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valves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4초

포천천 수질개선을 위한 패류의 이용 하천형 유기물 제어(S-CROM) 기술의 적용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Pocheon Stream Using Freshwater Bivalves: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ontinuous Removal of Organic Matter in Streams (S-CROM))

  • 김백호;이주환;김용재;황수옥;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317-330
    • /
    • 2009
  • 패류를 이용한 오염하천의 수질개선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CROM기술을 응용한 S-CROM기법을 개발하고 현장에 직접 적용하였다. 실험은 하천에 형성된 소형 보에서 실시하고 자연유속을 그대로 이용하였으며, 패류의 섭식활동을 위해 현장의 퇴적물을 첨가하였다. 실험은 처리조를 현장수(대조군), 현장수+퇴적물(대조군), 현장수+퇴적물+패류 30개체 (D1), 현장수+퇴적물+패류 60개체 (D2) 등 4가지로 구성하고, 유속은 450mL $min^{-1}$, 시료채취는 12시간(주, 야)간격으로 실시하였다. 환경요인으로는 현장에서 직접 수온, pH, DO, 전기전도도, 탁도 등을 측정하였고 시료를 채취하여 Chl-$\alpha$, SS, TN, TP, $NO_2$-N, $NO_3$-N, $NO_4$-N, $PO_4$-P, BOD, 식물플랑크톤 등을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유기물 제어능은 패류밀도와 처리시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최대효과는 운영 2일째, 낮 동안 그리고 고밀도 처리군에서 나타났으며, 부유물질 (57%)과 조류(72%)의 감소를 보였다. 고농도의 암모니아와 인산을 배출하였던 CROM(김 등, 2009)보다 뚜렷하게 낮은 수준을 보였으며, 패류의 밀도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비록 S-CROM이 CROM에 비하여 낮은 제어율을 보였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패류밀도 및 빠른 유속 등이 원인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S-CROM를 이용한 하천의 유기물 제어는 하천환경과 패류밀도를 적절하게 조합한다면 높은 수질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생존 및 저질 잠입성에 미치는 TBTCl의 독성 (Tributyltin chloride (TBTCl) toxicity on the survival rate and burrowing activity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정준;진영국;이정식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5-56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biological responses of bivalves exposed to organotin compound.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ribultyltin chloride (TBTCl) induce reduction of survival rate andburrowing activity, and histopathological feature in the foot 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veneriformi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36 weeks. The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a control and 3TBTCl exposure groups (0.4, 0.6, 0.8 ym TBTCl L'). The survival rate and burrowing activity were record-ed daily. For histological analysis, foot tissues were fixed in Bouin' s fluid and then stained H-E stain, AB-PAS (PH 2.5) reactio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after having serially sectioned the tissue by paraffinmethod at thickness of 4-6 ym. The survival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exposure groups for 20 weeks, but in 0.8 Um TBTCl L', it was on the decreased ever since the exposure. Theburrowing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exposure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up to 12weeks, but in 0.6 and 0.8 ym TBTCl L', it measured the lowest level after 20 weeks. The foot is composedof the epidermal layer, connective tissue, and muscular layer. The epidermal layer is composed of simplecolumnar, cuboidal epithelia and mucous cells. The cilia were well developed on the apical surface ofepithelium, Circula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muscle bundle were well developed in the muscular layer.The majority mucous cells showed blue color (542c) when it subjected to AB-PAS (PH 2.5) reaction. No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in the foot were observed up to 12 weeks. After 20 weeks of exposure to 0.8 (anTBTCl L'', the foot samples of exposed G. veneriformis showed disappearance of cilia and striated borderpartially and extension of hemolymph sinus. The mucous cell increased in the marginal of foot. At 28-weekof exposure to 0.4 ym TBTCl L', it observed weekly acid (564c), neutral (264c) and mixed mucous cell. At36-week of exposure to 0.6 ym TBTCl L', it showed fragmentation of the muscle and collagen fiber bundle,and also diappearance of cilia on epithelia and edema of epithelium in 0.8 ym TBTCl L''.

한국 섬진강 기수역 암컷 피뿔고둥 Rapana venosa (복족류 : 뿔소라과)의 생식세포 발달에 따른 난황형성과정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교미 시기와 산란 활성 (Ultrastructural Studies of Vitellogenesis According to Germ Cell Development, and Mating Period and Spawning Activity in Female Rapa Whelk, Rapana venosa (Gastropoda: Muricidae) in the Brackish Water Area of Seomjin River, Korea)

  • 손팔원;이일호;김성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4호
    • /
    • pp.1031-1040
    • /
    • 2015
  • 섬진강 기수역에 서식하는 피뿔고둥, R. venosa(Muricidae)의 생식세포분화와 난모세포 내에서의 난형성과정 중 난황형성의 미세구조적 연구를 위해 투과전자현미경 관찰로 조사하였다. 초기난황형성난모세포들에서 골지체와 미토콘드리아는 글리코겐 입자들, 지방적들과 난황과립들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후기난황형성난모세포들에서 조면소포체와 다포체들은 세포질 내에서 단백질성 난황과립들의 형성에 관여하였다. 여러 크기의 다포체들은 후기난황형성 난모세포 내에서 변형된 미토콘드리아들에 의해 형성되었다. 특히, 다른 복족류들의 결과들과 이매패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비교하여 보면, 이매패류의 경우에는 난황형성의 타가합성과 관련된 것으로, 난황막 위에 미세융모(microvilli)와 피질층에 피질과립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복족류의 경우는 난황형성난모세포내에서 난황형성 중 난모세포 밖으로부터 외생적으로 일어나지 않아 출현하지 않는 점이 이매패류나 두족류와 다른 점이다. 성숙란 내의 성숙난황과립은 3가지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1) 난황과립의 중앙부에 결정중심이 있고, (2) 주변부에는 전자밀도가 밝은 피질층이 있고, 그리고 이들을 (3) 한계막이 둘러싸고 있다. 최종적으로 복족류 종들의 난모세포들 내에서의 난황형성과정은 타가합성과정(외생적 endocytosis)이 발견되지 않고 단지 난모세포 자체의 내생적 자율합성과정을 거쳐 일어나는 특징을 보였다. 피뿔고둥은 난황형성을 위해 난황형성과정 중, 염분농도가 높고 낮음으로 인해 내생적 자율합성과 외생적 타가합성이 변경된 현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교미시기와 산란 활성은 수온 및 염분농도 상승과 관련이 있다.

참굴큰입흡충(Gymnophalloides seoi)의 제2중간숙주로서 참굴의 역할 (Oysters, Crassostrea gigas,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Gymnophalloides seoi (Gymnophallidae))

  • 이순형;최민호;서민;채종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1호
    • /
    • pp.1-8
    • /
    • 1995
  • 우리 나라 고유의 인체 기생 장흡충 Gwmopholloides seoi Lee, Chai and Hong, 1993은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신안군 도서지방에 큰 유행지가 있음이 밝혀져 의학적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인체 감염원이 되는 제2중간숙주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자연산 참굴(Crossoskrea gigas)이 제2중간숙주의 하나일 것으로 추정하고 신안군 유행지에서 참굴을 채집한 후 gniulophallid metacercariae에 감염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조사한 참굴 50마리 모두에서 glrnnophallid metacercariae가 발견되어 100%의 감염률을 보였고. 참굴 1마리 당 평균 610개(개체당 2-4.792개)의 감염량을 보였다 충체의 종은 추후 마우스 감염 실험을 통하여 G. seoi로 동정할 수 있었다. 유충(metacercariae)은 낭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구흡반으로 참굴의 외투막(mantle surface)을 흡착하고 있었으며, 참굴의 절편 표본에서 참굴큰입흡충 속의 특징 중 하나인 복측흡(ventral pit)이 관찰되며. 복흡반 전방에 근육질이 아닌 생식공이 있고 저정낭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저정낭은 대부녁의 충체에서 단낭성(mono-sac)이어서 유일한 다른 종인 G. toiensis가 이낭성(bipartite) 저정낭을 가진 것과는 차이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참굴이 G. seoi의 제2중간숙주이며 동시에 가장 중요한 인체 감염원일 것으로 판단하였고, 이 흡충의 우리말 이름을 참굴큰입흡충으로 제안한다.

  • PDF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1. 군집의 구조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1. Community Structure)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3호
    • /
    • pp.190-200
    • /
    • 2001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 저서동물의 군집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3개의 정점을 대상으로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평균 708.1 개체/$m^2$와 214.9 gWWt/$m^2$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다. 출현 종 수와 개체수에 있어서는 환형동물의 다모류가, 생물량에 있어서는 연체동물과 극피동물이 대표적인 분류군이었다. 조위에 따른 저서동물의 출현 경향은 종 수와 개체수는 갯벌의 하부로 갈수록 뚜렷하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생물량은 갯벌의 중부에서 가장 높았다. 척전 갯벌의 집괴분석 결과에 의하면, 3개의 정점군과 4개의 종군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정점군은 조위에 따라 상부, 중부 그리고 하부 정점 그룹으로 나뉘었고, 종군은 다음과 같았다: 1) 중하부 광역분포 종군으로 Heteromastus filifomis-Mactra veneriformis-Solen strictus-Ilyoplax finggi 군집, 2) 상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chemulpoensis-Macrophthalmus gaponicus 군집, 3) 중부 분포 종군으로 Glycera subaenea-Decorifer matusimana-Tritodynamia 군집 ,4)하부 분포 종군으로 Nephtys polybranchia-Borniopsis tsurumaru-Asthenognathus inaequipes-Protankyra bidentata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 PDF

유류 유출 사고 해역에 서식하는 패류의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 위해도 평가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Hazard Assessment of Shellfish due to Oil Spill Accidents)

  • 김풍호;김민정;조미라;이두석;송기철;변한석;조기채;박광재;전제천;윤호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11-216
    • /
    • 2010
  • On 7 December 2007, about 12,547 kL of crude oil spilled from the Hong Kong registered tanker Hebei Spirit along the west coast of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Taean-gun, Chungcheongnamdo Province. This study evaluated the safety of seafood collected from the coastal area polluted by the crude oil. The range of total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sum}PAHs$) at 22 stations was 3.9-37.1 ng/g. The concentration of ${\sum}PAHs$ was higher in oysters, Crassoatrea gias, than that in short-necked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Benzo(a)pyrene, a highly toxic PAH, ranged from 0.07-1.47 ng/g, which did not exceed the European Union regulatory limit for benzo(a)pyrene. The toxicity equivalent of benzo(a)pyrene in oysters and short-necked clams was 0.49-1.70 and 0.09-1.01 ng/g, respectively. The estimated life time cancer risk was very low, i.e., $1.31{\times}10^{-8}$ for the oysters and $6.9{\times}10^{-9}$ for the short-necked clams. The body burden of PAHs in bivalves originated mostly from petroleum contamination, but the levels was not sufficiently high to harm human health.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의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정량 (Quantification of nitric oxide concentration in the hemocyt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using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etection method)

  • 남기웅;양현성;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13
  • 일산화질소 (NO) 는 면역계에서 세포내 외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물질로 생물의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바지락 혈구의 NO 농도 측정을 위해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A) 를 이용한 DAF assay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바지락 혈구의 NO 생성을 위해 L-arginine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반대로 NO 저해제인 L-NAME를 첨가한 경우 NO 생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 이용된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 모든 조사 방법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가지 측정 방법 중 유세포 분석법은 측정의 신속성,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NO 측정은 향후 바지락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마커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ipid Components of the Cultured Pearl Oyster (Pinctada fucata martensii) in Korea

  • Moon Soo-Kyung;Kang Ji-Yeon;Kim Kyeong-Dae;Kim In-Soo;Jeong Bo-Yo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4호
    • /
    • pp.189-194
    • /
    • 2005
  • Protein, lipid classe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cluding n-3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HUFAs), were analyzed in the soft parts, which we differentiated as the adductor muscles and 'other portions,' from the cultured pearl oyster after the pearl was harvested and before the nucleus was graft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ies of the soft parts. Total lipid content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1.25-1.26\%$) than in the adductor muscles ($0.58­0.65\%$) in both pearl oyster samples, whereas pro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latter ($15.5­18.7\%$) than in the former ($11.2-13.9\%$; P<0.05). The percentage of total lipids (TLs) consisting of phospholipids (PLs) was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60.4-68.3\%$) than in the other portions ($40.6-47.0\%$), but the percentage of nonpolar lipids (NLs) was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of the soft parts. The prominent lipid classes were free sterol (FS) and triglyceride (TG) in the NLs and phosphatidylchol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in the PLs. The adductor muscles contained high levels of FS and all PL classes, while the other portions contained high levels of all NL classes, especially TG (but not FS; P<0.05). The prominent fatty acids were 22:6n-3 ($17.2-24.9\%$), 16:0 ($8.35-15.8\%$), 20:5n-3 ($7.95-14.9\%$), 18:0 dimethyl acetal (DMA, $4.79-13.5\%$), 18:0 ($4.50-6.16\%$), and 20:4n-6 ($4.36-5.43\%$). The percentages of 22:6n-3, 20:4n-6, and 18:0 DMA were higher in the adductor muscles than in the other portions of both pearl oyster samples, while those of 20:5n-3 and 16:0 were higher in the other portions (P<0.05). The levels of these food componen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bivalves or were higher, especially the protein content, indicating that the soft parts of pearl oysters, which are currently wasted, have food value.

연체동물의 스테롤의 기원에 관하여 (1) 2매패와 권패의 스테롤 조성의 차이 (The Origin of Molluscs Sterol (1) The Sterol Compositon of Bivalves and Snails)

  • 조용계;김용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85-193
    • /
    • 1976
  • 패류의 스테롤조성은 복장하나 이들 스테롤의 유래(由來)에 관한 연구는 없다. 이들 스테롤의 기원에 관한 연구로서 우선 2매패(二枚貝)인 개량조개와 북방조개, 권패(卷貝)연 전복, 함수산(鹹水産) 소라의 스테롤 조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시료의 스테롤의 함량을 보면 2매패인 개량조개 및 복방조개가 총지질에 대하여 각각 $12.0\%,\;11.8\%$로서 권패인, 전복의 $16.2\%$ 소라의 $15.3\%$ 보다 약간 낮았다. 2. $15\%$ $AgNO_3-Silica$ Gel HF254 TLC 상에서 조성이 복잡한 스테롤을 상호 분리할 수 있었다. 3. 2매패인 개량조개 및 북방조개의 스테롤 조성은 C-26의 스테롤인 22-트란스-24-놀 코레스타-5.22-디엔-3-$\beta$을 이 각각 $3.0\%,\;3.9\%$, 22-데하이드로 코레스테롤이 $6.7\%,\;10.2\%$, 콜레스테롤이 $39.0\%\;48.6\%$, 브라시카스테롤이 $14.0\%,\;13.8\%$, 24-메치렌코레스테롤이 $10.0\%,\;11.9\%$, 스티그마스스테롤이 $2.4\%$, 소량, $\beta$-시토스테롤이 $10.5\%,\;11.9\%$, 프코스테롤 4.3\%, 소량이었고, 북방 대합에는 구조 미상의 스테롤이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4. 권패인 전복 및 소라에는 코레스테롤이 각각 $98.0\%,\;97.5\%$였고, 22-데하이드로 코테스테롤, 브라시카 스테롤이 미량 함유되어 있다. 또 전복에는 이외 24-메치렌코레스테로, 프코스테롤이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5. 2매패에는 코레스테롤이 $50\%$ 미만인데 대하여 권패에는 코레스테롤이 $98\%$ 정도로, 2매패와 권패의 스테롤조성상에 차가 현저히 보였다.

  • PDF

패류 종묘의 대 생산시에 필요한 먹이 생물의 배양에 관한 연구 1. Phaeodactylum, Platymonas 및 Chlorella (THE GROWTH OF FOOD ORGANISMS FOR THE MASS PRODUCTION OF MOLLUSCAN SEEDLINGS 1. Phaeodactylum, Platymonas and Chlorella)

  • 유성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
    • /
    • 1970
  • 1969년 3월부터 10월까지의 사이에 먹이 생물인 해산의 Phaeodactylum tricornutum, Platymonas sp. 및 Chlorella sp. 등의 배양 실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도기는 Phaeodactylum tricornutum이 가장 잘고 다음이 Platymonas sp., Chlorella sp.의 순서였다. 2. 정치 배양은 유동 배양에 비해 대체로 유도기가 길며 급속 성장기가 짧고 일간 증가량이 현저히 작다. 3. 발육 속도 정수는 Phaeodactylum tricornutum 이 $0.302{\pm}0.028$로서 가장 크고, Chlorella sp.가 $0.226{\pm}0.013$, Platymonas sp..가 $0.151{\pm}0.008$의 순서였다. 4, 3종에 있어 가장 큰 일간 증가량과 일령은 각각 다음 표에서 보는 바와 같다. Phaeodactylum tricornutum 최대 일간 증가량 : 47.5, 일령 : 10 Platymonas sp. 최대 일간 증가량 : 5.6, 일령 : 14, Chlorella sp. 최대 일간 증가량 : 21.1, 일령 : 14 5. 세포수에 대한 침전 세포량은 직선으로서 표시되고, 그 크기 순서는 Phaeodactylum tricornutum, Platymonas sp. 및 Chlorella sp.이며 세포 크기의 순서와 일치한다. 6. 먹이로 사용하는데 알맞는 일령은 Phaeodactylum tricornutum 에서는 12일, Platymonas sp. Chlorella sp.는 각각 16일 내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