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east examination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21초

중장년층의 구강보건행동과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for the Middle-aged people)

  • 문보애;정선락;장정유;김건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97-204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ora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status,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national oral health policy. Methods: The primary data of the 5th Nationa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al Survey(NHANES) in 2012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2,243 middle-aged people(40-59 years old), 827 persons were excluded for missing value or having diseases affecting quality of life(depression, stroke, cardiac infarction, angina, liver cancer, stomach cancer, colon cancer, breast cancer, cervical cancer, lung cancer, thyroid cancer, other cancers, arthritis), and 1,416 data were finally analyzed. Results: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ubjects' characteristic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education, family income, and employment status(p<0.01) except for current smoking. Oral health behavior didn't have significant relation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ut better oral health status showed bette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p<0.01). Conclus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moddle aged people. Therefore, national oral health policy is needed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with commitment of oral prophylaxis and care programs to the individual and community.

흉통(胸痛)의 형상의학적(形象醫學的) 치료 (Chest Pain and Hyungsang Medicine)

  • 오충환;강경화;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117-1125
    • /
    • 2006
  • A study is made on the chest pain in the perspective of Hyungsang medicine.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produced by the examination on the clinical cases of chest pain. Excessive atmospheric influences (wind, rain, cold and summer heat) are the exogenous causes of chest pain. The endogenous causes are diet, dwelling, sexual life and emotions. Persons of bird type are attacked by the chest pain because of emotional depressions. Those of running animal type get sick of chest pain when wood checks earth. Those of turtle type are a afflicted with chest pain due to depression and stagnation of Ki. Those of fish type suffer from chest pain when the ministerial fire of the liver and kidney becomes hyperactive. Chest pain is causes by leakage of Jung for the Jung kwa person, by stagnation of Ki for the Ki kwa person, by flaming fire due to deficiency of Yim for the Shin kwa person and Dy failure of water and fire in complementing each other for the Hyul kwa person. Chest pain often occurs to persons with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upward nose, Dig eyes, chapped lips, pronounced foot of nose, red or yellow complexion, frowning face and wrinkles on the nasal radix. Among the six meridian types, chest pain is often found in the persons of Yangmyung and Taeum meridians. Women suffer from chest pain more often than men because breast is a center of life to her.

유방 섬유선종이 있는 2, 30대 여성의 HRV 특성 연구 (A Study on Heart Rate Variability(HRV) of Women with Fibroadenoma)

  • 안지윤;최석영;이미주;이진무;장준복;이경섭;이창훈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6-65
    • /
    • 201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eart Rate Variability(HRV) in women with fibroadenoma compared with non-fibroadenoma women. Methods: We studied 82 patients visiting Kang-Nam Kyung-Hee Korean Hospital Medical Examination Center from January, 2010 to November, 2011.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 two groups, fibroadenoma group(n=16) and non-fibroadenoma group (n=66).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HRV between two groups. Results: The square root of the mean squared difference of successive NNs (RMSSD) in fibroadenoma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fibroadenoma group. LF/HF ratio in fibroadenoma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fibroadenoma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w frequency(LF) and high frequency (HF). However, normalized LF in fibroadenoma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fibroadenoma group. In addition, normalized HF in fibroadenoma group is significantly lower than non-fibroadenoma group. Conclusions: Fibroadenoma group is related to autonomic nerve imbalances that is assumed by psychological problems.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행위: 체계적 문헌고찰 (Cancer Health Literacy and Cancer Screening Behaviors: A Systematic Review)

  • 곽영여;김현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73-385
    • /
    • 2021
  • 글로벌 데이터를 사용하여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PRISMA 리뷰 가이드라인에 따라 2021년 1월31일까지 PubMed, CINAHL, Embase, Cochrane Library 4개의 웹 데이터베이스에 발표된 원문을 검색하였으며, 참고문헌 목록을 통해 추가로 검색하였다. 18세 이상의 참여자,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포함 기준에 충족되는 17건의 원문은 암 건강정보문해력을 측정했고 암 조기진단 행위에는 유방 촬영술, 임상 유방암 검진, Papanicolaou 검사, 대장 내시경 검사, PSA 검진 등이 포함되었다. 그중에 11건의 원문에서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 사이는 통계적으로 높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암 건강 지식에 대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암 조기진단율 과 공중 보건 향상을 위해서 암 건강정보문해력과 암 조기진단 행위에 관한 모든 영역으로 연구 범위를 확대하여야 한다.

일개한방병원에서 전라북도산후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해 한약치료를 받은 산모에 대한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ject at one korean medicine hospital)

  • 정서윤;이은희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64
    • /
    • 2021
  •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medical records and online survey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ject.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proposal of a postpartum questionnaire of korean medicine for the initial examination, and the project direction.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cal records of 46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using the Jeollabuk-do Postpartum Health Support Program at one korean medical hospital. The mother's general characteristics, past history, symptoms, an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 were analyzed. In addition, through the 33 mothers who responded to the online survey questionnaire, 13 items including medication satisfaction, lactation, and side effects were investigated.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34.46±4.27 years. Musculo-skeletal pain was the most common in both medical records and online surveys. The date of visit from the date of delivery was 47.56±57.15 days. Boheo-tang was prescribed the most, and 84.8% of mothers answered positively about their health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Conclusions: The satisfaction of mothers who received herbal medicine treatment through this project was very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side effects on the mother and the breastfeeding baby who took herbal medicine. In the future, support projects for postpartum korean medical treatment at the national or local level will be necessary.

Clinical profile and cytogenetic correlations in females with primary amenorrhea

  • Divya Chandel;Priyanka Sanghavi;Ramtej Verma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3호
    • /
    • pp.192-199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romosomal abnormalitie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clinical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females with primary amenorrhea (PA). Methods: Detailed forms were recorded for 470 females, including the construction of three-generation pedigrees. Peripheral venous blood was drawn, with informed consent, for cytogenetic analysis. Results: An abnormal karyotype was found in 16.38% of participants. The incidence of structural abnormalities (6.8%) exceeded that of numerical abnormalities (6.15%). Turner syndrome represented 45% of all numerical abnormalities. Furthermore, the Y chromosome was detected in 5% of females with PA. Among the structural chromosomal abnormalities detected (n=32) were mosaicism (25%), deletions (12.5%), isochromosomes (18.75%), fragile sites (3.12%), derivatives (3.12%), marker chromosomes (3.12%), and normal variants (29.125%). An examination of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29.6% of females had a complete absence of breast development, 29.78% lacked pubic hair, and 36.88% exhibited no axillary hair development. Radiological findings revealed that 51.22% of females had a hypoplastic uterus and 26.66% had a completely absent uterus. Abnormal ovarian development, such as the complete absence of both ovaries, absence of one ovary, one absent and other streak, or both streak ovaries, was observed in 69.47% of females with PA. Additionally 43.1%, 36.1%, 67.4%, and 8% of females had elevated levels of serum follicle-stimulating hormone, luteinizing hormone, thyroid-stimulating hormone, and prolactin,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karyotyping as a fundamental diagnostic tool for assessing PA. The cytogenetic correlation with these profiles will aid in genetic counseling and further management of the condition.

한국 유아의 영양 섭취 현황: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Toddler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 김영호;이선근;김신혜;송윤주;정주영;박미정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4권2호
    • /
    • pp.161-170
    • /
    • 2011
  • 목적: 한국 영유아의 영양 섭취 실태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한국 유아들의 식이 행태, 식이보충제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2009년까지의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4세 미만의 영유아 930명(남 499명, 여 431명)을 대상으로 영아기의 식이 행태, 식이보충제 및 영양소 섭취 실태를 조사하였다. 결과: 식이보충제를 복용하는 유아는 48.7%로 절반가량이었으며 비타민/미네랄제가 35.3%로 제일 많았고 정장제 14.2%, 초유 8.2%였다. 식이보충제를 시작한 동기로는 95.4%가 친척이나 친구의 권유로, 0.7%가 자신의 판단으로 보충식을 시작했다고 답하였으며 의사의 권유로 보충제를 시작하는 비율은 0.3%에 불과하였다. 영양소 섭취 조사에서 유아의 51.6%는 탄수화물의 적정 비율을 섭취하고 있었고 32.7%가 적정 비율을 초과하여 섭취하고 있었다. 단백질의 경우 대상아의 94.8%가 적정 비율을 섭취하고 있었고, 지방의 경우 53.4%는 적정 비율을, 38.8%는 적정 비율 미만을 섭취하고 있었다. 칼슘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유아의 비율은 1세 53.9%, 2세 55.2%, 3세 65.6%, 철을 평균 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유아는 1세 52.0%, 2세 48.7%, 3세 48.4%였다. 영아기의 수유 패턴은 혼합 수유가 57.4%로 제일 많았고 32.2%가 모유 수유만, 10.4%가 분유 수유만을 하고 있었다. 이유식 도입시기는 4~6개월이 64.5%로 가장 많았고, 우유 도입시기는 12~17개월이 71.1%로 가장 많았다. 결론: 우리나라 만 1~만 3세 이하 유아의 절반가량이 의사의 상담 없이 식이보충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칼슘, 철 섭취가 부족할 위험이 높았다. 이 시기의 영양관리를 위해 소아청소년과 의사를 비롯한 전문가의 역할이 보다 강조될 필요가 있다.

냉동과 해동처리가 계육 가슴살의 natural microflora, 접종된 Listeria monocytogenes와 Campylobacter jejuni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reezing and Thawing Treatments on Natural Microflora, Inoculated Listeria monocytogenes and Campylobacter jejuni on Chicken Breast)

  • 최은지;정영배;김진세;천호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2-50
    • /
    • 2016
  • 본 연구는 다양한 냉동과 해동처리에 따른 계육 가슴살에 natural microflora, 접종된 L. monocytogenes와 C. jejuni 수와 미세구조 변화 구명을 위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20^{\circ}C$ 송풍식 냉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과 C. jejuni 수는 4.06 log CFU/g과 4.09 log CFU/g으로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약 0.7 log CFU/g과 1.0 log CFU/g의 감소를 보였다. 한편, 계육 가슴살 접종된 L. monocytogenes 수는 냉동방법과 냉동온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circ}C$$25^{\circ}C$ 송풍식 해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수는 3.70 log CFU/g과 4.02 log CFU/g으로 측정되어 대조구와 비교하여 각각 0.72 log CFU/g과 0.40 log CFU/g 감소한 반면 $25^{\circ}C$ 유수식 해동처리구의 총 호기성 세균 수는 해동과정에서 균수가 급격히 증가하여 5.78 log CFU/g으로 관찰되었다. 해동 중 C. jejuni 수 변화는 해동방법보다 해동온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냉동-해동 반복 5회 후 총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 수는 감소하여 각각 4.15 log CFU/g과 2.30 log CFU/g을 보였다. 계육 가슴살에 접종된 L. monocytogenes 수는 냉동-해동 반복처리에 유의적인 영향이 없었지만 C. jejuni 수는 냉동-해동 반복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냉동-해동 반복이 증가함에 따라 근섬유 조직을 재 손상시켰으며 특히 냉동-해동 반복 5회 후에는 계육 가슴살 시료의 조직세포 외부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공간이 발생하였으며 불균일하게 찢어진 세포가 관찰되었다.

모유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의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용혈 및 항균 효과 (Anti-Hemolytic and Antimicrobial Effects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of Enterococcus faecalis Isolated from Human Breast Milk)

  • 이은지;이정은;조소연;김수빈;유두나;국무창;김애정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19-52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강한 산모의 모유에서 분리한 E. faecalis BMSE-HMP 4주의 용혈여부와 다제내성 균에 대한 항용혈 효능 및 항균 효과를 확인하였다. 분리 균주의 효소 활성을 측정 결과, E. faecalis BMSE-HMP 4주는 지질에 대한 가수분해 효소인 esterase 및 esterase lipase에 대한 활성이 우수하였다. 용혈여부를 확인한 결과, 분리균 모두 용혈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용혈을 일으키는 다제내성 균주에 대한 항용혈 효능을 검토한 결과, S. aureus CCARM 3855에 대한 항용혈 효능은 BMSE-HMP002가 75.71 ± 10.00%로 가장 높았으며, E. coli DC 2 CCARM 0238과 P. aeruginosa CCARM 0223에 대한 항용혈 효능은 BMSE-HMP001이 각각 76.92 ± 2.99%와 87.93 ± 1.9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제내성균 Staphylococcus spp., Escherichia spp., Pseudomonas spp., Salmonella spp., Klebsiella spp. 및 Enterobacter spp.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토한 결과, E. faecalis BMSE-HMP 4주는 그람 양성균주와 그람 음성균주에서 모두 항균력을 보였으며, 분리균 4주 중에서는 BMSE-HMP001과 BMSE-HMP002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유유래 유산균 E. faecalis BMSE-HMP 4주의 안전성과 다제내성 균에 의한 용혈 및 항균 효과를 검토하여 유용 유산균으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Enterococcus 균주는 항생제 내성 유전자 및 독성 유전자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고시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 분리한 모유유래 유산균 E. faecalis BMSE-HMP 4주의 항생제 내성 및 독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안전성에 대한 입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대 저체중 한국여성의 건강 및 영양 상태: 2010~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underweight women in their twenties: Based on the 2010~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정사랑;김성희;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2호
    • /
    • pp.99-110
    • /
    • 2016
  • 본 연구는 저체중인 20대 성인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1) 20대 여성의 저체중군과 다른 군들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교육수준은 저체중군이 가장 높았고 저체중군은 운동을 하지 않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은 세 군에 비해 소득수준과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비율 또한 가장 높았다. 저체중군의 미혼 비율은 비만군보다 높았다. 2) 혈액 및 혈압 검사를 분석한 결과 각 항목의 평균은 비만도의 네 군 모두 정상수치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비만도별 네 군을 비교한 결과 저체중은 과체중, 비만보다 만성질환 위험이 낮아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여성력 분석 결과 저체중군의 모유수유 경험 비율이 가장 낮았다. 이는 출산 경험 비율이 가장 낮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비만군보다 저체중군의 무월경의 비율은 낮았고 규칙적으로 월경을 하는 비율은 높았다. 4) 비만도군별 질환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률이 과체중군과 비만군 보다 낮았으며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다. 고혈압 유병여부의 '고혈압 전단계' 비율은 저체중군이 정상군보다 높았으나 과체중군과 비만군보다 낮았다. 당뇨병 유병여부는 저체중군, 정상군에 비해 과체중군, 비만군이 '공복혈당장애'와 '당뇨병'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20대의 젊은 연령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기 때문에 질환 유병에 해당되는 대상자가 극소수로, 저체중인 20대 여성의 비만도군별 질환의 특성을 규명하기 어려웠다. 또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유병 여부는 극소수였으나 저체중군이 과체중, 비만군보다 유병률이 낮았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빈혈은 비만도가 낮을수록 유병률이 높았다. 5) 20대 여성의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은 네 군 간에 차이가 없었고 영양섭취는 양호하였다. 6) 식품의 섭취빈도와 1일 섭취량 (g)을 분석한 결과 저체중군의 유제품 섭취빈도는 정상군, 과체중군에 비해 섭취빈도가 낮았다. 또한 곡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정상군, 과체중군보다 매우 높았으며 난류의 섭취량은 저체중군이 비만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 결과 20대 저체중 여성의 건강은 정상체중 여성의 건강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저체중 여성은 과체중과 비만 여성보다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유병률이 낮았고 빈혈의 유병률은 높았으며 영양소 섭취는 비만도군 별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나트륨 섭취는 과다하고 칼슘 섭취가 부족하여서 향후 양호한 영양상태 및 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올바른 식습관 등 건강행태와 적절한 영양소 섭취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저체중 여성을 극저체중 여성과 구분하지 않았으므로 극저체중 여성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