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vine hepatic extract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3초

항독성 소간추출물의 생산을 위한 효소분해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Enzymatic Hydrolysis for the Production of Antitoxic Bovine Hepatic Extract)

  • 김현정;권도형;손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90-193
    • /
    • 2008
  • 소간추출물은 각종 간질환에 해독효과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항독성 소간추출물의 대량생산 공정을 개발하고자 효소의 선발 및 가수분해의 최적조건을 탐색하였고, 확립된 분해조건으로 항독성 소간추출물의 시제품을 제조하여 일반성분, 미생물, 그리고 비타민 $B_{12}$함량을 분석하였다. Bromelain, papain, ficin, pancreatin, 그리고 protease NP등의 효소 중 추출물의 건물량과아미노태 질소의 수율이 양호하고 경제성이 뛰어난 papain을 최적효소로 선발하였다. Papain(1%)을 소간 분쇄물에 첨가하여 65$^{\circ}C$에서 24시간 동안 가수분해하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분무건조한 항독성 소간추출물의 시제품은 원료 간 대비 11%의 수율을 보였고 건물량은 95%, 총질소 함량은 11.8%이었다. 또한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고 비타민 $B_{12}$ 함량은 4.1 ${\mu}$g/g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가수분해조건은 높은 수율의 항독성 소간추출물 생산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산 메밀, 수수, 기장, 율무의 항산화효과 및 돌연변이억제효과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uckwheat, Sorghum, Millet and Job기s Tears)

  • 곽충실;임수진;김성애;박상철;이미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21-929
    • /
    • 2004
  • 한국산 메밀, 수수, 기장, 율무의 돌연변이억제효과와 항산화효과 및 총 flavonoid와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하여 에탄을 추출시료를 얻은 후 Ames test 방법으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색하였고, Fe$^{2+}$로 유도된 지질과산화 억제율, DPPH 라디 칼 소거율 및 MDA-BSA 결합억제율을 측정하는 3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효과를 검정하고, 총 flavonoid와 polyphenol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에탄올 추출시료의 $IC_{50}$/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비교한 결과 메밀(0.174 mg/ assay), 수수(0.241 mg/assay), 율무(1.891 mg/assay), 기장(2.873 mg/assay) 순이었으며 에탄을 추출시료의 $IC_{50}$/을 계산하여 DPPH 라디칼 제거능을 비교한 결과 메밀(0.264 mg/assay), 수수(2.135 mg/assay), 기장(2.902 mg/assay), 율무(4.667 mg/assay) 순이었다. 지질과산화물-단백질 결합 억제효과는 에탄을 추출시료의 $IC_{50}$/을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메밀(3.73 mg/assay), 율무(51.82 mg/assay), 기장(120.59 mg/assay), 수수(449.43mg/assay)의 순이었다. S. Typhimurium TA98에서 에탄올 추출물 4.5 mg/assay농도에서 2-Nitrofluorene에 의 한 직접돌연변이를 저해하는 비율은 수수(50.2%), 기장(20.3%), 메밀(18.5%), 율무(17.5%)의 순이었으며, S. Typhimurium TA100에서 sodium azide에 의한 직접돌연변이를 저해하는 비율은 기장(100%), 율무(78.6%), 수수(23.7%), 메밀(10.1%)의 순이었다. S. Typhimurium TA98 또는 TA100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2-Anthramine에 의한 간접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기장, 수수, 율무, 메밀 모두 우수하였으며, 특히 기장과 수수의 효과가 매우 좋았다. 총 flavonoid 함량은 메밀(1.41mg/g), 수수(1.17 mg/g), 기장(0.96 mg/g), 율무(0.66 mg/g)순이었고, 총 polyphenol 함량은 메밀(3.71 mg/g), 수수(1.76 mg/g), 율무(1.7 mg/g), 기장(1.09 mg/g) 순으로 각각 DPPH 라디칼제거효과 및 지질과산화억제효과의 순과 일치하였다. 총 flavonoid 함량은 DPPH 라디칼 제거효과에 대한 $IC_{50}$/ 값과 높은 상관관계(r=-0.9924, p<0.01)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