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d attachment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2초

화장품 소비욕구가 구매동기, 브랜드 만족, 애착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smetic Consumption Need on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Attachment, and Loyalty)

  • 이진;황진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82-893
    • /
    • 2013
  • This study provides an efficient marketing strategy for the cosmetic market by analyzing the effect of consumer desire on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 research conducted a survey using convenience sampling for adult women (from 20 years to 60 years) who purchased cosmetic items within 6 months. A total of 463 sampl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consisted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Customer cosmetic consumption need had six factors: exhibition need, safety need, need to look younger and to pursue beauty, need to go along with others, eco-friendly need, and pleasure need. The buying motive had four factors: others-oriented motive, motive to keep skin healthy, economic motive, and motive to change products. The causality model showed that customer consumption need influenced buying motive,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There were also significant effects on buying motive for brand satisfacti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In addition, there were indirect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consumption need and brand loyalty. The pursuit for pleasure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brand loyalty.

명품브랜드-자아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The Effects of Luxury Brand-Self Identification on Brand Attachment and Brand Commitment - The Moderating Role of Regulatory Focus -)

  • 안광호;이지은;전주언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1-33
    • /
    • 2009
  • 명품브랜드의 대중화에 따라 명품브랜드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지만 기존 연구들은 명품브랜드 구매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규명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명품브랜드 소비자들이 타인에게 인정받기 위한 수단과 자아만족의 수단으로 명품브랜드를 소비한다는 관점에서 소비자와 명품브랜드간의 관계형성경로를 개발하고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을 인과모델의 주요 구성개념으로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각 구성개념간 인과관계에서 조절초점의 조절효과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브랜드 개성의 5차원 가운데 '생동감', '성실성' 그리고 '세련됨'이 소비자와 명품브랜드간의 동일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성실성' 요인이 브랜드 동일시에 상대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국내 소비자들이 명품브랜드의 소비시 주위의 부정적 시각을 피하고 사회적 바람직성(social desirability)을 추구하는 성향이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다음으로 명품브랜드에 동일시를 느끼는 소비자는 명품브랜드에 대해 애착의 관계를 형성하며 형성된 애착은 브랜드 몰입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명품브랜드에 동일시를 느끼는 소비자는 해당 명품브랜드를 통해 자아표현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정서적 유대관계를 형성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동일시-브랜드 애착-브랜드 몰입의 인과관계에서 조절초점 유형의 조절효과를 살펴 본 결과 방어초점지향의 소비자 집단에서 인과 경로계수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이는 관계를 의식하는 성향이 높은 소비자일수록 명품브랜드와의 관계단절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브랜드 애착이 제품 사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속성 정렬 가능성의 조절적 역할: 스마트폰 사용자 중심으로 (The Moderate Effect of the Attribute Alignability on the Relations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Product Usage Behavior: Focus on Smartphone Users)

  • 조재욱;박승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41-147
    • /
    • 2020
  • 본 연구는 브랜드 애착이 제품의 내형 변형 행동과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제품 속성 정렬가능성(attribute alignability)의 조절적 역할을 파악하는 연구이다.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 브랜드 애착이 높을수록 제품 내형변형행동과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애착이 높은 소비자는 브랜드 애착이 낮은 소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속성 정렬 가능 차별점이 높을수록 제품의 내형변형행동이 크고, 속성 정렬 불가능한 차별점이 클수록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는 기업에서 소비자의 제품 내형변형행동에 있어,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가능 차별점을 높임으로써,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품 사용상황 확장행동에 있어서는 제품에 대한 속성정렬 불가능 차별점을 통해 경쟁제품 속성과 차별화하여 브랜드 애착을 강화하고, 자사 제품에 있어 차별적 경쟁우위로 활용할 수 있다.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Brand Internalization on the Organizational Brand Permanence)

  • 최수아;황윤용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77-93
    • /
    • 2019
  • 본 논문은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조직브랜드 내부화가 고객지향성, 브랜드애착, 조직브랜드 영속성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고객지향성과 조직브랜드 영속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브랜드애착의 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실증적 연구 결과, 조직브랜드 내부화는 종업원의 브랜드에 대한 애착을 높이고 고객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브랜드애착이 높아질수록 조직 내 직원들은 고객의 니즈를 잘 인지하고 공유함으로써 조직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한 핵심역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기업들은 브랜드를 단일된 컨셉으로 잘 조직화함으로써 내부 브랜드 파워를 강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직원의 조직적 통합화를 실현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 같은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 특성이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Platform Influencer Characteristics on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 김은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557-567
    • /
    • 2023
  • 최근 소셜 플랫폼 마케팅 환경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기업은 브랜드와 서비스를 홍보하기 위해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소셜 인플루언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 특성이 소비자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 특성, 소비자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60부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 특성 중 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신뢰성, 전문성과 친밀성으로 나타났으며, 소셜 플랫폼 인플루언서에 대한 애착도가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디지털 제품의 브랜드 확장에 관한 연구 : 소비자의 제품 애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rand Extension of Digital Product : Focused on Consumer's Attachment to Product)

  • 임양환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79-190
    • /
    • 2010
  • With science and technology getting more and more advanced, the scope of digital product is expanding and the new products continuously are introduced on the market. On the basis of consumers' attachment to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consumers' behaviors towards the product when a digital product is extended. As a result of an empirical analysis, it turned out that a consumer tended to have higher trust and a positive emotion about relevant goods if he or she had a strong attachment to digital products. However, even though one had a strong attachment to digital products, the emotion about the corresponding brands did not necessarily appeared to be positive. In the event that a brand of digital products was extended to other new products, only the trust in the brand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sumers' behaviors towards the extended produc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strategies in response to customers' attachment to digital product.

뉴럭셔리 패션브랜드 제품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몰입에 미치는 영향 -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애착에 의한 이중경로 형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New Luxury Fashion Brand's Product Benefit on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 Focus on dual path model by brand Attitude and brand Attachment -)

  • 최미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17-727
    • /
    • 2011
  • As new luxury brands are becoming more popular, recent new luxury consumers are showing different tendencies of consum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s the specific bond between the product benefits for new luxury fashion brand and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dual path which leads to brand loyalty and brand commitment. 300 data from on-line survey were collected from middle class women who had trading up needs and respondents were asked to select their favorable new luxury fashion bran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dimensions of product benefit for new luxury brand groups, four factors were extracted; psychological/emotional benefits, social/symbolic benefits, self-expressive benefits, and product functional benefit. Additional results show that brand attitude had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had more positive effect on brand commit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 on market segmentation for new luxury brands.

브랜드 애착, 브랜드 네임, 브랜드 이미지 일치성이 태도, 구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Brand Image Congruence on Brand Attitude, WOM and Revisit Intentions in the Restaurant Sector)

  • KIM, Eun-Jung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53-66
    • /
    • 2022
  • Purpose: How to build the attitude on brand is very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 positive word of mouth and revisit intention.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image congruence play important role on consumer behavior in terms of reinforcing consumers' perception of food service companies and differentiating them from competing brands. Following the planned behavior theory,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linking brand attitude to word-of-mouth and revisit intentions in the restaurant secto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paper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rand attachment, brand name, image congruence, brand attitude, WOM, and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test the purposes of this study,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is study based on previous studies. All constructs were measured by multiple items tested and develop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is based on the quantitative method and considered 519 questionnaires fulfilled by customers of restaurants. The data were explored employing the partial least square-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PLS-SE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o mea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tool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Result: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brand attachment and brand name had positive effects on attitude while image congruence did not have. Also, attitude had positive effect on WOM and revisit intention. Conclusions: This study expands the literature about WOM and revisit intentions. This study expands prior research in a similar field to whic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is applied, and reveals that brand attachment, brand name, and brand image congruence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brand attitude that affect revisit intention and WOM. And provide guidelines on how to enhance competitiveness in the restaurant sector based on understanding of linking brand attitude to customer loyalty and repeat business. By putting into practice these suggestions in the restaurant industry, brands can easily build up their attitude and boost a positive WOM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SNS 이용동기가 브랜드 관계에 미치는 영향 관계 고찰: 자기결정이론 적용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motivation of using the corporate Facebook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 : Focused on a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ory)

  • 이은지;구철모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7권1호
    • /
    • pp.67-8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motivations of corporate Facebook usage and to examine the impacts of usage motivations on brand attachment, trust and loyalty. Design/methodology/approach A conceptual model is developed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SDT) and the previous studies. We conducted a web survey with a convenient sample of 121 Facebook users who clicked "Like" button on the corporate Facebook pages. Findings The followings are the findings of the study. First, intrinsic motivation(Entertainment)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attachment. Second, extrinsic motivation(information exchange)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trust. Third, brand attachment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These findings provide a valuable basis for constructing an explanatory model for "Like"-clicking behaviors of corporate's Facebook community platform users, as well as making significant practical contributions to enhance social and commercial benefits for businesses and individuals.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 플로우(Flow), 커뮤니티 동일시, 브랜드 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Utilization Motivation Of Online Brand Community And The Flow, Community Identification, Brand Attachment)

  • 한광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9권2호
    • /
    • pp.27-52
    • /
    • 2010
  • 본 연구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이용 동기(정서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적 동기)가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력 차이는 어떻게 나타나며, 플로우를 매개하여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몰입에는 어떠한 구조적 관계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중에서 두 경로 간 크기를 통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위계적 카이스퀘어 분석(hierarchical chi-squal analysis)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가 플로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정서적 동기, 사회적 동기, 정보적 동기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사회적 동기와 정서적 동기가 플로우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며, 정보적 동기가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은 이들 두 이용 동기보다 상대적으로 미약하였다. 둘째,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통해 형성된 플로우는 커뮤니티 동일시와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커뮤니티 동일시가 브랜드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의 이용 동기를 통해 형성된 플로우는 커뮤니티 동일시를 통해 브랜드에 애착된다고 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