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acket bond shear strength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2초

도재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실험적 연구 (IN VITRO SHEAR BOND STRENGTH OF CERAMIC BRACKETS)

  • 이승진;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49-474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shear bond strengths to enamel and the failure sites of three ceramic brackets and one metal bracket in combination with light cured orthodontic adhesive. The bracke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Each ceramic bracket group had different bonding mechanisms with adhesive. Group A; metal bracket with foil-mesh base (control group) Group B; ceramic bracket with micromechanical retention Group C; ceramic bracket with chemical bonding Group D; ceramic bracket with mechanical retention and chemical bonding. Forty extracted human lower first premolars were prepared for bonding and 10 brackets for each group were bonded to prepared enamel surfaces with $Transbond^{\circledR}$ light cured ortho dontic adhesive. Twenty four hours after bonding, the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test the shear bond strength of brackets to enamel. After debonding, brackets and enamel surfaces were examined under stereoscopic microscope to determine the failure site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arried out with ANOVA test and $Scheff\acute{e}$ test using SPSS 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shear bond strengths of three ceramic bracket groups (p < 0.05). Shear bond strengths of group C and 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B and shear bond strength of group C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roup D. 2. Group C and D both had significantly higher shear bond strengths than metal bracket (group A),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group A and B (p < 0.05). 3. The failure sites of four bracket groups were also different. Group C and D failed primarily at enamel-adhesive interface, but group A and B failed primarily at bracket base-adhesive interface. 4. Among all ceramic bracket groups, group B was very similar to metal bracket in the aspect of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site.

  • PDF

도재브라켓 접착면의 처리방식이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DIFFERENT CERAMIC BRACKET BASES ON SHEAR BOND STRENGTH)

  • 김진오;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57-967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bases of ceramic brackets on shear bond strength and to observe failure patterns of bracket bondings. Lower bicuspid brackets whose bases designed for the macromechanical and silane treated chemical bonding those for silane treated chemical bonding, those for micromechanical bonding, and those for macromechanical bonding were tested as experimental groups, and foil mesh-backed metal brackets as a control group. All the brackets were bonded with $Mono-Lok\;2^{(TM)}$ on the labial surface of extracted human lower bicuspids after etching the enamel with $38\%$ phosphoric acid solution for 60 seconds.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on the universal test machine after 24 hours passed in the $37^{\circ}C$ water bath. The gathered data were evaluated and tested b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thos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hear bond strengths of brackets for macromechanical and chemical bonding, those for chemical bonding, and those for micromechanical bonding were not different (p>0.05), but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of metal bracket and those of ceramic bracket for micromechanical bonding(p<0.05). The shear bond strengths of ceramic bracket for micromechanical bonding showed statistically lower than those of metal bracket(p<0.05). The enamel fractures and/or ceramic bracket fractures were observed in the cases of higher bond strength than that of metal bracket. These results supported that silane treated base of ceramic bracket show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of metal bracket, and suggested that micromechanical form of ceramic bracket bases show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that of macromechanical form.

  • PDF

전단접착강도와 탈락양상을 고려한 브라켓-접착제의 선택 (A Study on Bracket-Adhesive Combinations in Aspect of Shear Bond Strength and Bond Failure)

  • 한재익;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955-974
    • /
    • 1998
  •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손상과 브라켓파절을 적게 일으키는 브라켓-접착제의 그룹을 찾아내기 위하여 전단접착강도, 법랑질손상, 브라켓탈락양상,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연구하였다. 교정치료 목적으로 발치한 240개의 치아를 각각 10개씩 24개의 군으로 나누어서 브라켓을 접착한 후 48시간 후에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고 브라켓 탈락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 사이의 긴밀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브라켓이 접착된 치아를 반으로 자른 후 주사전자현미경상에서 관찰하였다. 6종류의 브라켓과 4종류의 접착제가 사용되었으며 브라켓은 Image, Plastic, Crystaline, Fascination, Transcend, metal bracket을 사용하였으며 접착제로는 No-mix, Light-Bond, OrthoLC, Superbond C&B가 사용되었다. 이와같은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전단접착강도는 Fascination-Light Bond 군에서 36.58 Kg(410.07 Kg/$cm^2$)으로 가장 높았으며 Image-OrthoLC 군에 서 8.93 B◎ (75.51 Kg/$cm^2$)으로 가장 낮았다.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전단접착강도는 다른 접착제를 사용하였을 때 보다 비교적 낮았다. 2.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Fascination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높았으며 Image, Plastic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비교적 낮았다. Crystaline, Transcend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는 metal bracket의 전단접착강도와 비슷하거나 낮았다. 3. 전단접착강도와 법랑질 파절, 브라켓 파절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접착강도가 증가할수록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증가하였다. 4. OrthoLC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은 일어나지 않았으나 Superbond C&B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는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의 빈도가 높았다. 5. No-mix, Light-Bond를 접착제로 사용하였을 때 브라켓 주위의 밀봉과 법랑질-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접착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Ceramic bracket에서 접착제-브라켓의 긴밀도는 양호하였다. 6. 적절한 전단접착강도를 가지면서 법랑질 파절과 브라켓 파절을 일으키지 않는 군은 Crystaline-No mix, Crystaline Light Bond, Crystaline-OrthoLC, metal-No mix, metal-Light Bond, metal-OrthoLC군이였다.

  • PDF

접착술식에 따른 전단강도 및 Bracket위치의 비교 (THE COMPARISON OF SHEAR STRENGTH AND BRACKET PLACEMENT BETWEEN BONDING TECHNIQUES)

  • 박윤경;국윤아;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13-520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racket placement and the shear bond strength of indirect-bonded brackets with those of direct-bonded ones. Forty eight extracted human teeth were collected and attached with brackets and tested on shear bond strength, using Instron. Fourteen patients from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were selected for direct bonding of brackets and their teeth were measured on bracket angulation and bracket heigh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s of incisors were higher in direct-bonding,group, rather than in-direct-bonding group.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premola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2. The bracket angulations of indirect-bonding group were preciser than those of direct-bonding group, especially in upper first premolars, lower lateral incisors, canines, premolars. 3. In bracket heigh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 PDF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 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의 유형 (Shear bond strength and adhesive failure pattern in bracket bonding with plasma arc light)

  • 유형석;오영근;이승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61-270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bracket 부착시 광조사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plasma arc light의 임상적 유용성을 visible light 중합시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평가해 보는데 있다. 사람의 상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시편에 광중합 접착제인 Transbond$^{\circledR}$를 사용하여 수종의 bracket을 각각의 조건에 따라 부착한 후 만능 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양상을 stere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결합강도는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resin bracket 경우 다른 bracket 비해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히 작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임상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값을 나타내었다. 2. Visible light를 이용한 metal bracket의 광중합시 광조사시간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광조사 시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임상적으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었다. 3.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수종의 bracket 접착시 접착제 잔류지수를 통해 접착파절양상을 관찰한 결과, metal bracket과 resin bracket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았으며, ceramic bracket의 경우 bracket기저면에 접착제가 반 이상 남아 있는 경우가 많았다. 4. Metal bracket의 부착시 plasma arc light를 2초간 광조사한 군과 visible light를 10초간 광조사한 군의 전단결합강도와 접착파절양상을 비교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광중합시 광조사 거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는 plasma arc light를 이용한 bracket의 접착시 전단결합강도 저하의 우려 없이 임상적으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 PDF

재생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BOND STRENGTH OF RECYCLED BRACKETS)

  • 서정훈;최은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41-657
    • /
    • 1998
  • 본 연구는 열을 이용한 금속 브라켓의 재생 처리시, 기저부 형태와 브라켓 재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 및 브라켓 탈락 양상을 비교하고자 시행되었다. 교정 치료를 위해 발거된 건전한 소구치 252개를 수집하고, Type I, Type II, Type III 스탠다드 브라켓을 각각 재생 방법에 따라 네 군으로 나누어 준비된 소구치에 접착하고,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4466)으로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브라켓의 탈락 양상을 관찰하고 브라켓 기저부의 주사전자현미경 소견을 관찰하였다. SPSS 통계처 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Scheffe's multiple range test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브라켓 기저부 형태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유의차가 있었으며(p<0.001), 그 크기는 Type III(round indentation, micro-etched base), Typ I(foil-mesh base), Type II(grooved integral base, micro-etched)의 순이었다. 2. 생 방법에 따른 전단접착강도는, Type I, Tpe II 브라켓에서는 Big Jane에 1분간 처리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p<0.05), Type III 브라켓에서는 각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3. Type I, Type II 브라켓은 기저부-레진 계면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탈락하였고, Type III 브라켓에서는 레진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탈락 양상이 가장 많았다. 4. 탈락 양상에 따라 탈락시의 전단접착강도가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는데(p<0.05),브라켓 탈락시 접착제의 절반 가량이 치면에 잔존하는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5. 브라켓 재생 후 기저부에 남아 있는 접착제는 전단접착강도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Metal bracket과 ceramic bracket의 전단 결합 강도와 debonding 상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METAL BRACKETS AND CERAMIC BRACKETS AND THE CONDITION AFTER DEBONDING)

  • 윤정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7-343
    • /
    • 1992
  • Metal brackets and ce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natural teeth, porcelain crowns and gold crowns After stored in artificial saliva solution for 72 hours at $37^{\circ}C$, the shea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Instron and compared with them, the bonding sites and bracket bases were examin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light optical stereo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s of the group which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natural teeth and the groups which ce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natural teeth and porcelain crowns were comparable to each other, the shear bond strength of the group which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gold crowns was significantly low. 2. The bond failed predominantly at the bracket base/adhesive interface with the bulk of adhesive remaining on enamel in the group which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natural teeth. 3. The bond failed consistently at the crown/adhesive interface with all of adhesive remaining on the bracket babes in the group which metal brackets were bonded to gold crowns. 4. The bond failed at the enamel or crown/adhesive interface with the bulk of adhesive remaining on the bracket bases in the groups which c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natural teeth and porcelain crowns. 5. The shear bond strengths of the groups which ceramic brackets were bonded to porcelain crowns were not affected by etching time.

  • PDF

열적, 기계적 피로응력이 교정용 브라켓의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rmal and Mechanical Fatigue Stress on Bond Strength in Bracket Base Configurations)

  • 김정기;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25-642
    • /
    • 2000
  • 본 연구는 열적 및 기계적 피로응력이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 인장결합강도, 전단-인장 복합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결합상태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접착파절 양상을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기저부 형태가 다른 5종의 금속 브라켓을 교정치료를 목적으로 발거한 상$\cdot$하악 소구치에 부착하여, 계면에 200g의 전단-인장 복합 하중을 4주간 가한 기계적 피로시험과, 5,000회의 thermocycling을 시행한 열적 피로시험 후, 전단결합강도, 인장결합강도, 및 전단-인장 복합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적시험에서 얻은 브라켓 접착부의 결합강도는 Photoetched base가 가장 크고,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다(p<0.05). 모든 종류의 브라켓에서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컸으며, 전단-인장 복합 결합강도는 전단결합강도의 1/3 수준으로 가장 작았다. 2. 4주간 200g의 전단-인장 복합 하중을 가한 후의 결합강도는 Photoetched base가 가장 크고,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으며 (p<0.05), 기계적 피로시험 후 Photoetched base와 Micro-Etched Foil Mesh base의 전단, 인장, 전단-인장 복합 결합강도가 감소하였고, Chessboard base의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p<0.05). 3. 5,000회의 thermocycling 후의 결합강도는 Photoetched base가 가장 컸고, integral base가 가장 작았으며(p<0.05), 열적 피로시험 후 Photoetched base와 Chessboard base, Micro-Etched Foil Mesh base의 결합강도가 모두 감소하였다(p<0.05). 4. 정적시험의 결합강도 측정 후 접착파절은 브라켓/레진 계면에서 일어났으며, thermocycling 후에는 브라켓/레진 계면과, 법랑질/레진 계면, 레진내 파절이 혼합되어 나타나 ARI 점수가 높아졌다. 기계적 피로시험 후에는 정적시험 때와 비슷한 ARI 점수를 보였다. 5. 모든 브라켓에서 thermocycling 후 브라켓/레진 계면과 법랑질/레진 계면에서 미세 균열이 관찰되었다.

  • PDF

3Y-$ZrO_2$ 세라믹과 교정용 브라켓계에서 세라믹의 표면 조건에 따른 접착 거동의 변화 (Effect of Surface Condition on the Bonding Characteristics of 3Y-$ZrO_2$-Metal Bracket System)

  • 오선미;김진성;이채현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4
    • /
    • 2011
  • Purpose: To investigate shear bonding strength between dental zirconia ceramics with different surface treatment and metal bracket. Methods: Zirconia ceramics(LAVA, 3M ESPE, USA) were divided 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surface treatment; no surface treatment(G1), sand blasting(G2), silane coating(G3), and sand blasting+silane coating(G4). Specimens were bonded to metal bracket using resin bond($Transbond^{TM}XT$, 3M Unitek, USA). Shear bond strength was measured using universal test machine(3366 INSTRON. U.S.A) with cross head speed of 1 mm/min. Microstructural investigation for fracture surface was performed after shear test. Results: Shear bonding strengths of single surface treatment groups (G2 and G3) were higher than no treatment group(G1). Combined Treatment Group (G4) show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of 9.15MPa. Microstructural observation shows that higher shear bonding strength was obtained when debonding was occurred at metal bracket/resin interface rather than zirconia ceramic/resin interface. Conclusion: Surface treatment of zirconia is necessary to obtain higher bonding strength. Combined treatment can be more effective when surface the surfaces are kept clean and homogeneous.

세라믹 브라켓과 교정용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DIFERENT CERAMIC BRACKETS AND ADHESIVES)

  • 이주원;유동환;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15-326
    • /
    • 1997
  • 여러 세라믹 브라켓과 접착제에 따른 전단 결합 강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영구 소구치 48개를 대상으로 베이스의 유지 형태가 다른 3종의 세라믹 브라켓을 광중합과 화학 중합을 포함한 3종의 교정용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고 전단 결합 강도와 파절 양상을 관찰한 결과, 화학 중합형 레진으로 접착한 경우 광중합형으로 접착한 경우보다 결합강도가 높았으며, 화학적 결합을 하는 Starfire 브라켓이, 기계적 결합을 하는 Transcend나, 복합형 결합인 Fascination 보다 전단 결합 강도가 낮았다. Trascend는 주로 법랑질과 레진(E/R)에서, Fascination은 법랑질, 레진, 브라켓 베이스에 혼합(COMB)되어 파절되며, Starfire는 레진과 브라켓 베이스(R/B)에서 파절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