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tom sediment, contamin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거동과 환경 변화 (Geochemical Behavior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Bottom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 신상은;오강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5호
    • /
    • pp.497-510
    • /
    • 2010
  • Considering to the geochemical behaviors and environmental changes of bottom sediments in streams,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focuses to analyses on grain sizes, metal elements and organic carbons in sediment samples from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and Gwangju stream. In the sediments, contents of Cu, Zn, Pb, P and TOC were highly variable, in the case of Gwangju stream particularly. Yenogsan and Hwangryong rivers are influenced by grain sizes and surrounding geological settings and Gwangju stream is connected to organic matters related to life fouls and so forth, with respect to the geochemical behaviorof bottom sediments. Li, Zn, Pb and Cu were enriched in Yeongsan and Hwangryong rivers and Li, Cu, Zn, Pb and P enriched in Gwangju stream, respectively. I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above drainages, the site mutually connected Seobang(GJ 4) with Donggye(GJ 7) streams shows the highest values, in peculiar. It is inferred that those contamination values are mainly related with urban foul waters in the city.

Polychaete Taxocenes Variability Associated with Sediment Pollution Loading in the Peter the Great Bay (the East Sea/Japan Sea)

  • Belan Tatyana A.;Moschenko Alexander A.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1호
    • /
    • pp.1-10
    • /
    • 2005
  • Variations in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polychaete taxocenes that occurred in 1980-1989 under different contamination levels of bottom sediments were studied in three areas of Peter the Great Bay. The most polluted area was shown to be the Golden Horn Inlet where contaminant contents in the bottom sediments exceed the threshold values of negative biota alterations. Amursky Bay is characterized by a moderate level of contamination, while Ussuriysky Bay has the lowest level of contamination. Pollutant contents vary considerably within the same areas and their separate patches are polluted differently. An integral index characterizing the contamination of bottom sediments is proposed. This index is an average grade of the rank value of contaminant contents in sediments. The index was used to compare the contamination level and data on polychaete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The highest species diversity of polychaetes is found in the least affected zones. Monotonous decrease of the species number, as well as decrease in the indices of diversity and evenness, is correlated with pollution level increases. Significant growth of the average polychaete biomass and polychaete density is observed in the case of an increase of contamination from low to moderate levels. Conversely, the biomass and abundance of polychaetes decline following an increase in contamination.

The Contamination of Sventoji River Bottom Sediments by Heavy Metals in Ukmerge, Lithuania

  • Valskys, Vaidotas;Motiejunas, Mindaugas;Ignatavicius, Gytautas;Sinkevicius, Stanislovas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0
    • /
    • 2016
  • Bottom sediment pollution with heavy metals of the Sventoji River in Ukmerge, Lithuania using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s analyzed in this article. During the researc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arameter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and their distribution were investigated. This article presents obtained results of study, where bottom sediment samples were examined from both shores of the river of Sventoji. During this research, received data was treated using GIS software, which helped to interpolate the data of concentrations into the research polygon of the river. GIS software also helped to evaluate the urban runoff influence to the bottom sediment quality and exclude sources of pollution. The runoff dischargers which transport surface wastewater to the river were registered before sampling. At the mouth of streams, flowing into the river of Sventoji, additional samples were taken. After comprehensive river bottom sediment research there is a possibility to assess the extent of anthropogenic activity and its impact on the river ecosystem and human health.

주암댐 집수유역 내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오염현황 및 거동 특성 (Contamination Level and Behavior of Heavy Metals in Stream Sediments Within the Watershed of Juam Reservoir)

  • 염승준;이평구;강민주;신성천;유연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37권3호
    • /
    • pp.311-324
    • /
    • 2004
  • 전라남도 보성강에 축조된 주암댐의 집수유역 내 하상퇴적물을 대상으로 중금속의 오염현황과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주암댐의 집수유역에는 많은 폐금속 및 탄광이 위치하고 있어 주암댐 호저퇴적물에 잠재적인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다. 집수유역 내 하상퇴적물의 중금속 함량(Cr, Cu, Ni, Pb, Zn)은 매우 낮기 때문에 주암댐의 호저퇴적물에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하지만 폐금속광산지역 내 하상퇴적물의 Pb 함량은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Pb의 오염 확산이 우려된다. 폐금속광산의 환경을 고려한 강산성 조건의 용출실험결과, 하상퇴적물의 용출비로부터 결정된 중금속의 상대적 이동도는 Pb>Zn=Cu>Ni>Cr으로서, Pb이 주암댐 호저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는 원소가 될 수 있음을 지시해준다. 한편 댐으로 유입한 퇴적물이 호저에 놓이게 되면(즉, 환원환경), Pb의 이동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나 물-퇴적물 경계에서 Pb의 수중으로 재용출될 수 있다.

주변토양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잠재적 오염원이 도서지역 저수지의 오염부하에 미치는 영향(I) - 퇴적토에 의한 잠재적 용출특성 평가 - (Impact of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Contaminants Source of Surrounding Soil on Contamination of a Reservoir in an Island (I) - Evaluation of Potential Liquation by Sediment -)

  • 박선환;박완섭;김창균;박중규;김완희;장윤영;정정호;이선영
    • 환경영향평가
    • /
    • 제19권2호
    • /
    • pp.107-116
    • /
    • 2010
  • In this research potential liquation of contaminants from surrounding soil to a reservoir in an island was studied to investigate the cause and route of contamination of Baengyeong-myeon reservoir. Soil of Baengyeong-myeon reservoir consists of $SiO_2$ and has a high iron content because of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its country rock. From the field investigation and simulation study it was found that highly accumulated carbon content in the reservoir sediment was incurred from ground water, which provides a good habitat for microbes. And the liquation, the cause of organics growth, occurs mainly on the bottom of the reservoir consisting marine clay layer once used as farmland. So dredging of the sediment of reservoir and replacing with valley soil is suggested to prevent continuous contamination of a reservoir in an island due to COD production.

부산신항 용원수로에서의 퇴적물 용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diment Release Characteristics in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 권재현;김영도;조영하;정태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03-512
    • /
    • 2012
  • In Yongwon channel, its natural flow of seawater is blocked by the construction of Busan New Port including the container berth. The channel was transformed into a narrow and long one, where it is possible that ships are only allowed to pass through the north-side channel of Gyeonmado located at the point of river mouth to Songjeongcheon. In addition, Yongwon channel is approximately 100 m wide on average and 3,600 m long, and has the highest slenderness ratio (length/width = 36).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s in the terrain characteristics of Yongwon channel is likely to alter the circulation of sea water, thereby changing its water quality. In this study, the bottom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48 points of the Yongwon channel and the long-term leach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us, changes in sediment and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hrough the sediment release test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The sediment release from the inside region was higher than the outer region, which is due to the pollutant that comes form the downtown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water quality in the future and prepare the economically optimized countermeasure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Yongwon channel, Busan New Port.

진해.마산만의 환경관리를 위한 수질모델링 (Water Quality Modeling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hinhae.Masan Bay)

  • 조흥연;채장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1-49
    • /
    • 1999
  • 진해·마산만의 장기 수질변동을 예측할 수 있는 평면 2차원 수질계산 모형을 구성하였다. 유역내 22개 하천의 오염부하량 및 해역내 16개 정점의 수질을 월별, 계절별로 관측 (1995.5~1996.4)하여 모형의 보정·검증자료로 이용하였으며 저면퇴적물로부터의 오염물질 용출률을 측정하여 저층에서의 지역적 오염편차를 반영하였다. 구성된 모형을 적용하여 하계의 농도분포를 모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하천을 통한 오염물질 유입지점의 오염도가 매우 높으며, 외해방향으로 급격하게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마산만으로 유입되는 다량의 오염물질은 해역의 정체성으로 대부분이 침전되어 저질의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다. 방류수역에서는 질소 및 인이 미처리상태로 방류되기 때문에, 해역의 부영양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진해ㆍ마산만의 성층화 및 DO 농도변화 (Stratification and DO Concentration Changes in Chinhae-Masan Bay)

  • 조홍연;채장원;전시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95-307
    • /
    • 2002
  • 진해ㆍ마산만에서 수온, 염도 및 DO농도를 연직방향으로 1년동안 측정하였다. 관측된 수온 및 염도 자료를 이용하여 성층화 특성을 분석하고, DO농도의 연직변화를 성층화 특성 및 저질오염도와 관련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진해ㆍ마산만의 수온 성층화는 4월 이전에 시작되어 10월경에 종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1998년 4월 연직방향의 평균 염도변화는 3.9(equation omitted) 정도로 증가되고, 1998년 8월 9.3(equation omited), 10월 4.3(equation omitted) 정도가 유지되어 가을철에도 염도 성층이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DO 농도는 성층화가 시작되는 4월을 기점으로 연직방향 평균 DO농도변화도 2.6(mg/L)에서 6월 8.3(mg/L), 8월 5.9(mg/L), 9월 7.24(mg/L), 10월4.4(mg/L)으로 명확한 성층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DO 농도변화는 전체적으로 해역의 오염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성층화 기간동안 연직방향 DO 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는것은 수온 및 염도성층에 의한 표 저층간의 물질교환 저해에 의한 영향도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남한강수계 하천 퇴적물 시료 중 137Cs 분포 (The distribution of 137Cs activities in sediment samples of South-Han River basin)

  • 김지유;강태우;홍정기;안미정;장채원;김경현;한영운;강태구
    • 분석과학
    • /
    • 제29권6호
    • /
    • pp.293-299
    • /
    • 2016
  • 본 연구는 남한강 수계 하천 퇴적물 중 $^{137}Cs$의 방사능 농도 분포 실태를 조사하고, 국외 연구사례와 비교하여 국내 하천퇴적물 중 $^{137}Cs$의 농도수준을 평가하였다.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퇴적물 중 $^{137}Cs$의 방사능 농도를 분석한 결과, 농도범위는 <$MDA{\sim}3.80{\pm}0.14Bq/kg{\cdot}dry$로 국내 토양 중 $^{137}Cs$ 농도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국외 연구사례를 조사한 결과, 원전사고나 방사성물질 유출 등에 의한 오염원이 존재할 경우 $^{137}Cs$의 농도범위는 $3.7{\sim}15,396Bq/kg{\cdot}dry$로 국가별, 오염원 발생시기, 조사시점 등에 따라 다양한 농도 분포를 보였다. 또한, 오염원이 없는 국외 하천 호소 퇴적물 중 $^{137}Cs$의 농도는 대부분 $10Bq/kg{\cdot}dry$ 미만으로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하천퇴적물 중 $^{137}Cs$의 배경농도를 제공하고, 하천의 $^{137}Cs$ 오염여부를 판단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회동저수지 호저퇴적물의 미량원소 오염 및 수직적 분산특성 (Vertical Distribution and Contamination of Trace Metals in Sediments Within Hoidong Reservoir)

  • 이평구;강민주;염승준;이욱종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5호
    • /
    • pp.587-604
    • /
    • 2007
  • 회동저수지의 호저퇴적물에 대하여 미량원소의 심도별 변화와 존재형태 및 이들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회동저수지의 5개 지점에서 깊이 21-41cm의 코어와 간극수를 채취하였다. 회동저수지 퇴적물 내 미량원소의 평균 총함량은 Zn $232{\pm}30.8mg/kg$, Cu $119{\pm}272mg/kg$, Pb $58.4{\pm}4.1mg/kg$, Ni $15.7{\pm}3.3mg/kg$ 및 Cd $1.6{\pm}0.3mg/kg$이었다. 회동저수지 안쪽으로 가면서 호저퇴적물 내 미량원소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깊이에 따른 함량 변화는 시료채취 위치에 상관없이 Mn, Pb 및 Zn는 감소하는 반면, Cu와 Fe는 증가하였다. 간극수에 용해된 미량원소의 함량은 Fe>Mn>Cu>Zn의 순으로 낮았고 Cd, Ni 및 Pb는 검출되지 않았다. 간극수에 용해된 Zn, Cu, Fe 및 Mn 함량은 퇴적층의 하부로 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상부로 미량원소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미량원소의 이동은 퇴적물-물과의 경계부분까지 전달될 것이며, 퇴적층 상부에서 비정질 철 및 망간 산화광물과 탄산염광물에 의하여 흡착되고 있다. 겉보기 분산계수 값을 이용한 결과, 각 미량원소의 상대적인 이동도는 Mn>Cu>Zn>Fe순이다. 연속추출결과, 미량원소의 표면집적이 비정질 산화광물형태와 탄산염광물 수반형태에 기인된 것임을 확인하였다. Cu, Fe, Mn 및 Zn의 간극수 내 함량은 호저퇴적물의 양이온교환형태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이 관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