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ne broth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한우 뼈 부위별 국물의 품질 특성 및 이화학적 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gmental Bone Korean Beef Broth)

  • 윤지영;최순영;정희선;박영일;김다솔;주나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0-477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functional component analysis to optimize the recipes for Korean beef main bone area. To optimize the recipes for beef leg bone broth, beef feet broth and tail broth, the quality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dishes were comparatived and investigated. Crude protein, crude fat and mois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eef leg bone broth, Beef feet broth and tail broth (p<0.001). All free amino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exception of cystine and tryptophan (p<0.05). All miner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Na content was highest in the beef leg bone broth (211.77 mg/kg), followed by beef feet broth (254.40 mg/kg), and tail broth (134.93 mg/kg). Collag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dish (p<0.001), but chondroitin sulfate was not. And all nucleic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roduction of Bone Broth Powder with Spray Drying Using Three Different Carrier Agents

  • Haluk, Ergezer;Yeliz, Kara;Orhan, Ozunl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273-1285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some physicochemical (proximate composition, pH and $a_w$ values) and reconstitution (wettability, dispersibility and solubility index (SI)) properties of spray-dried bone broth powder (BBP) along with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different carrier agents. Subsequently, the powdered products were stored to determine the storage stability (pH, lipid oxidation, color, browning index) for 3 mon at $-18^{\circ}C$. For this purpose, firstly marrow-containing bones (Os femur and Os humerus) have been boiled to get the bone broth. Three different emulsions were respectively prepared (1) 20% maltodextrin (MD) added BBP, (2) 20% whey powder isolate (WPI) added BBP and (3) 10% MD and 10% WPI added BBP and the emulsions were dried using a spray-dryer with $185^{\circ}C$ inlet and $95^{\circ}C$ outlet temperatur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reconstitution properties of BBP were found statistically different (p<0.05) depending on the use of different carrier agents. MD added BBP showed uniform and smooth morphology. The color, browning index,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pH values of BBP significantly changed (p<0.05) during storage. In conclusion, both the results of physicochemical and storage period analyses showed that the most suitable encapsulation material in the production of the bone broth powder is MD.

PSL, ESR 및 TL 측정에 의한 복합조미식품의 방사선 조사여부 검지 (The Detection of Irradiated Composite Seasoning Foods by Analyzing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Electron Spin Resonance (ESR) and Thermoluminescence (TL))

  • 권중호;김미영;김병근;정형욱;김태철;김수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5-60
    • /
    • 2006
  • 미생물적 품질개선이 요구되는 복합조미식품 2종(beef broth 분말, pork bone extract 분말)을 대상으로 $0\~10kGy$의 감마선을 조사하고 광자극 발광(PSL), 전자스핀공명(ESR) 및 열발광(TL) 측정에 의한 조사여부검지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조사선량에 따른 PSL photon count를 측정해 본 결과, 비조사 beef broth와 pork bone 분말은 각각 503.0과 429.5의 값을 보여 비조사 시료에서 측정되는 700이하의 값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1\~10kGy$ 조사시료에서는 모두 5,000 이상의 photon count가 측정되어 이들 복합조미식품은 PSL 분석에 의해 방사선 조사여부를 신속하게 screening할 수 있었다. 또한 조사시료의 ESR 분석에서는 beef broth와 Pork bone 분말에서 signal의 g-value가 2.0065와 2.0067로 각각 측정되었고, 조사선량에 따라 ESR signal intensity가 증가하는 경향으로 beef broth 분말 $R^2=0.9226$, pork bone extract 분말 $R^2=0.9280$의 상관을 보였으나 방사선 유래의 signal은 확인되지 않았다. TL분석 결과 beef broth분말의 경우에서만 $170^{\circ}C$ 부근에서 방사선 조사 유래의 glow curve가 나타났으며, 재조사에 의한 TL ratio $(TL_1/TL_2)$는 비조사군 0.05이하, 1kGy 이상 조사군 1.0 이상으로 방사선 조사 여부의 검지가 가능하였다.

육수제품 개발을 위한 육수 재료 이용의 현황 조사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of utilization of broth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broth product)

  • 이종미;신계숙;최성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7-65
    • /
    • 1999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of utilization of meat broth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broth products. The 500 housewives living in Seoul were aske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s; Beef(93%) was used most frequently for making broth. In order to reduce rancid smell of broth, garlic(72%), ginger(68%), green onion(60%), onion(58%), black pepper(44%), radish(25%) were used. Most housewives used beef three or four times a month and hardly used chicken or pork for making broth. Commercial broth materials were used two or three times a month. For making broth the bricket of beef, a whole or half chicken and bones of pig were consumed most frequently. Before making broth, from flesh only blood was removed. Also housewives slightly boiled bone blood-removed in water. The older age is, the longer marriage duration is, the higher monthly income and education level is, the more beef was consumed.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is, the more vegetables like garlic, ginger, green onion, onion, radish were used. 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develop various broth products made of natural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preferred broth materials should be defined and it is necesarry to accomplish the preference test of preferred broth products.

  • PDF

상압과 가압조건에서 제조한 소뼈 용출액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bone Broths Prepared under Atmospheric Pressure and Overpressure)

  • 문상하;김재철;황금택;차용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25-732
    • /
    • 2015
  • 본 연구는 상압과 가압방식으로 제조한 소뼈 용출액의 이화학 및 관능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콜라겐 유래 단백질, 콘드로이틴 황산, 유리 아미노산, 무기질 함량 및 색도를 비교하였다. 가공방식에 따른 소뼈 용출액의 고형분, 조단백, 조회분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이 높았고, 동일 시간 동안 가열하였을 때 상압방식 용출액보다 가압방식 용출액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콜라겐 유래 단백질은 상압방식 용출액보다 가압방식 용출액에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상압방식 용출액의 경우 콜라겐 유래 단백질 함량은 4시간 이상 가열할 때 증가하여 12시간 가열할 때 가장 높았고, 가압방식 용출액의 경우는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콜라겐 유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여 6시간이상 가열했을 때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콘드로이틴 황산은 동일 시간을 가열하였을 때 상압방식 용출액보다 가압방식 용출액에 유의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p<0.05). 동일 시간 동안 가열하였을 때 칼슘과 마그네슘은 상압방식 용출액에 유의적으로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인, 소듐, 포타슘은 가압방식 용출액에서 더 많았다(p<0.05). 상압방식 용출액이 가압방식 용출액보다 $L^*$ 값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a^*$ 값과 $b^*$ 값은 전반적으로 가압방식 용출액이 높았다. 상압방식 용출액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탁도가 높았지만, 가압방식 용출액은 가열시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전반적으로 상압방식 용출액이 가압방식 용출액보다 탁도가 높았다. 관능적으로는 가압방식 용출액이 상압방식 용출액보다 갈색도, 투명도, 소 비린내, 소 비린 맛, 유황 냄새가 강하였는데, 이러한 특성은 가열시간이 증가할수록 더 강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영양학적인 측면에서는 가압방식으로 제조한 소뼈 용출액이 우수하였지만, 관능적 측면에서는 전통적인 상압방식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좋았다고 판단한다.

Bacillus 발효액 Enzamin의 투여가 인체의 NK세포 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에 미치는 탐색연구 (Research on the Bacillus-fermented Enzamin Administration on Human NK Cell Activity and Bone Density of Hamster: A Pilot Study)

  • 류서원;藤井登起男;이형환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63-69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Bacillus 발효액(ENM)을 섭취한 사람의 NK세포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 골량과 골면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방법: NK세포 활성도 측정과 x-ray를 통한 골밀도 검사를 하였다. 결과: NK 세포의 활성도는 대조군은 644.71 pg/ml, 임상군이 1796.37 pg/ml로 높게 나타나 유의성이 있었다(p<.004). 그리고 임상군은 섭취 전 검사에서 1110.37 pg/ml, 사후검사에서는 1796.37 pg/ml로 유의성이 있게 증가하였다(p<.001). ENM 먹인 후의 햄스터들의 행동관찰에서는 대조군과 임상군 간의 행동은 차이가 없이 정상적으로 행동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대조군에서는 최초 및 최종 27일째에 측정한 체중은 106 g로 거의 변동이 없었으며, 임상군은 최초 측정이 96.6 g, 최종 27일째는 114 g로 증가하여 유의성이 있었다. 햄스터 뒷다리를 X-선 촬영한 사진에서는 형태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대조군의 골밀도는 0.059 g/cm3, 임상군은 평균 골밀도는 0.062 g/cm3로 0.003 g/cm3만큼 증가하였다. 골중량은 대조군은 0.175 g, 임상군은 0.196 g로 증가하였다. 골면적은 대조군은 2.95 cm2, 임상군은 3.14 cm2 으로 0.19 cm2만큼 증가하였다. 부검에서 대조군과 임상군은 모두 특기할만한 이상은 없고, 각 장기도 정상이었다. 결론: ENM 섭취는 NK세포활성도와 Hamster의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유용한 식품이라 생각한다.

  • PDF

시판되는 한국전통음식의 인지도 및 기호도의 세대간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Awareness and Acceptance for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 홍금선;백수진;김향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373-38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in awareness and acceptance of the commercial Korean traditional food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and the subjects were 316 middle school students and 299 parents of the other students in the same schools. Five middle schools in Chongju, Chungbuk were inclu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Students showed higher awareness than adults for cooked rices and much lower for gruels except pumpkin gruel. Difference between generations was existed in the acceptance for Yuk-gae-jang rice, plain rice, abalone porridge, pollack gruel and pinenut gruel. 2) Among soups, students were more aware of seaweed soup and rib-broth than adults and adults were more aware of bone broth than students. Students showed higher acceptance than adults for seaweed soup, Yuk-gae-jang, Gom-tang and rib broth, whereas adults showed higher acceptance than students for pollack soup. 3) Most of one bowl meals were highly known by both students and adults without any specific generation differences. Students liked the best sauteed rice cake and they like sauteed rice cake and Japchae(sauteed noodle with mixed vegetables) much more than adults. 4) There was no generation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grilled and pan fried foods Grilled and pan fried foods were favored more by students than adults except grilled laver which was highly favored by both groups. 5) Generation difference was appeared in the awareness of Kimchi and salt fermented fishes, especially salt fermented fishes were much more known by adults than students. And also the acceptance of adults were higher than that of students for the most Kimchi and salt fermented fishes.

  • PDF

레토르트 삼계탕의 F0값 수준에 따른 품질 차이 (Quality differences of retorted Samgyetangs as affected by F0-value levels)

  • 이진호;송기창;이근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48-858
    • /
    • 2016
  • 국내 삼계탕 제조업체에서의 스팀식 레토르트기내 위치별 $F_0$ 분포를 조사하고 이에 따라 시료를 3가지 $F_0$값(10~20, 20~30, 및 >30) 수준으로 구분하여, 처리구별 품질 차이를 확인하였다. $F_0$값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삼계탕 가슴부위육의 육수에서의 무기질 함량, 육의 $L^*$$b^*$ 값, 죽과 육에서의 소화율 및 육수의 탁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육에서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과 가슴살과 뼈의 경도는 오히려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전자코로 측정된 육수와 가슴살의 향기 패턴은 시료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다. 관능학적 평가 결과 높은 $F_0$값으로 처리할수록 색, 이취, 조직감 및 향미 등 모든 지표 값이 낮아지는 경향이 확인되었는데, 특히 T3 시료의 색과 조직감은 T1과 T2시료에서보다 확실히 열등하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삼계탕의 품질 열화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최소한의 $F_0$값 처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레토르트기의 우수한 성능과 효율성이 보장되고 이와 관련한 각 공장에 적합한 살균기술의 표준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IOLOGICAL CONTROL OF GINSENG ROOT ROTS WITH SOIL AMENDMENTS

  • Chung Hoo Sup;Kim Choong Hoe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78년도 학술대회지
    • /
    • pp.67-74
    • /
    • 1978
  • The phenomenon of 'soil sickn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miting factors for ginseng(Panax ginseng) production in Korea. The principal cause is known to be due to the root rots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Fusarium solani. Attempts were made to control the root rots with non-polluting cultural methods or soil amendments. Among the nine soil amendments tested, crab shell, cow bone and pig feces were selected for further testing. Each of the three amendments increased the populations or various actinomycetes in the range of 10-25 times over that of non-amended soil, whereas the population of C. destructans was reduced to about $50-70\%$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Five isolates of Streptomyces with clear zones on chitin-agar medium were selected and then tested for their antagonistic effects on C. destructans. When anyone of the five isolates of Streptomyces and C. destructans was grown together in a modified peptone broth, growth of the latter was highly inhibited. When three levels of crab shell, cow bone, or pig feces were used to amend potted soil infested with C. destruetans, the root rot ratings of ginseng seedlings were reduced to less than one half in all the treatments as compared to the control. In another similar experiment, crab shell and cow bone amendments resulted in almost complete control of the seedling root rots in soil infested with C. destructans or F. solani. In conclusion, biological control with soil amendments of ginseng root rots caused by C. destructans and F. solani was successful. Further basic studies should be pursued using soil amendments for better control. In addition, field experiments are needed to complement the soil amendment control measures in an integrated pest control program.

  • PDF

Bifidobacterium bifidum SL-21의 세포벽 조제성분에 의한 in vitro 골수세포 증식활성 (In vitro Bone Marrow Cell Proliferation of Cell Wall Preparation from Bifidobacterium bifidum SL-21)

  • 신명숙;유광원;신광순;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84-489
    • /
    • 2004
  • 인간의 장내 상재 세균이며 인간에게 다양한 건강 증진 효과를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Bifidobacterium속을 유아의 분변으로부터 분리하여 세포질, 세포벽 및 배양액의 고분자 획분을 대상으로 in vitro에서 장관면역계를 경유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을 검토하였다 분리한 6종의 Bifidobacterium속 중에서 Bifidobacterium SL-21의 세포벽 성분(CWP)이 농도 의존적으로 가장 높은 골수세포의 증식을 나타내었다. 한편, 골수세포 증식은 Peyer's patch를 매개로 일어나는 반응이므로 Peyer's patch에 의해 생성되는 cytokine류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B. bifidum SL-21의 세포벽 성분과의 반응에 의해 GM-CSF, IL-2 및 IL-6 등의 cytokine류의 생산 증가가 확인되었으며 cytokine의 생산은 반응한 세포벽 성분에 농도 의존적 경향을 보였고 골수세포 증식이 증가할수록 높은 cytokine 생산 증가를 나타냈다. 불용성인 B. bifidum SL-21 세포벽을 lysozyme 처리하여 수용화시켜 분자량에 따른 활성을 검토한 결과, 분자량 30-50 kDa의 획분에서 가장 높은 골수세포 증식활성이 측정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B. bifidum SL-21 세포벽 성분이 Peyer's patch의 림프구를 활성화시키고 이들 활성화된 림프구에서 생성되는 cytokine류에 의해 골수세포 증식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CM-CSF, IL-2 및 IL-6 등의 전신순환 면역계의 증강에 중요한 역할을 갖는 cytokine류를 생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