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anical remai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Subacute Oral Toxicity Study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 Park, Sang-Jin;Lim, Kwang-Hyun;Noh, Jeong-Ho;Jeong, Eun Ju;Kim, Yong-Soon;Han, Byung-Cheol;Lee, Seung-Ho;Moon, Kyoung-Sik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85-292
    • /
    • 2013
  • Ginseng is a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used in Asian countries for several thousand years, and it is currently applied to medicine, cosmetics, and nutritional supplements due to its many healing and energygiving properties. It is well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s, the main ingredient of ginseng, produce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nd therapeutic effects on central nerve system (CNS) disorders, cardiovascular disease, endocrine secretions, aging, and immune function. Korean red ginseng extract is a dietary supplement containing ginsenoside Rb1 and ginsenoside Rg1 extracted from Panax ginseng. While the pharmacokinetics and bioavailability of the extract have been well established, its toxicological properties remain obscure. Thus, four-week oral toxicity studies in ra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Korean red ginseng extract could have a potential toxicity to humans. The test article was administered once daily by oral gavage to four groups of male and female Sprague-Dawley (SD) rat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for four weeks. Neither deaths nor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in any group during the experiment. Furthermore, no abnormalities in body weight, food consumption, ophthalmology, urinalysis, hematology, serum biochemistry, gross findings, organ weights, or histopathology were revealed related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test article in either sex of any dosed group. Therefore, a target organ was not determined in this study, and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was established to be 2,000 mg/kg/day.

Effect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on Tumor Vasculogenic Mimicry in Huma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 Luan, Yun-Yan;Liu, Zi-Min;Zhong, Jin-Yi;Yao, Ru-Yong;Yu, Hong-Sh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531-535
    • /
    • 2015
  • Vasculogenic mimicry (VM) refers to the unique ability of highly aggressive tumor cells to mimic the pattern of embryonic vasculogenesis, which was associated with invasion and metastasis. The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GSPs) had attracted much attention as a potential bioactive anti-carcinogenic agent. However, GSPs regulation of VM and its possible mechanisms in a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TNBCs) remain not clear. Therefore, we examined the effect of GSPs on VM information in HCC1937 cell model.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VM structure via the three-dimensional (3D) matrix in vitro. Cell viability was measured using the CCK8 assay. The effects of GSPs on human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TNBCs) HCC1937 in terms of related proteins of VM information were determin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In vitro, the tubular networks were found in highly invasive HCC1937 cells but not in the non-invasive MCF-7 cells when plated on matrigel. The number of vascular channels was significantly reduced when cells were exposed in GSPs ($100{\mu}g$/ml) and GSPs ($200{\mu}g/mL$) groups (all p<0.001). Furthermore, we found that treatment with GSPs promoted transition of the mesenchymal state to the epithelial state in HCC1937 cells as well as reducing the expression of Twist1 protein, a master EMT regulator.GSPs has the ability to inhibit VM information by the suppression of Twist1 protein that could be related to the reversal of epithelial-to-mesenchymal (EMT) process. It is firstly concluded that GSPs may be an p otential anti-VM botanical agent for human TNBCs.

전남 마한백제계 취락의 서속(黍粟) 재배와 농경 체계: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 자료를 중심으로 (Cultivation of millet in Mahan-Baekje Villages: Archaeobotanical examination of Osan site, Jangheung, Korea)

  • 류아라;김세빈;오병욱;김민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2호
    • /
    • pp.48-60
    • /
    • 2023
  • 조와 기장 같은 서속류(黍粟類) 잡곡은 신석기시대부터 재배되었지만 이후 서속 재배의 중요성이 생계경제상 어떻게 변화했는지에 대한 고찰은 많지 않다. 특히 전남지역의 마한백제계 유적에서는 서속의 출현사례가 적어, 이 지역 고대 농경에 관한 논의는 벼농사에 집중되었다. 하지만 AD 3~4세기 무렵에 점유된 장흥 봉림리 오산유적에서는 다량의 조와 기장이 발견되어 서속 재배의 전통이 역사시대에도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저습지, 고온다습한 기후, 대규모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벼농사와 대조적으로 조와 기장 재배는 생육환경과 노동력 동원상의 제약이 적다. 오산유적의 농경은 가을걷이와 여름걷이 곡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경작지 입지 상 가을걷이는 다시 쌀과 서속을 두 개의 중심축으로 하면서 두류 등 다른 작물이 부가되는 형태이다. 상호보완적 성격이 강한 벼농사와 서속 재배의 이원적 체계 운용은 환경적, 사회적 요인에서 비롯되는 생계 위기의 효과적 관리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인체 폐암 세포주 A549에서 Litsea populifolia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분석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of Litsea populifolia)

  • 진수정;오유나;정현영;윤희정;박정하;권현주;김병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679-68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 세포인 A549를 사용하여 Litsea populifolia 에탄올 추출물(EELP)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EELP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IC_{50}$$11.71{\mu}g/ml$로 유의적인 항산화활성을 보였다. 또한 EELP가 인체폐암세포주인 A549와 정상 폐세포인 IMR90의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상세포의 생존율에는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은 반면, EELP 농도의존적으로 A549 세포의 성장이 저해되었으며, 세포 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EELP에 의해 A549 세포의 강력한 G1 arrest가 유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EELP에 의해 유도되는 G1 arrest는 세포주기 조절 인자인 Cyclin D1, Cyclin E, Cyclin-dependent kinase인 CDK2와 CDK6의 mRNA 발현 감소와 더불어 단백질 발현 감소와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EELP 처리에 의한 CDK/Cyclin complex의 발현 저해는 DNA 손상에 의해 활성화되는 CHK2의 활성화 형태인 p-CHK2의 발현 증가에 따른 p53 인산화에 따른 활성화와 CDK 활성화 효소인 CDC25A 탈인산화효소의 인산화에 따른 저해에 의해 나타나는 결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ELP는 두가지 경로인 p53-의존성과 p53-비의존성(ATM/CHK2/CDC25A/CDK2) 경로를 통해 A549의 G1 arrest를 유도하여 세포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EELP가 폐암에 대한 새로운 항암활성 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또한 EELP의 세포주기 조절에 의한 항암기전을 이해하고 향후 지속적 연구를 하는 데 있어서 귀중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체 폐암 세포주 A549에서 Euonymus porphyreu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분석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Euonymus porphyreus Extract in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 진수정;오유나;손유리;배수빈;박정하;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9-208
    • /
    • 2021
  • Euonymus porphyreus는 노박덩굴과에 속하는 식물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식물학상의 특징에 대한 보고는 있으나 항산화능과 항암활성 등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체 폐암세포인 A549를 사용하여 E. porphyreus 에탄올 추출물(EEEP)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EEEP의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각 115.42 mg/g, 23.07 mg/g이었다. EEEP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가 11.09 ㎍/ml로 뛰어난 항산화능을 보유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EEEP는 농도의존적으로 인체폐암세포주인 A549의 세포 성장을 저해하였으며, 세포 주기 변화를 분석한 결과 A549 세포의 SubG1기 세포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nnexin V 염색과 DAPI 염색으로 EEEP 처리에 의해 apoptotic 세포와 apoptotic body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EEEP에 의해 A549 세포의 apoptosis가 유도되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EEEP에 의해 Fas, p53, Bax의 발현이 증가하고 Bcl-2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며, caspase-8, -9와 caspase-3의 활성화를 통해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EEEP는 내인성 및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A549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활성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