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ock coefficient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7초

Open Channel Block of Kv3.1 Currents by Genistein, a Tyrosine Kinase Inhibitor

  • Choi, Bok-Hee;Park, Ji-Hyun;Hahn, Sang-June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0권2호
    • /
    • pp.71-77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genistein, a widely used tyrosine kinase inhibitor, on cloned Shaw-type $K^+$ currents, Kv3.1 which were stably expressed in Chinese hamster ovary (CHO) cells, using the whole-cell configuration of patch-clamp techniques. In whole-cell recordings, genistein at external concentrations from 10 to $100{\mu}M$ accelerated the rate of inactivation of Kv3.1 currents, thereby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ing the current at the end of depolarizing pulse with an $IC_{50}$ value of $15.71{\pm}0.67{\mu}M$ and a Hill coefficient of $3.28{\pm}0.35$ (n=5). The time constant of activation at a 300 ms depolarizing test pulses from -80 mV to +40 mV was $1.01{\pm}0.04$ ms and $0.90{\pm}0.05$ ms (n=9)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in the presence of $20{\mu}M$ genistei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 activation kinetics was not significantly modified by genistein. Genistein $(20{\mu}M)$ slowed the deactivation of the tail current elicited upon repolarization to -40 mV, thus inducing a crossover phenomen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ug unbinding is required before Kv3.1 channels can close. Genistein-induced block was voltage-dependent, increasing in the voltage range $(-20\'mV{\sim}0\'mV)$ for channel opening, suggesting an open channel interaction. Genistein $(20{\mu}M)$ produced use-dependent block of Kv3.1 at a stimulation frequency of 1 Hz. The voltage dependence of steady-state inactivation of Kv3.1 was not changed by $20{\mu}M$ genistein. Our results indicate that genistein blocks directly Kv3.1 currents in concentration-, voltage-, time-dependent manners and the action of genistein on Kv3.1 is independent of tyrosine kinase inhibition.

열전발전소자 제작 및 발전특성 분석 (Fabrication of Thermoelectric Module and Analysis of its Power Generation Characteristics)

  • 최태호;김태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0-9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산업현장에서 미활용되는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유용한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한 Bi2Te3 계열 열전소자를 제작하고 에너지회수 성능 및 물성을 도출하였다. 성능시험을 위하여 카트리지 히터 가열 방식의 가열블록과 냉매가 흐르는 냉각블록으로 구성된 전용 실험장치를 구성하였으며, 가열블록과 냉각블록에는 3×3 배열의 열전대를 장착하여 소자 양 면 온도와 열전달율을 도출하였다. 최소 온도차 27K부터 최대 온도차 172.2K까지 총 9가지의 온도차에 대해 실험을 수행하여 V-I curve와 P-R curve를 도출하였고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벡계수 등 변수 7가지에 대하여 온도차에 대한 함수로 결과를 제시하였다. 최대 발전양 7.5W와 변환효율 11.3%의 결과로부터 개발된 열전소자의 열에너지 회수 성능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에너지 축열보드 열해석을 위한 컴퓨터 수치해석 (Computer Simulation for the Thermal Analysis of the Energy Storage Board)

  • 강용혁;엄태인;곽희열
    • 에너지공학
    • /
    • 제8권2호
    • /
    • pp.224-232
    • /
    • 1999
  • 캡슐형 잠열재를 이용한 열저장 시스템은 바닥 난방 및 건물 난방에서 매우 효과적인 시스템이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가 열유동 매체가 순환하는 파이프 주변의 캡슐내 온도 분포와 열유동 매체의 유량 등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비정상 상태에서 Navier-Stokes 방정식, 난류모델을 비롯한 스칼라 보존 방정식을 적용하여 캡슐 블록의 온도 분포 및 파이프 내의 유동장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본 연구와 같이 계산 영역이 특별한 기하학적 현상을 형상(circle+square)인 문제 해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격자 생성 기술(MBFGE/CCM)을 개발하였다. 격자계는 파이프에서 원형 격자를 이용하였고, 캡슐 블록에서 사각 격자를 이용하여 다중격자와 미세격자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적 방법을 미세 캡슐을 이용한 축열보드에 적용하여 2종류의 열경계 상태에 대하여 속도와 온도분포를 계산하여 비교분석을 하는 것이다. 온도는 축열 보드의 한 쪽면은 대류면이고 다른 한쪽면은 단열면인 경우(Case 2)보다 양면 모두 단열인 경우(Case 1)일 때 더 높게 상승하였다. 온수 파이프 중심선인 Y=0 에 가까운 영역에서 Case 1과 Case 2사이에 축열 보드 내에서 온도 차이는 확연하게 나타났다. 향후 수치해석의 정확도를 높이고 축열 보드의 열전달 현상을 보다 정확히 계산하기 위해서는 위치 및 시간에 따른 정밀한 온도 측정값이 필요하고 특히 잠열재인 미세 캡슐이 상변화를 하므로 온도 변화에 따른 물질의 비열(C$_{p}$)과 열전달율(λ)을 고려한 방정식이 요구된다.

  • PDF

영상 부호화를 위한 DCT 계수 블럭 크기 분류 (DCT Coefficient Block Size Classification for Image Coding)

  • 강경인;김정일;정근원;이광배;김현욱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880-894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양자화 계수가 0이 되는 위치를 예측하여 축소된 영역내에서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수행하는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제안한 알고 리즘은 FDCT(Forward DCT)와 IDCT(Inverse DCT)의 계산량을 줄여 부호와 시간과 복호 화 시간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허프만(huffiman) 부호화시에도 각각의 불럭에 대하여 분류된 블럭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수평 수직 지그재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압축률 을 증가시킨다. 기존의 영상 부호화 방법은 모든 블럭에 대하여 똑같은 DCT 계산과 지그재그 스캔을 행한다. 그렇지만, 제안한 알고리즘은 부호화시에 분류된 블럭 크기 밖의 양자화 계수에 대해 FDCT를 계산하는 대신 0을 대입함FDCT 계산 시간을 줄인다. 또한, 복호화시에는 분류된 블럭 크기내에 존재하는 역양자화 계수만 가지고 IDCT를 수행함으로써 IDCT 계산 시간을 줄인다. 추가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은 분류된 블럭 특성에 적합한 수평 수직 지그재그 스캔을 수행함으로써 Run-length를 줄여서, 향상된 압축률을 제공한다. 한편, 제안한 알고리즘은 DCT에서 압축률과 화질면에서는 최적이지만 부호와 시간과 복호화 시간이 많이 걸리는 16*16 블럭의 처리에도 적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간을 요구하는 동영상 부호화로 확장되어 질 수 있다.

  • PDF

블록 크기 및 난류발생기 배치에 따른 수평채널내의 열전달 및 압력강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lock Size and Turbulence Generator's Placement in a Horizontal Channel)

  • 서규원;임종한;윤준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39-647
    • /
    • 2019
  • 최근 전자장비의 소형화 및, 고밀도화가 되는 반도체 집적기술의 발달로 인해 칩과 모듈에서 발생되는 내부발열량을 외부로 적절히 방출시키기 위해서 열 제어시스템 적용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는 SST k-${\omega}$ 난류모델을 적용하여 4개의 블록이 부착한 수평채널내에서 열전달 및 압력강하 특성을 고찰하였다. CFD 해석시 적용한 매개변수는 블록 폭, 블록 높이, 열원 및 난류발생기 배치이고, 해석시 기본 경계조건은 채널 입구의 온도 및 유속은 300 K, 3.84 m/s, 열유속은 $358W/m^2$으로 하였다. 그 결과로 블록 폭비율(w/h)이 증가할수록 열전달성능이 감소하는 반면에 블록 높이비(h/w)이 증가할수록 열전달특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열원의 크기배열은 낮은 열유속에서 높은 열유속으로 증가시킬수록 열원의 영향을 받아 열전달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난류발생기는 채널 입구에 가까운 블록 1번 위치의 상단에 설치했을 경우가 4개의 가열블록 전체에 가장 영향을 크게 미치게 되고, 압력강하특성을 고려할 때 가장 적절한 위치로 선정할 수 있었다.

Fabrication, characterizatio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studies of the ordinary concrete reinforced with micro and nano lead oxide particles against gamma radiation

  • Mokhtari, K.;Kheradmand Saadi, M.;Ahmadpanahi, H.;Jahanfarnia, Gh.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9호
    • /
    • pp.3051-3057
    • /
    • 2021
  • The concret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adiation shielding material employed widely in nuclear reactors, particle accelerators, laboratory hot cells and other different radiation sources. The present research is dedicated to the shielding properties study of the ordinary concrete reinforced with different weight fractions of lead oxide micro/nano particles. Lead oxide particles were fabricated by chemical synthesis method and their properties including the average size, morphological structure, functional groups and therm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by XRD, FESEM-EDS, FTIR and TGA analysis. The gamma ray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of concrete composites has been calculated and measured by means of the Monte Carlo simulation and experimental methods. The simulation process was based on the use of MCNP Monte Carlo code where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μ/ρ) has been calculated as a function of different particle sizes and filler weight fraction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employment of the lead oxide filler particles enhances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of the ordinary concrete, drasticall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pproximately no differences between micro and nano sized particles.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 wa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weight fraction of nanoparticles. However, a semi-saturation effect was observed at concentrations more than 10 wt%. The experimental process was based on the fabrication of concrete slabs filled by different weight fractions of nano lead oxide particles.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of these slab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gamma ray energies using 22Na, 137Cs and 60Co sources and NaI (Tl) scintillation detector.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HVL parameter of the ordinary concrete reinforced with 5 wt% of nano PbO particles was reduced by 64% at 511 keV and 48% at 1332 keV. Reasonable agreement was obtained betwee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nd showed that the employment of nano PbO particles is more efficient at low gamma energies up to 1Mev. The proposed concrete is less toxic and could be prepared in block form instead of toxic lead blocks.

DA구조 이용 가산기 수를 감소한 2-D DCT/IDCT 프로세서 설계 (2-D DCT/IDCT Processor Design Reducing Adders in DA Architecture)

  • 정동윤;서해준;배현덕;조태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3권3호
    • /
    • pp.48-58
    • /
    • 2006
  • 본 논문은 가산기 기반 DA(Distributed Arithmetic: 분산 산술연산)구조로서 ROM과 같은 일반적인 메모리가 사용되지 않는 8x8의 2차원 DCT(Discrete Cosine Transform)/IDCT(Inverse DCT) 프로세서를 제안 설계하였다. 제안된 논문은 DCT와 IDCT의 계수 행렬에서 하드웨어를 줄이기 위해 계수 행렬의 홀수 부분을 공유하였고, 2차원 DCT/IDCT 프로세서의 계수 연산을 위해 단지 29개의 가산기만을 사용하였다. 이는 8x8 1차원 DCT NEDA(NEw DA)구조에서의 가산기 수 보다 48.6%를 감소 시켰다. 또한, 기존의 전치메모리와는 다른 새로운 전치네트워크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전치네트워크 구조에서는 전치메모리 블록 대신 하드웨어를 줄이기 위해 레지스터 형태의 새로운 레지스터 블록 전치네트워크 형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전치네트워크 블록은 64개의 레지스터를 사용하며, 이는 일반적인 메모리를 사용하는 기존의 전치메모리 구조에 사용된 트랜지스터 수 보다 18%가 감소하였다. 또한 처리율 향상을 위해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 방식으로, 입력 데이터에 대해 매 클럭 주기마다 8개의 화소데이터를 받아서 8개의 화소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하여 출력하는 비트 병렬화 구조로 설계하였다.

H.264/AVC에서 DCT 계수의 근사화를 이용한 고속 인트라 모드 결정 기법 (Fast Intra Mode Decision for H.264/AVC by Using the Approximation of DCT Coefficient)

  • 라병두;엄민영;최윤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4권3호
    • /
    • pp.23-32
    • /
    • 2007
  • H.264 영상 부호화 표준은 인트라 예측에서 압축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율-왜곡 최적화(RDO : Rate Distortion Optimization)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현재 블록에 대한 최적의 부호화 모드의 선택이 가능해졌지만 복잡도와 연산은 이전대비 더욱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우세한 에지 방향(DED : Dominant Edge Direction)의 예측을 통한 고속인트라 모드 결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이 알고리즘은 이산 코사인 변환(DCT : Discrete Cosine Transform) 계수를 근사화하여 이용한다. DED를 예측함으로써 $4{\times}4$ 휘도 블록의 경우 최적 모드 결정을 위한 율-왜곡 최적화 계산에 9개 모드 중 3개 모드가 선택된다. $16{\times}16$ 휘도 블록과 $8{\times}8$ 색상 블록의 경우 4개 모드 대신에 2개 모드가 최적 모드 결정을 위해 율-왜곡 최적화 계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실험 결과 인트라 전체 검색 방법대비 약 72%의 연산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타각과 선속에 따른 선회권의 변화-실습선 가야호- (Variation of the Turning Circle by the Rudder Angle and the Ship's Speed-Mainly on the Training Ship KAYA-)

  • 김민석;신현옥;강경미;김민선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1권2호
    • /
    • pp.156-164
    • /
    • 2005
  • The size of the ship's turning circle is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block coefficient, underwater side shape, rudder area ratio, draft, trim and Froude's number. Most of them are already fixed on departure from a port. However, the ship's speed and the rudder angle are controllable factors which operations are able to change optionally during sailing. The DGPS measured the turning circles according to the ship's speed and the rudder angle. The maximum advances by slow and full ahead were 302m and 311m, and the maximum transfers were 460m and 452m, respectively. There occurs almost no difference in size of the turning circle by variation of the ship's speeds. When the rudder angles were changed to $10^{\circ}$, $20^{\circ}$ and $30^{\circ}$, the maximum advances were 447m, 271m and 202m, and then also the maximum transfers 657m, 426m and 285m, respectively. The diameter of the tuning circle was decreased exponentially when the rudder angle was increased. The maneuverability was better when the direction of turning and propulsion of propeller are in the opposite direction rather than in the same one togetherm. The distance of the maximum transfer was always bigger than that of the maximum advance.

마이크로 소결 구조 채널에서의 흐름 비등 열전달 특성 연구 (Flow Boil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n Sintered Microporous Surfaces in a Mini-channel)

  • 김영환;신동환;김진섭;문우용;허재훈;이정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105-110
    • /
    • 2018
  • The flow boiling heat transfer of water was experimentally investigated on plain and sintered microporous surfaces in a mini-channel. The effects of microporous coating on flow boiling heat transfer of subcooled water were investigated in a 300 mm long mini-channel with a cross section of $20{\times}10mm^2$. The test section has sufficiently long entrance length of 300 mm which provides a fully-developed flow before the channel inlet. The bottom side of the channel was heated by a copper block assembled with a high-density cartridge heater and other sides of the channel were insulated. The microporous surface was fabricated by sintering copper particles with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50{\mu}m$ on the top side of the copper block. Heat transfer measurement was conducted at the mass flux of $208kg/m^2s$ and the heat flux up to $500kW/m^2$. Microporous coated surface showed an earlier boiling incipience compared with plain surface regardless of the mass flux. Microporous coating were significantly attributed to local wall temperature and local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flow boi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