9% 에탄올 농도에서는 8.4% 적정산도를 나타내어 고농도 에탄올 조건에서도 높은 산 생성능을 나타내는 우수한 균주로 판단되었다.

「음식절조(飮食節造)」를 통해 본 조선시대 후기의 음식문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f the Food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rough Eumsikjeoljo (飮食節造))

  • 한복려;박록담;김귀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27
    • /
    • 2021
  • Eumsikjeoljo (integrity with food) originally came from the Andong district, where the Goseong Yi clan inherited a cookbook from their ancestor Lee Jeong-Rong (1798~1871). The cookbook was written in an antiquated style and is estimated to have been written around the year 1865. Details of the era and authorship are seldom available for the extant ancient cookbooks. The authors of these books and the period during which these books were precisely written were studied through the Eumsikjeoljo which is a repository of 46 cooking disciplines. Of these 10 deal with the practice of traditional Korean crispy snack making, 4 with rice cake making, 3 of the yeonbyeong kind, 19 examples of Korean side dish making, 6 recipes of the kimchi variety, 2 examples of paste-based recipes, and 2 instances of instructions on how to make vinegar-based extracts. Also, in Eumsikjeoljo, there are descriptions of 29 different ways to brew rice wine. Of these, Danyang wine among the Leehwa wines and 13 others account for over 44% of the content. Leeyang wine and Sogok wine are represented by 10 different varieties and constitute around 34% of the entries. Samyang wine and Baek-il wine, along with 6 others, constitute 21% of the entries. The secret recipes of the Goseong Yi clan in the Andong district were recorded so that they could be transferred to the descendants of the clan. An inspection of the recipes and wine brewing techniques recorded in Eumsikjeoljo provides a clearer picture of the mid-1800s Andong noble family's traditional food habits and simultaneously sheds light on the late Joseon dynasty's food culture.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제조한 현미 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 백창호;최지호;최한석;정석태;김재현;정용진;여수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75
    • /
    • 2013
  • 본 연구는 발효조건을 달리한 현미 막걸리의 술덧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발효제와 발효온도에 따른 알코올의 차이는 $30^{\circ}C$ 발효가 $20^{\circ}C$보다 알코올 도수가 평균 2%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당화력 차이는 발효 초기부터 $20^{\circ}C$보다 $30^{\circ}C$ 발효액의 당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알코올 도수에도 영향을 미치며, pH는 발효 4일까지는 서서히 감소하였고 그 이후, 변화의 폭은 크지 않았다. 적정산도는 발효가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0^{\circ}C$ AK의 적정산도가 가장 높게(0.57%) 나타났고, $30^{\circ}C$ 발효 술덧에서는 0.66%로 산패 가능성은 없었다. 색도 중 L 값과 a 값은 발효초기의 모든 술덧에 비해 발효 종료시점에 조금 낮아지며, b 값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꾸준히 상승하였다. 발효 술덧의 유기산은 총 9종이 검출되었으며, 그 중 citric acid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Lactic acid는 오히려 $20^{\circ}C$ 발효술덧에서 더 많이 검출된 것으로 보아 발효온도에 따라 생성된 유기산이 차이가 있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발효제 종류 및 발효온도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었고, 유리아미노산은 $20^{\circ}C$보다 $30^{\circ}C$ 발효 술덧에 많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보면, $30^{\circ}C$에서 제조한 현미 막걸리가 더욱 우수한 품질을 가지며, 누룩 종류 및 발효온도에 따라서 현미 막걸리의 주질이 결정된다. 향후, 농가형 흑초 제조에 적합한 현미 막걸리의 술덧 제조가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