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lack onion extrac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53초

갈변반응을 이용한 흑양파의 제조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Black Onions Manufactured via the Browning Rea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ir Water Extracts)

  • 양아여;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10-318
    • /
    • 2011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흑양파를 제조하고자 하였으며, 제조조건을 선발하기 위해서 숙성온도, 양파 크기, 그리고 양파 외부의 처리방법을 다르게 하여 흑양파를 제조하고, 각각의 흑양파 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평가함으로서 흑양파를 새로운 식품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흑양파 제조의 기초자료를 조사하였다. 온도에 따른 흑양파 제조효과에서 온도 증가에 따라 갈변효과가 증가하였다. 양파의 크기별은 100 g의 작은 양파와 뿌리와 줄기를 자른 양파의 갈변효과가 좋았다. 생양파보다 제조한 흑양파의 색도와 ${\Delta}E$ 값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90^{\circ}C$일 때 5.53 이었고, 총 페놀 함량은 온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90^{\circ}C$에서 9.19 mg/g이었다. $90^{\circ}C$에서 껍질 있는 작은 양파의 총 페놀함량은 11.62 mg/g으로 가장 높았다. 각 항산화 효과를 놓고 본 때 $90^{\circ}C$에서 껍질있는 작은 흑양파의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48%에 달하였고 아질산염 소거능도 타 처리구 보다 좋은 결과이었다. 흑양파 제조방법에 따른 기능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 박피하지 않고 뿌리와 줄기를 자른 90-S-C 처리구가 갈변도, 총 페놀의 함량이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90^{\circ}C$에서 껍질로 싸여 있는 100 g 작은 양파의 갈변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향신료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pices)

  • 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8-6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로 추출한 향신료 추출물(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3, 10.0, 4.3, 6.6 및 12.8%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3, 1.0, 0.5, 3.4 및 7.9%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2,000 ppm)은 생강(67.2%)> 후추 (56.8%)> 산초(39.7%)> 마늘(26.6%)> 양파(19.6%)의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생강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해서, 마늘 추출물은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양파 추출물은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 생강 추출물> BHT> 후추 추출물> 산초 추출물> 마늘 추출물> 양파 추출물의 순이었다. Linoleic acid 기질에서의 향신료 추출물(0.05%)의 항산화효과는 BHT (0.02%)> 생강> 산초> 후추> 마늘> $\alpha$-tocopherol(0.02%)> 양파의 순이었고, linoleic acid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 효과는 BHT> $\alpha$-tocopherol> 생강> 후추> 산초> 마늘> 양파의 순이었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Onion Extracts)

  • 전선영;정은정;백정화;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2호
    • /
    • pp.1740-1745
    • /
    • 2011
  •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흑양파추출액 3종류(창녕, 무안, 증평 지역산 제품)를 구입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51종으로 카르보닐화합물류 15종, 함황화합물류 8종, 방향족화합물류 6종, 퓨란류 6종, 질소화합물류 3종, 알콜류 2종, 산류 2종 및 기타 10종이 검출되었다. 카르보닐화합물 중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nonanal 및 benzaldehyde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류에서는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흑양파추출액의 주요 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성을 가지는 thiophene 유도체와 항암효과를 지닌 methylpropyl disulfide, methyl-(Z)-propenyl disulfide 및 methyl-(E)-propenyl disulfide 등은 2 제품(A, B)에서만 검출되었다. 비효소적갈변유도물질인 furfural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pyrazine류 및 acetic acid 도 많은 함량으로 검출되어 이들 향기성분들이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성분에 특징적인 냄새성분으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출용매에 따른 흑양파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Onion Extracts)

  • 양아여;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954-960
    • /
    • 2011
  • 흑양파를 ethanol, methanol 및 물로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비교 검토함으로서 흑양파 추출물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식품의 제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물 추출물이 28.56%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총 페놀도 13.5 mg/g로 가장 많았다. MTT assay 이용한 Raw 264.7의 세포독성에서 물 추출물이 가장 양호한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흑양파 ethanol 추출물과 물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추출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흑양파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DPPH 라디칼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1000{\mu}g/mL$일 때 양파 ethanol 추출물은 23.29%, 흑양파 물 추출물은 65.99%로 흑양파가 양파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매우 높았다. ABTS 저해활성은 DPPH에 의한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상승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흑양파 ethanol 이나 methanol 추출물보다는 물 추출물이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흑양파 물 추출물을 새로운 식품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당뇨 생쥐에서 대황 추출물 및 정제환의 혈당과 지질 상태 개선 효과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s and Pill on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 조성희;박소영;최상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493-501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tihyperglycemic and hypolipidmic effects of sea oak(Eisenia bicyclis, EB) in the diabetic state an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formulated EB pill for the effects. The various test materials obtained from EB were included in the experimental diets with 15% fat/0.5% cholesterol and fed to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weighing $35.0{\pm}0.7$ g for three weeks but not in the control diet having the same composition. The test materials were EB dry powder, water and ethanol extracts, viscozyme-treated EB water extract(EB enzyme-TR) and formulated pill containing dry powders of the EB, two kinds of seaweed, black soybean, sesame, onion and garlic. BG was measured during feeding period and serum insulin, lipids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and intestinal disaccharidase activitie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three weeks of the feeding. BG increase was lower in the EB enzyme-TR group after 10 days of the experimental diet but lower in EB pill group after 15 day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rum insulin levels were higher in the EB enzyme-TR and EB pill groups. Intestinal maltase but not sucrase activity was higher in EB enzyme-TR fed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were reduced by the EB enzyme-TR and EB pill compared with the control diet. HDL-/total cholesterol was increased by all EB test materials. Serum TBARS levels were lower in the EB ethanol extract and EB pil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ended to be lower in the other EB groups. It is concluded that the EB enzyme-TR is the best among the EB preparations to be utilized as a functional component for improving blood glucose and lipid profile in diabetic subjects in the future. However, the pill containing low level of the EB powder is also regarded as effective and readily usable when formulated with the several other ingredients of the proper composition.(Supported by the RIC Program of MOCIE,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