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nched block copolym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Poly(Ethylene Glycol)-branched Polyethylenimine-poly(L-phenylalanine) Block Copolymer Synthesized by Multi-initiation Method for Formation of More Stable Polyelectrolyte Complex with Biotherapeutic Drugs

  • Park, Woo-Ram;Na, Kun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41권2호
    • /
    • pp.95-102
    • /
    • 2011
  • An amphiphilic cationic branched methoxy poly (ethylene glycol)-branched polyethylenimine - poly(L-phenylalanine) (mPEG-bPEI-pPhe) block copolymer was successfully synthesized by ring-opening polymerization (ROP) of N-carboxyanhydride of L-phenylalanine (Phe-NCA) with mPEG-bPEI for the preparation of more stable polyelectrolyte complex (PEC) included a hydrophobic interaction. mPEG-bPEI was firstly prepared by the coupling of mPEG and bPEI using hexamethylene diisocyanate (HMDI).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mPEG-bPEI-pPhe copolymers were confirmed by $^1H$ NMR. The copolymers exhibited a self-assemble behavior in water above critical aggregate concentration (CAC) in the range of 0.01-0.14 g/L. The CAC of copolymers obviously depended on the hydrophobic block content in the copolymers (the value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pPhe block content). The cationic copolymers have the ability to form multi-interaction complex (MIC) with bovine serum albumin (BSA) and plasmid DNA through multi-interaction (electrostatic and hydrophobic interacti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complex was carried out by the measurement of zeta potential and particle size. Their zeta-potentials were positive (approximately +10 mV) and their sizes decreased with increasing pPhe contents in the copolymers (PPF/BSA wt% ratio = 2). The complex showed good stability at high ionic strength. Therefore, mPEG-bPEI-pPhe block copolymer was considered as a potential material to enhance the stability of complex including biotherapuetic drugs.

연료전지용 Poly(Styrene-Butadiene-Styrene) Star Triblock Copolymer의 고분자 전해질 분리막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of Poly(Styrene-Butadiene-Styrene) Star Triblock Copolymer for Fuel Cell)

  • 에드윈 가르시아;정범석
    • 멤브레인
    • /
    • 제29권5호
    • /
    • pp.252-262
    • /
    • 2019
  • 서로 다른 술폰화 정도에 따라 sulfonated star branched poly(styrene-b-butadiene-b-styrene) triblock copolymer (SSBS)가 합성되었다. 술폰화된 butadiene block은 FT-IR spectroscopy로 확인할 수 있다. 술폰화 정도를 측정 비교하기 위해서 산-염기 적정을 통하여, ion exchange capacity (IEC)를 계산하였다. 술폰화된 SSEB 전해질막은 높은 water uptake와 proton conductivity를 보였다. 실온에서 25 mol% 술폰화된 SSBS는 0.114 S/cm라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이는 Nafion과 비슷한 수치였다. 일정한 상대 습도에서 온도의 증가는 현저하게 높은 수소이온전도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술폰화된 막은 Nafion과 비교했을 때 낮은 methanol 투과도를 보여주었다. AFM을 이용하여 술폰화된 전해질막의 구조는 이른바 분리된 나노구조의 미세상과 ionic channel의 접속으로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부분불소계 Poly(Arylene Ether Sulfone) 블록이오노머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지체 함량의 효과 (Effect of Branching-agent Content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Partially Fluori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Block Ionomer Membranes)

  • 전성훈;장봉준;강호철;김정훈;주혁종
    • 멤브레인
    • /
    • 제21권1호
    • /
    • pp.1-12
    • /
    • 2011
  • 연료전지용 프로톤 전도성 고분자로서 분지체 함량이 조절된 부분불소계 Sulfonated poly(arylene ether sulfone) 이오노머 블록공중합체막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분지형태의 부분불소계 블록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를 위해 설폰화 활성이 높은 단량체, 설폰화 활성이 낮은 단량체 그리고 분지체를 합성하였고, 블록형성을 위해 biphenyl계 올리고머를 합성하였다. 분지체의 양에 따른 막 특성변화를 고찰하기 위해, biphenyl계 올리고머와 sulfonyl계 단량체의 몰 비를 4 : 6으로 고정하고 분지체의 함량을 2 mol%까지 늘려가면서 중부가형태의 열중합을 통하여, 다른 분지체의 함량을 가지는 공중합체를 얻었다(BBC-40Bx). 제조된 분지형태의 공중합체들을 chlorosulfonic acid (CSA)를 사용하여 후설폰화(post-sulfonation)하였다(SBBC-40Bx). 제조된 화합물, 단량체, 분지체 및 중합체들은 $^1H$-NMR, $^{19}F$-NMR 및 FT-IR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분지형태의 블록공중합체(SBBC-40Bx)는 분지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이온교환능력(IEC), 함수율 및 이온전도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