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ish-water Copepoda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A Faunistic Study on the Brackish-water Calanoid Copepods from South Korea

  • Lee, Ji-Min;Yoon, Hong-Ju;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3권2호
    • /
    • pp.135-154
    • /
    • 2007
  • Eight calanoid species of 4 genera in 4 families are reported from the various brackish waters such as estuaries, brackish-water lakes, and coastal marshes in South Korea. Among them, Eurytemora affinis (Poppe) and Acartia (Acanthacartia) tsuensis Ito are newly added to Korean copepod fauna. Collection data, brief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distribution maps for the eight species are prepared. A key to the genera and species of the brackish-water calanoids from Korea is also presented.

Two Harpacticoid Species of Genera Nitokra and Ameira (Harpacticoida: Ameiridae) from Brackish Waters in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47-253
    • /
    • 2007
  • A new species of Nitokra and Ameira parvula (Claus) belonging to the family Ameiridae are recorded from brackish waters in South Korea. Nitokra koreanus n. sp. most resembles N. spinipes and N. pietschmanni, however, it is characteristic in having the character combination of ellipsoidal P5 exopod and very short P1 enp 1. Ameira parvul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Northwestern Pacific. Description of the new species and the taxonomic accounts of both species are presented.

Brackish-water Copepods of the Family Tachidiidae (Copepoda: Harpacticoida) from South Korea

  • Chang, Cheon-Young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4권2호
    • /
    • pp.229-240
    • /
    • 2008
  • Four harpacticoid species belonging to the family Tachidiidae are reported from the coastal waters and salt marshes in South Korea: Tachidius discipes Giesbrecht, 1881, Neotachidius parvus Huys, Ohtsuka, Conroy-Dalton and Kikuchi, 2005, Microarthridion litospinatus Shen and Tai, 1973 and Geeopsis incisipes (Klie, 1913). The latter two species and genera are new to Korean fauna. The previous record of T. discipes reported by Song and Chang (1995) from Korea is affirmed by the finding of male specimens. Microarthridion litospinatus is first known outside the type locality, and redescribed herein in detail. A key to the five species and four genera of the family Tachidiidae hitherto known from South Korea is presented.

화진포호의 수환경변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Water Environment Variations in Lake Hwajinpo)

  • 허우명;최상규;곽성진;발데브;이은주
    • 생태와환경
    • /
    • 제44권1호
    • /
    • pp.9-21
    • /
    • 2011
  • 화진포호에서 장기간의 수환경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염분, 용존산소, 총인 및 총질소등 이 화학적 조사를 하였으며, 동식물플랑크톤은 2007년과 2008년에 조사하였다. 화진포호에서 2000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수질자료를 보면 수온, 염분, 투명도, COD 및 DO는 각각 $2.8{\sim}29.4^{\circ}C$, 0.23~41.8‰, $0.2{\sim}2.8\;m$, $0.2{\sim}20.2\;mg\;L^{-1}$$0.1{\sim}17.4\;mg\;L^{-1}$의 범위로 평균은 각각 $18.0^{\circ}C$, 15.7‰, 0.7 m, $5.7\;mg\;L^{-1}$$8.0\;mg\;L^{-1}$이었다. Chl.${\alpha}$$0.3{\sim}242.5\;{\mu}g\;L^{-1}$으로 평균 $32.8\;{\mu}g\;L^{-1}$이었다. TP와TN는 각각 $0.024{\sim}0.869\;mg\;L^{-1}$(평균 0.091) 및 $0.240{\sim}5.310\;mg\;L^{-1}$(평균 1.235)의 범위를 보였다. TN/TP 비는 평균 16.4이었다. COD, TP, TN 및 Chl.${\alpha}$의 연변화를 보면 COD는 2000년에 $4.83m\;m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1.80\;mg\;L^{-1}$로 매년 $0.34\;mg\;L^{-1}$ 감소를 보였다. TP는 2000년에 $0.07\;mg\;L^{-1}$이였으나 2008년에는 $0.05\;mg\;L^{-1}$로 차츰 감소하였다. TN은 2000년에 $1.54\;mg\;L^{-1}$이었으니 2008년에는 $0.77\;mg\;L^{-1}$로 매년 $0.09\;mg\;L^{-1}$ 감소하였다. Chl.${\alpha}$은 2000년에 $46.30\;{\mu}g\;L^{-1}$이었으나 2008년에는 $5.78\;{\mu}g\;L^{-1}$로 매년 $4.50\;{\mu}g\;L^{-1}$씩 감소하였다. 화진포호의 Orgnic-N, $NO_3$-N, $NH_3$-N 및 $NO_2$-N의 평균 존재 형태별 구성 비율은 각각 78.9, 7.0, 12.4 및 0.8%로 대부분 유기질소 형태이었다. 부영양화도 지수는 남호와 북호에서 2000년에 각각 67과 63에서 2008년에는 63과 59로 감소하였다. 화진포 남호와 북호에서 2007년과 2008년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56속 69종이었다. 식물 플랑크톤의 현존량은 남호가 북호가 각각 18~21,961 및 $153{\sim}10,070\;cells\;mL^{-1}$의 범위로 남호에서 더 많았으며, 남 북호 모두 2007년 7윌에 최소를 보였다. 우점종은 남호의 경우 2007년 5월에 Asterococcus superbus, 9월에 Lyngbya sp., 11월에 Trachelomonas spp.이었으며, 2008년 7월에는 Anabaena spiroides로 시기에 따라 크게 다른 양상을 보였다. 남호와 북호의 종 다양성 지수는 0.87~1.98 (평균 1.41) 및 0.42~1.47 (평균1.07)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5월에 높았다. 화진포호에서 출현한 동물플랑크톤은 총 31속 35종이었다. 남호의 우점종은 2007년 5, 7월과 2008년 5, 11월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으나, 2007년 9월에는 미동정원생동물, 2008년 8월에는 Brachionus plicatilis이었다. 북호의 우점종은 2007년 7월과 11월에는 지각류인 Asplanchna sp.이었으나 그 이외의 시기에는 요각류의 유생이었다. 동물플랑크톤의 밀도는 남호에서 $80{\times}10^3{\sim}3,902{\times}10^3ind.\;L^{-1}$, 북호에서 $88{\times}10^3{\sim}2,106{\times}10^3\;ind.\;L^{-1}$로 남호에서 더 높았다. 종 다양성지수는 남호와 북호가 각각 0.53~0.147 (평균 0.83) 및 0.66~1.46 (평균 1.09)의 범위로 남 북호 모두 2008년 7월에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