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tanic garde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s of Tiliacorine on Voluntary Muscle and Blood Pressure

  • Khasnobis, Arnab;Seal, Tapan;Vedasiromoni, J. Rajan;Gupta, Malaya;Mukherjee, Biswapat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1호
    • /
    • pp.44-48
    • /
    • 2000
  • Tiliacora racemosa Colebr. belongs to the family Menispermaceae, the biggest storehouse of diphenylbisbenzylisoquinoline (DBBI) alkaloids. Exhaustive chemical processing of the root of T. racemosa by the application of modern separation techniques yielded a DBBI alkaloid which was identified as tiliacorine using sophisticated spectroscopic methods $(UV,\;IR,\;^1H-NMR,\;Mass)$. Tiliacorine possesses neuromuscular blocking activity. It produces a dose dependent hypotensive effect in rats and cats, and this effect is blocked by atropine.

  • PDF

Effect of Tilliacorine on Haematologic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 Khasnobis, Arnab;Seal, Tapan;Roychowdhuri, A.;Vedasiromoni, J. Rajan;Gupta, Malaya;Mitra, S.K.;Mukherjee, Biswapat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3호
    • /
    • pp.126-130
    • /
    • 2000
  • Tiliacora racemosa Colebr. belonging to the family Menispermaceae, is the biggest storehouse of diphenyl bisbenzylisoquinoline (DBBI) alkaloids. Exhaustive chemical processing of the root of T. racemosa by the application of modern separation techniques yielded a DBBI alkaloid which was identified as tiliacorine using sophisticated spectroscopic methods (UV, IR, $^1H-NMR$, MS). Haematological study with tiliacorine proved that there was no abnormal haematological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values. Chronic toxicity study with tiliacorine revealed that the alkaloid is devoid of any hepatotoxic and nephrotoxic action.

  • PDF

Tiliacosine and Tiliasine, two New Bisbenzylisoquinoline Alkaloids from Tiliacora racemosa

  • Seal, Tapan;Patra, Amarendra;Mukhopadhayay, Gobinda;Mukherjee, Biswapat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7권3호
    • /
    • pp.83-86
    • /
    • 2001
  • Two new bisbenzylisoquinoline alkaloids tiliacosine (1) and tiliasine (2)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Tiliacora racemosa Colebr.. The structures of these alkaloids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spectral evidence and by the correlation of their $^1H-NMR$ spectral data with those of the congeners N-methyltiliamosine (3), tiliamosine (4) and tiliacorine (5).

  • PDF

Some Pharmacological Studies with Tiliacorine, a Diphenylbisbenzylisoquinoline Alkaloid from Tiliacora racemosa

  • Khasnobis, Arnab;Seal, Tapan;Vedasiromoni, J. Rajan;Gupta, Malaya;Mukherjee, Biswapati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3호
    • /
    • pp.142-147
    • /
    • 1999
  • Tiliacora racemosa Colebr. belonging to the family Menispermaceae is the biggest store-house of diphenyl bisbenzylisoquinoline (DBBI) alkaloids. Exhaustive chemical processing of the root of T. racemosa by the application of modern separation techniques yielded a DBBI alkaloid which was identified as tiliacorine using sophisticated spectroscopic methods (UV, IR, $1^H-NMR$, Mass). Tiliacorine potentiated the sleeping time induced by standard hypnotics viz. chlorpromazine (CPZ), pentobarbitone (PB) and diazepam (DZ) in a dose dependent manner. Tiliacorine potentiated the analgesic action of standard analgesic agents viz., morphine and meperidine. It was also found to possess anti convulsive activity in the strychnine induced convulsion model.

  • PDF

Direct Organogenesis in Geophila reniformis D. Don., an Important Medicinal Herb

  • Nisha, A.;Narasimhan, S.;Manjula, S.;Nair, G.M.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3호
    • /
    • pp.189-192
    • /
    • 2004
  • Adventitious multiple shoots were developed from leaf, petiole and internode explants of Geophila reniformis D. Don.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N^6$-benzylaminopurine (BAP) or Kinetin (KIN)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indole-3-acetic acid (IAA). Leaf showed maximum organogenetic potential, followed by petiole and internode.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22.22 $\mu{M}$ BAP and 4.57 $\mu{M}$ IAA induced maximum shoot buds from leaf explants. Internodal segments showed low potential of direct organogenesis. The regenerated shoots rooted the best in presence of 10.75 - 13.44 $\mu{M}$ $\alpha$-naphthalene acetic acid (NAA) along with 2.22 $\mu{M}$ BAP, and were successfully established in the field with a survival rate of 89.11%.

Taxonomic entities of two Korean plant taxa: Vicia bifolia (Fabaceae) and Cyperus compressus (Cyperaceae)

  • CHOI, Seung Se;KIM, Jonghwan;Kim, Myoung Jun;KIM, Chul Hwan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63-371
    • /
    • 2021
  • Vicia bifolia Nakai (Fabaceae) and Cyperus compressus L. (Cyperaceae) have been ambiguous in terms of their distribution and taxonomic entities in Korea. The existence of these two taxa was confirmed when V. bifolia and C. compressus was found on Jellabuk-do, Gyeongsangnam-do, and Jeju-do. Vicia bifolia is similar to V. unijuga by having a pair of leaflets but is distinguished by the length of the petiole, the size and degree of longevity of the bracts, and the shape of the stipules. Cyperus compressus was found on Jeju-do, is similar to C. tenuispica, C. haspan, and C. flaccidus, but is distinguished by the branching pattern of the inflorescences and the size of scales and achenes. A description, differences from related species, a key to the taxa and photographs of Korean Vicia bifolia and Cyperus compressus are provided in this study.

Taxonomic notes and distribution of Gueldenstaedtia (Chesneyinae, Fabaceae) in Mongolia

  • BAASANMUNKH, Shukherdorj;OYUNTSETSEG, Batlai;TSEGMED, Zagarjav;ILLARIONOVA, Irina D.;NYAMBAYAR, Nyamjantsan;CHOI, Hyeok Jae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64-70
    • /
    • 2022
  • The genus Gueldenstaedtia Fisch. is small genus of Fabaceae that includes four species worldwide. Among these, G. monophylla Fisch and G. verna (Georgi) Boriss. are currently recognized as occurring in Mongolia. Here, we present our findings on G. verna from our recent field surveys in eastern Mongolia in 2020. Gueldenstaedtia monophylla is most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region, whereas G. verna occurs in eastern Mongolia. The regional conservation status of both species was assessed as near threatened based on criterion B in the country. We provided descriptions, grid distribution maps, taxonomic notes and photographic illustrations of the two species based on our newly collected samples.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자생지 기후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분포 변화 (Habitat Climate Characteristics of Lauracea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nd Distribution Chang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유승봉;김병도;신현탁;김상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03-514
    • /
    • 2020
  • 기후변화는 생물계절반응 변화와 식물 자생지 이동을 초래한다.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도 과거 20년에 비해 분포역이 넓어지고 있으며, 자생지 범위가 북상하고 있다. 이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자생지 변화 예측을 위해 먼저, 식생의 분포와 관련이 깊은 온량지수와 한랭지수, 최한월 최저기온, 연평균기온 등 기후지표를 분석하였다. 그 변화량과 공간분포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난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8종의 자생지 기후지표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후지표특성을 바탕으로 MaxEnt 종 분포모형을 적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RCP 4.5/8.5)에 따른 21세기 자생지 변화를 예측하였다. 녹나무과 상록활엽수 8종의 자생지 월 평균 기후지표 특성은 온량지수 116.9±10.8℃, 한랭지수 3.9±3.8℃, 연강수량 1495.7±455.4mm, 건습지수 11.7±3.5, 연평균 기온 14.4±1.1℃, 동계 평균 최저기온 1.0±2.1℃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4.5에 근거한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분포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를 포함하는 도서지방과 서·남해안의 인접지역, 동해안의 강원도 고성까지 분포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에 근거한 분포의 경우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의 전 지역과 전라북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수도권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으로 분포가 확대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에 대비한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보전을 위해서는 자생지 내·외 보전 기준설정 및 다양한 자생지 특성 분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기후지표를 기반으로 한 생물계절정 자료를 통해 기후변화에 따른 녹나무과 상록활엽수의 분포, 이동, 쇠퇴 등의 미세변화를 선제적으로 감지하고 보전관리 방안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전남 동부지역 우량 산림습원의 관속식물상 (A Study on the Flora of Outstanding Forest Wetlands in the Eastern Part of Jeonnam Province)

  • 이종원;안종빈;강신호;윤호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4-167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동부지역에 위치한 우량산림습원을 대상으로 산림습원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하기 위하여 식물상 및 식생 등의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진행은 2020년 5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계절별로 각 1~2회씩 총 54회에 걸쳐실시하였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관속식물은 93과 251속 336종 5아종 47변종 7품종 총 395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관속식물 4,641종의 약 8.5%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에 출현한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과 벌개미취 등 6과 6속 7종 1변종 총 8분류군이 확인되었고, 한반도 특산식물 328분류군의 2.43%가 출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0과 12속 10종 1아종 1변종 총 1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멸종위기종(CR)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이 관찰되었다. 위기종(EN)은 복사앵도나무가 관찰되었다. 하지만 석회암지대에 주로 분포하는 종이기 때문에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취약종(VU)은 방울새란과 끈끈이주걱이 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약관심종(LC)과 자료부족종(DD)는 이삭귀개, 뻐꾹나리 및 벗풀이 관찰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 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V등급은 해오라비난초 및 자주땅귀개 등 4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IV등급은 산황나무 및 가는잎개고사리 등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III등급은 천선과나무 및 좀작살나무 등 15분류이 나타났고, II등급은 꼬리조팝나무 및 닭의난초 등이 관찰되었다. I등급은 개미탑과 말오줌때 등 총 3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산림습원 내 침입외래식물은 주홍서나물, 개망초, 달맞이꽃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고, 귀화율(Naturalized Index)은 4.83%, 도시화지수(Urbanized Index)는 5.90%로 조사되었다. 전남동부지역 우량산림습원의 습지유형 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남 동부지역 산림습원은 절대육상식물이 61.4%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고, 미분류 습지식물 19.1%, 임의습지식물 8.2%, 절대습지식물 4.6%, 임의육상식물 4.5%, 양생식물 2.3% 순으로 확인되었다.

HPLC를 이용한 노루오줌 추출물의 Avicularin 및 Quercitrin 분석법 개발 (Analytical Method Development of Avicularin and Quercitrin in Astilbe chinensis Extract Using HPLC)

  • 권진관;정연우;서찬곤;홍성수;신현탁;정수영;최정준;김진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3-340
    • /
    • 2019
  • 본 연구는 노루오줌(Astilbe chinensis)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개발하기 위해 avicularin, quercitrin을 지표성분으로 선정하고, 품질관리를 위해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를 이용하여 분석법을 개발하였다. 분석용 칼럼은 Capcell Pak C18 MGII을, 이동상은 0.05% (v/v) trifluoroacetic acid (TFA)와 아세토니트릴을 사용하여 컬럼 온도는 30℃ 에서 유속 1.0 mL/min 로 검출파장은 254 nm에서 검출하였다.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armonization (ICH) 가이드라인(version 4, 2005)을 근거로 하여 특이성, 직선성, 정밀성, 정확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분석하여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는 avicularin 0.094 및 0.285 mg/mL, quercitrin 0.031 및 0.095 mg/mL로 나타났으며, 검량곡선은 상관계수 값이 avicularin 0.99990, quercitrin 0.99994로 양호한 직선성을 보였고 정밀성 분석결과도 avicularin 0.59%, quercitrin 0.63% 이하로 확인되었다. 또한, 회수율은 avicularin 100.97 ~ 101.77%, quercitrin 100.18 ~ 100.32% 범위로 정확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석법은 노루오줌 추출물 지표성분의 분석법으로 적합한 시험법임이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