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olted glula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5초

Shear Performance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Bolted Connection

  • Kim, Keon-ho;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661-671
    • /
    • 2015
  • To evaluate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textile glass fiber and the sheet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bolted connections, a tension type shear test was conducted. The average yield shear strength of the bolted connection of reinforced glulam was increased by 12% ~ 31% compared to the non-reinforced glulam.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ar performance of 5D end distance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connection corresponds to that of 7D of the non-reinforced glulam connection proposed in building design requirements in various countries. Compared to the non-reinforced glulam, the average shear strength of textil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was markedly increased. The non-reinforced glulam and the GFRP reinforced glulam underwent a momentary splitting fracture. However, the failure mode of textil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showed a good ductility.

Bearing Strength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Bolted Connection

  • Kim, Keon-ho;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5호
    • /
    • pp.652-660
    • /
    • 2015
  • To study the bearing characteristics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for structural design, bearing strength tests were performed. Bearing loads were applied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grains, and the holes were prepared in such a way that the bolts would bear and support all the layers. The yield bearing strengths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non-reinforced glulam, and were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increases in bolt diameter. The ratio of the experimental yield bearing strength to the estimated bearing strength according to the suggested equation of the Korea Building Code and National Design Specification was 0.91~1.03. For the non-reinforced glulam and the sheet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lulam, the maximum bearing load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splitting fracture of specimens under bolt. The textil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underwent only an embedding failure caused by the bearing load. The failure mode of reinforced glulam according to bearing load will influence the failure behavior of bolted connection, and estimating the shear yield strength of the bolted connection of the reinforced glulam is necessary, not only by using the bearing strength characteristics but also using the fracture toughness of the reinforced glulam.

Bending Creep of Glulam and Bolted Glulam under Changing Relative Humidity

  • PARK, Junchul;SONG, Yojin;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5호
    • /
    • pp.676-684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valuate the bending creep deflection of glulams and bolted glulams beam-to-beam connection with steel-gusset plates and bolts under changing relative humidity. The two types of glulam beams (130 mm in width, 175 mm in thickness, and 3000 mm in length) used in this study were made from domestic larch and composed of seven layers. The gussets were made of 8-mm-thick steel plates. Creep testing was conducted under constant loads in an uncontrolled environment. The test was carried out in a room that was well ventilated through a window. The creep test specimens were loaded for 33,000 hours. A bending creep test for the glulams was conducted through four-point loading. The applied stresses were 20% and 30% of the MOR in the static bending test for the glulam and bolted glulam, respectively. After 33,000 hours, the creep deflection of the glulam at a 20% stress level increased by 39% to 99%, while the creep deflection of the glulam at a 30% stress level increased by 27% to 67%, as compared with instantaneous elastic deflection. The relative creep increased during autumn and winter, and recovered during spring and summer. The relative creep of the bolted glulams was changed abruptly by loading up to 5,000 hours, but stabilized after 5,000 hours, and then gradually increased until 33,000 hours. The relative creep of the bolted glulam increased 2.11 times on average after 33,000 hours.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 볼트접합부의 전단강도 특성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bolt Connection by Glass Fiber Combination)

  • 김건호;송요진;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1호
    • /
    • pp.51-57
    • /
    • 2013
  • 직물형 유리섬유 조합에 따른 보강 집성재의 볼트 접합부 전단 성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인장형 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보강재는 직물형 유리섬유로서 유리섬유 배열 형태는 평직형과 능직형을 사용하였다. 보강 집성재는 5층으로 직물형 유리섬유의 삽입 위치와 조합 형태를 달리하여 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켜 제작하였다. 인장형 전단 시험편은 강판 삽입형로서 끝면거리 7D에 직경 12, 16 mm의 볼트로 접합하였다. 체적비 1%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경우 12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집성재 외층부보다 내층부를 보강한 시험편에서 10% 큰 값을 나타내었다. 체적비 2% 직물형 유리섬유 보강 집성재의 항복 전단내력은 12 mm 볼트 접합부의 경우 각층재 사이에 삽입 적층시킨 시험편이 보강하지 않은 접합부보다 약 22% 향상되었으며, 16 mm 볼트 접합부의 항복 전단내력은 약 20% 향상되었다.

유리섬유 보강집성재 볼트 접합부 전단내력 예측 (Estimate of Bolt Connection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 using Glass Fiber)

  • 김건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67-74
    • /
    • 2016
  • 유리섬유 보강집성재의 볼트접합부 항복전단내력을 예측하기 위해 인장형 전단시험을 통해 측정된 실측값과 설계기준에 의한 예측값을 비교하였다. 볼트접합부의 항복전단내력 예측식을 위해 층재의 방향별 탄성계수, 포아송비, 전단계수를 측정하였다. 설계기준의 예측식 보정을 위해 유리섬유 보강집성재의 파괴거동을 반영한 파괴인성계수($K_{ft}$)를 적용하여 보정항복전단내력을 비교하였다. 층재의 탄성계수는 섬유방향에 따라 연륜폭, 연륜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리섬유 보강집성재의 보정항복전단내력은 직경과 보강재에 따라 실측치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직물형 유리섬유보강집성재의 볼트접합부가 가장 높은 내력성능을 보였다. 볼트직경과 보강재에 따른 유리섬유 보강집성재 볼트접합부의 항복전단내력은 건축구조설계기준의 제안식을 보정한 예측치가 가장 잘 일치하였다.

낙엽송 부재의 이중 전단 볼트 접합부 강도 성능 (Strength Property of Double Shear Bolted-Connections of Larch)

  • 박천영;김광모;이전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7-16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산 낙엽송 부재를 이용한 이중 볼트 전단 접합부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주부재로 두께 39 mm, 89 mm, 139 mm, 189 mm로 제재된 국산 낙엽송 제재목과 국산 낙엽송으로 제조된 두께 80 mm, 140 mm, 170 mm 집성재를 사용하였으며, 측면 부재로는 동일 두께의 제재목과 6 mm 철판을 사용하였으며, 접합 철물로는 M12, M16, M20 볼트를 사용하였다. 접합부에 대한 하중 방향은 주부재와 측면 부재의 목리 경사에 대해 수직, 수평한 경우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다우얼 지압 강도 실험을 통해 부재의 다우얼 지압 강도를 산출하고, 볼트 휨 실험을 통해 볼트의 휨 강도를 구한뒤, 최종 볼트 접합부 실험을 통해 접합부 성능을 평가하였으며, 최종 결과는 EYM (European Yield Model)을 사용한 계산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국산 낙엽송 부재의 이중 전단 볼트 접합부 성능은 EYM을 사용하여 얻어진 계산값과 비교하였을 때 그에 상응하거나 그 이상임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측면 부재가 제재목인 경우는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파괴 모드는 옹이나 건조 결함 등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주부재의 두께가 작을 경우는 mode I, 주부재가 커짐에 따라 mode III으로 옮겨감을 알 수 있었다.

낙엽송 집성재의 Bolt, Drift Pin 접합부의 전단강도 성능 평가 - 접합구 직경, 세장비, 끝면거리가 강도에 미치는 영향 - (Shearing Strength Properties of Bolted, Drift-Pinned Joints of the Larix Glulam - Effects of Fastener Diameter, Slenderness and End-distance on Strength Properties -)

  • 김건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69-78
    • /
    • 2008
  • 국내산 낙엽송 집성재 볼트,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내력성능평가를 위해 인장형 전단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인장형 전단시편은 강판삽입형 볼트, 드리프트 핀 접합부 시편과 강판측재형 볼트접합부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볼트와 드리프트 핀의 직경은 12, 16, 20 mm였다. 시편의 접합구멍은 끝면거리 5, 7 d로 제작하였고 인장하중은 섬유평행방향으로 가하였다. 끝면거리에 따른 접합부의 내력성능을 검토하고 Larsen의 항복추정식을 통해 항복하중을 실측항복하중과 비교하였다. 설계표준 시 끝면거리 7 d의 항복하중을 기준으로 5 d의 저감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판삽입형 접합부에서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평균최대하중은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볼트 접합부보다 3~30% 정도 크게 나타났다. 볼트 접합부의 경우 강판측재형의 평균최대하중은 강판삽입형보다 1.54~2.07배 크게 나타났다. 동일 직경에서 끝면거리 7 d의 평균최대하중이 5 d보다 8~44% 정도 크게 나타났다. 2. 강판삽입형 접합부의 지압응력은 드리프트 핀 접합부가 볼트보다 1.16~1.41배 더 크게 나타났으며, 7 d가 5 d보다 1.37~1.86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세장비는 7.5 이하, 강판삽입형 볼트 접합부의 세장비는 6 이하에서 양호한 내력성능을 보였다. 3. 실측 항복하중과 Larsen이 제안한 항복하중 추정식에 의해 얻어진 항복하중값의 비는 강판삽입형 접합부의 경우 0.80~1.10, 강판측재형 접합부는 0.75~1.46이었다. 4. 끝면거리 7 d의 항복하중을 기준으로 강판삽입형 볼트접합부의 경우 12 mm 접합부의 저감계수(Ke)는 0.89, 16 mm는 0.93, 20 mm는 0.85였다. 강판삽입형 드리프트 핀 접합부의 경우 12 mm는 0.89, 16 mm는 0.93, 20 mm는 0.93이었다. 강판측재형 직경 12 mm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0.79, 16 mm는 0.80이었다.

볼트 간격에 따른 낙엽송 집성재 이중 볼트접합부의 전단강도 (Lateral Strength of Double-Bolt Joints to the Larix Glulam according to Bolt Spacing)

  • 김건호;홍순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3호
    • /
    • pp.1-8
    • /
    • 2008
  • 볼트 간격에 따른 국내산 낙엽송 집성재 이중 볼트접합부의 내력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휨 type 전단강도실험을 실시하였다. 전단시편은 강판삽입형 볼트접합부 시편으로서 볼트구멍은 볼트직경(12 mm, 16 mm), 볼트 개수(단일 볼트 : Control, 이중 볼트), 볼트 열 방향(섬유평행 : Type-A, 섬유직교 : Type-B) 그리고 볼트 간격(Type-A : 4 d, 7 d, Type-B : 3 d, 5 d)을 달리하여 제작하였다. 조건에 따른 볼트접합부의 강도성능과 파괴형상을 비교, 검토하였다. 설계표준(KBCS, 2000)시 볼트간격이 감소된 기준허용전단내력에 대한 저감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일 볼트접합부와 Type-A의 이중 볼트접합부의 볼트 한 개당 지압응력은 볼트의 직경, 볼트 간격과 비례 관계를 보여주었다. Type-B의 지압응력은 볼트의 직경이 증가할 때 감소하였고, 볼트 간격이 증가할 때 2~10% 정도 감소하였다. 2) 단일 볼트접합부와 Type-A의 이중 볼트접합부의 파괴형상은 연단거리 방향으로 할렬파단이 일어났다. Type-B의 경우 볼트간격이 3 d일 때 인장부위 볼트가 압축부위 볼트보다 더 굴곡되었고 인장부위볼트에서 할렬파단이 시작되었다. 5 d 시편의 경우 인장부위와 압축부위 볼트의 굴곡은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압축부위볼트에서 할렬파단이 시작되었다. 3) 설계표준시 기준볼트 간격(Type A : 7 d, Type B : 5 d)에 따른 항복하중을 무차원화시켜 저감계수를 산출하였다. 12 mm 볼트접합부의 경우 Type-A인 볼트 간격 4d와 단일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각각 0.87, 0.55였고 Type-B인 볼트 간격 3 d와 단일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0.91, 0.55였다. 16 mm 볼트접합부의 경우 Type-A인 볼트 간격 4 d와 단일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0.96, 0.76이었고 Type-B인 볼트 간격 3 d, 단일 볼트접합부의 저감계수는 0.91, 0.77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