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omer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베이비붐세대 가계의 자산.부채상태 분석: 2006년과 2011년 비교 (Asset-Liability Analysis of Baby-Boomer Households: Comparison of year 2006 and 2011)

  • 차경욱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3호
    • /
    • pp.153-176
    • /
    • 2012
  • This study gives an account of the state of baby-boomer households in regard to assets and liabilities utilizing the 2006 Household Asset Survey and the 2011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Using the data gathered from each year, this study examined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ho had each type of asset and liability, and the amount of them.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amount of assets and liabilities of baby-boomer households with those of non baby-boomer households in 2006 and 2011 respectivel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amount of change and composition ratio of assets and liabilities of baby-boomer households between 2006 and 2011. Selected financial ratios were also presented for both years.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verage asset amount for baby-boomer households was approximately 296 million in 2006 and 392 million in 2011. Of total assets, 78% and 76.5% were real assets in 2006 and 2011 respectively. The average financial assets of 2006 baby-boomer households were approximately 66 thousand and the average amount of debt was 42 thousand. For 2011 baby-boomer households, the average amount of financial assets was 92 thousand and the average amount of debt was 73 thousand. Results from the 2011 survey showed that baby-boomer households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 of total assets, total debt, and net worth than non baby-boomer households. The proportion of savings, saving insurance, stocks, and mutual fund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baby-boomer households than non baby-boomer households in 2011. In regard to financial ratios, the emergency fund index and debt burden index were appropriate to the guidelines of asset quality, although the propensity to investment indexes were not.

  • PDF

한국의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에 대한 질적연구 - 서울 거주 중산층을 중심으로 - (Qualitative Research on Korean Baby-Boomer Generation Middle-Aged Women's Attitude Toward Their Lives - Based on Middle-Class Seoul Residents -)

  • 이지현;김선우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127-15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가족 내 높은 의사결정권을 가진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소비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이들이 삶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시간, 관계, 젊음과 건강, 자아실현, 의식의 총 5개의 핵심가치를 도출했다. 상위범주들의 맥락적 관계를 구축하여 모형을 도출한 결과,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은 시간적 여유의 증가와 이전/이후세대와는 다른 의식을 인과적 조건으로 하여 자아실현과 타인과의 관계맺기 현상을 나타내며 이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이들은 이와 같은 현상을 대처하기 위해 건강과 젊음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고 경제적으로 크게 고통 받지 않는 현재의 삶에 감사하고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모형을 보다 추상적인 중심현상으로 축약화하여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통해 베이비부머 중년여성이 여러 가지 활동과 노력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건강하고 젊고 행복한 삶'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의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시간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는 상품, 서비스가 필요하다. 둘째, 자아실현 욕구가 높은 베이비부머세대 중년여성이 자아효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이들의 감각, 능력, 인맥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이들의 집안과 외모 가꾸기는 자아실현의 방법이므로 이 시장에 대한 세분화가 필요하다. 질적인 방법으로 진행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역과 소득계층을 포함하는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상의 결과를 확인하고 보완하는 차원의 양적연구가 후속으로 진행되어야할 것이며, 이들 삶의 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더욱 깊이 있는 결과를 도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인과모형분석 - 대학생 자녀를 중심으로 - (A Causal Model Analysis of the Family Health of Baby Boomer Parents and the Marital Preparation Skill of Eco-Boomer Children - Focusing on College-Aged Students -)

  • 이성훈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9-111
    • /
    • 2013
  • 본 연구는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이 원인변인임을 밝혀내어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사전예방 차원에서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결혼생활준비기술을 높이기 위한 결혼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세대가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하였으며, 대학생인 자녀세대가 1992년 이전 출생에 해당하는 475부를 SPSSWIN 18.0 프로그램과 LISREL 8.5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저축, 소비하는 재정관리기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세대가 지각한 베이비붐 부모세대의 가족건강성은 에코 자녀세대의 결혼생활준비기술에 대한 원인변수임이 밝혀졌다. 특히 가족건강성은 결혼생활준비기술 중 부모역할기술과 갈등해결기술, 부모준비기술에 대한 영향이 컸으며 상대적으로 재정관리기술에 대한 영향은 낮게 나타났다.

  • PDF

직업유무에 따른 부산, 경남지역 베이비붐 세대 기혼여성의 우울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Baby Boomers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by Employment Status)

  • 김은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105-112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married baby-boomer female by employment status. Data for this study was based on a convenience sample of 499 married female baby-boomer who have residence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 The prevalence rate of depression symptoms was 21.4%. The employment status made differences on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baby boomers. Depressive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s toward menopause, menopausal symptoms and marital satisfaction for both baby-boomer female with and without a job. While monthly household income, participation in voluntary associations and satisfaction with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epression symptoms of baby-boomer female without employment, perimenopausal stage, perceived size of social network was important factors for the depression of married female baby boomers with a job.

광고 관련 변수들에 대한 세대 간의 반응 차이 (Generational Differences in Responses Related to Advertisements)

  • 김우성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145-1160
    • /
    • 2012
  • This study empirically compared generational differences in responses between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groups as measured by key variables related to advertisement. The respondents in this study were consumers throughout Korea, with 914 survey questionnaires used for the final analyses. Eight of the original 10 hypotheses were validated and two were rejected. Both baby boomer consumers and Generation Y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o affective advertisements than their Generation X counterparts. Generation Y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humorous advertisements than their baby boomer and Generation X counterparts. The effect of advertising models on the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was greater among Generation Y consumers than their Generation X counterparts. Generation Y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torytelling-type marketing than their baby boomer and Generation X counterparts. Baby boomer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symbolic advertisements than their Generation X and Generation Y counterparts. Generation X consumer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s functional advertisements than the baby boomer and Generation Y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two types (symbolic and functional) of advertisements in both baby boomer consumers and Generation X consumers.

창원시 베이비부머 세대의 직장만족과 삶의 질과의 관계 연구 -노후준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Work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in Baby Boomer : Focused on Retirement Preparation as Mediator Effect)

  • 장유미;강양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084-109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 정도와 노후준비를 살펴보고 직장생활, 노후준비, 삶의 질 간의 실증적인 관계를 파악하여 직장생활을 하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삶의 질에 노후준비가 어떤 매개효과를 가지는 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1955년-1963년) 204명을 대상으로 2012년 9월 22일~9월 30일의 기간 동안 설문지를 통해 면접 조사하였다. 중심 변수들 간의 연구모형을 SPSS 15.0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특성과 영향력 검증을 한 후, Amo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매개효과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창원시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있어서 직장생활 즉 직무에 대한 만족도와 직장생활을 통한 사회적 교류 정도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노후에 대한 준비는 삶의 질에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미래 사회적 자본 -베이비붐 세대의 집단적 특성을 중심으로- (Social Capital for the Baby Boomer Generation in the Future -Focused on Cohort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차성란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6권1호
    • /
    • pp.67-83
    • /
    • 2012
  • Baby boomers are often defined by their support of their parents and their devotion to their children's educational success by providing financial and emotional aids. Now, 7.12 million baby boomers in South Korea are retiring, or are about to retire, without any retirement plans. Similar to financial stability, health, and leisure life, social capital is another important element in the quality life after retirement. This is because social capital can function as a potential resource network. Social capital is a source that provides money, information, goods, services, emotional aids, social relational opportunities etc. In the past, family and community provided social capital for the aged. However, the baby boomer generation cannot expect the same. The baby boomers have the task of creating new social capital that can assure their quality of lif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cohort characteristics of the baby boomer generation and, based on the examination, seeks an alternative for social capita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from the local community can be an alternative source of caring for the baby boomers in old age. Second, among the social capital of the local community, elderly care supported by a family friendly community is proposed. In addition, baby boomers must become the primary social capital that contributes to a mature civil society rather than a beneficiary of welfare for the aged.

  • PDF

융복합시대 에코부머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궤적과 예측요인 (Job Stress Trajectories of the Eco-boomer Generation in the Convergence Era and Predicting Factors)

  • 손정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05-409
    • /
    • 2017
  • 본 연구는 종단적 연구를 통하여 융복합시대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변화궤적을 추정하여 예측요인을 밝혀냄으로써 직업 스트레스 정도와 그 변화 따라서 개인의 경험하는 직업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사회 중심이 될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부담 완화를 위한 사회복지 개입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종단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 ~ 7차년도 데이터를 잠재성장모형(LGM)을 적용하여 분석 하였다.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 예측요인을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부분 에코부머 세대의 경우 초기 측정시점이 대부분 학생에 해당되어 직업 스트레스의 수준이 덜했으나, 시간의 변화에 따라 직업에 대한 부담이 점차 증가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또한 그 변화의 예측요인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에코부머 세대의 직업 스트레스에 대한 이해와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에코붐 세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 Influencing Depression in Eco Boomer)

  • 김지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41-352
    • /
    • 2018
  • 본 연구는 에코붐 세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제7기 1차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24세 이상 37세 이하의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 관련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에코붐 세대의 우울은 성별, 교육수준, 주택소유여부, 건강보혐종류, 경제활동상태, 종사상지위, 임금근로자의 종사상지위, 근로시간제, 정규직여부, 지각된 건강상태, 흡연, 일 관련 신체활동 여부, 자살계획여부, 자살시도여부, 스트레스, 식사 빈도, 식사 시 동반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에코붐 세대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정규직여부, 지각된 건강상태, 흡연, 자살계획여부, 스트레스, 일 관련 신체활동여부, 저녁식사 시 동반여부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7.8%이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에코붐 세대의 우울 중재 시 성별과 일 관련 특성에 따른 접근이 필요하며 우울 예방을 위해 에코붐 세대의 생활양식을 반영한 관리 방안 모색이 필요하겠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Use of Music by the Baby Boomer Generation)

  • 전소원;박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37-46
    • /
    • 2020
  • 본 조사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음악활용 현황과 목적, 전반적인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다. 전국 5개시에 거주하는 57-66세 연구 참여자 87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휴식을 취할 때 혼자서 휴대폰으로 주로 대중음악을 감상하였으며, 음악활용의 목적은 행복, 취미, 자신감과 성취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이비부머 세대는 음악활용 시 동호회의 형태로 노래 부르기 및 가사토의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성별에 따른 음악활용 목적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봉사활동에 대한 목적을 두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 세대의 특성에 적합한 음악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