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biological assays

검색결과 479건 처리시간 0.031초

포도 품종별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면역활성 분석 (Analysis of Immunomodulating Activities in M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Kinds of Grapes)

  • 허진철;우상욱;권미애;김보배;이숙희;이진만;최종욱;정신교;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19-424
    • /
    • 2007
  • 하우스 포도 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거봉, 델라웨어, 캠벨, 청포도를 열거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효과 중 항산화와 항암 활성에 대한 보고는 많으나 면역활성에 대한 활성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우리는 4종의 포도의 메탄올 추출물로 항산화, 항암, 그리고 면역활성을 분석하였다. 전자공유능을 측정하기 위한 DPPH를 이용한 실험 결과 포도 4종에서 모두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력을 알아보기 위한 FRAP 실험 또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 억제 효과는 약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포도 추출물에 의한 cell proliferation 활성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실험에서는 LPS에 의해 유도된 NO의 활성을 감소시키지는 않으나 포도 추출물 자제가 Raw 264.7 세포에서 NO의 활성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ound 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알아본 결과 포도추출물 4종에서 세포의 운동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Mouse primary spleen cell 에서의 cytokine IL-4, IL-13의 활성을 알아본 결과 Con A로 유도된 IL-4와 IL-13의 발현 양을 현저히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포도 4종에 대한 생물학적 활성 결과 항산화, 항암활성은 물론 항천식 활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면역조절 활성이 포도의 기능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사 발효액의 함유 성분 분석 및 소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Digestive Enzyme Activities of Fermented Crataegi Fructus Extracts)

  • 박성진;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36-14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사 발효액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및 소화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산사 발효액의 수분함량은 $39.3{\pm}0.06%$이었으며, 조회분 $0.20{\pm}0.01%$, 조지방 $1.40{\pm}0.59%$, 조단백질 $1.77{\pm}0.04%$이었다. 그리고 산사 발효액의 총페놀 함량 분석 결과 $3,015{\pm}250$(GAE ${\mu}g/g$)로 나타났다. 색도 분석에서 L값은 79.24으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1.58과 31.28으로 측정되었다. 다양한 항산화 평가 모델(DPPH, FRAP, 환원력, ABTS)을 통하여 산사 발효액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산사 발효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산사 발효액의 혈당 조절능을 평가하기 위해, Porcine pancreas, Human saliva 및 Bacillus licheniformis 기원의 ${\alpha}$-amylase와 효모 기원의 ${\alpha}$-glucosidase에 대한 추출물의 저해 활성을 조사한 결과, ${\alpha}$-amylase에서는 저해활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 ${\alpha}$-glucosidase에서는 10.4%의 저해활성을 보였다. 산사 발효액의 단백분해능을 측정한 결과, 대조품으로 사용한 pancreatin보다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사 발효액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산사 발효액을 소화제 등의 천연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산사의 발효액을 제조 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발효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찔레 영지버섯(Phellinus ribis) 추출물의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hellinus ribis Extracts)

  • 송재환;이현숙;황진국;정태영;홍성렬;박기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90-695
    • /
    • 2003
  • Phellinus ribis(찔레 영지버섯)는 약용버섯으로 일부 항암 및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나 그 활성이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아 1차적으로 40% 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확인하였다. 항산화 활성에 있어 nitrosamine의 원인물질인 nitrite 제거활성은 pH 1.2에서 0.5 mg/mL 이하 농도에서는 50% 이하, 그리고 1 mg/mL 처리 시 $64.0{\pm}1.6%$의 제거활성을 나타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DNA 손상 및 암, 당뇨, 간경화증, 심혈관질환 등의 원인물질에 관련하여 DPPH radicals의 제거활성은 0.5 mg/mL에서 $62.5{\pm}0.3%$, 1 mg/mL 처리 시 $91.3{\pm}0.8%$로 높게 나타났다. 2.5% linoleic acid의 자동산화에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0.01 mg/mL 처리 시 p<0.05 수준에서, 0.5 및 1 mg/mL에서는 p<0.001 수준에서 유의성 있게 산화를 억제하였으며,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은 $530{\pm}81\;unit/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항고혈압에 관련된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 활성은 $12.0{\pm}1.5%$로 그 활성이 미약하였다. Human 유래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실험결과 폐암세포인 A549의 경우 100 mg/mL 농도에서도 16%로 나타나 세포독성이 미약하였고, 자궁암 세포인 HeLa의 경우 50 mg/mL에서 45%의 효과를, 위암 세표인 AGS에서는 5 mg/mL 처리 시 24%, 50 mg/mL에서는 76%, 그리고 간암 세포주인 SK-Hep-1의 경우 50 mg/mL에서 42%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 및 TA100에 대한 돌연변이원성 시험결과 찔레 영지버섯 추출물은 자연복귀 집락보다 histidine revertant colony 수가 2배 이상 증가하지 않았고, 추출물의 첨가농도를 증가시켜도 histidine revertant colony 수가 증가하지 않아 돌연변이성이 없었다.

Characterization of a Novel DWD Protein that Participates in Heat Stress Response in Arabidopsis

  • Kim, Soon-Hee;Lee, Joon-Hyun;Seo, Kyoung-In;Ryu, Boyeong;Sung, Yongju;Chung, Taijoon;Deng, Xing Wang;Lee, Jae-Hoon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11호
    • /
    • pp.833-840
    • /
    • 2014
  • Cullin4-RING ubiquitin ligase (CRL4) is a family of multi-subunit E3 ligase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involvement of CRL4 in heat stress response, we screened T-DNA insertion mutants of putative CRL4 substrate receptors that exhibited altered patterns in response to heat stress. One of the mutants exhibited heat stress tolerance and was named heat stress tolerant DWD1 (htd1). Introduction of HTD1 gene into htd1-1 led to recovery of heat sensitivity to the wild type level, confirming that the decrease of HTD1 transcripts resulted in heat tolerance. Therefore, HTD1 plays a negative role in thermotolerance in Arabidopsis. Additionally, HTD1 directly interacted with DDB1a in yeast two-hybrid assays and associated with DDB1b in vivo, supporting that it could be a part of a CRL4 complex. Various heat-inducible genes such as HSP14.7, HSP21, At2g03020 and WRKY28 were hyper-induced in htd1-1, indicating that HTD1 could function as a negative regulator for the expression of such genes and that these genes might contribute to thermotolerance of htd1-1, at least in part. HTD1 was associated with HSP90-1, a crucial regulator of thermotolerance, in vivo, even though the decrease of HTD1 did not affect the accumulation pattern of HSP90-1 in Arabidopsi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negative role of HTD1 in thermotolerance might be achieved through its association with HSP90-1, possibly by disturbing the action of HSP90-1, not by the degradation of HSP90-1. This study will serve as an important step toward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connection between CRL4-mediated processes and plant heat stress signaling.

대체혈액을 이용한 인공폐의 평가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f Artificial Lung Using Blood Substitutes)

  • 김기범;홍성출;김민호;정경락;이삼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11-32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설계한 인공폐 모듈을 사용하여 인공폐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압력손실과 산소전달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증류수, 아황산나트륨용액을 혈액대용물질로 사용하여 다른 인공폐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혈액대용물질은 압력손실과 산소운반력을 연구하는데 전혈(whole blood)에 비해 장점이 많다 즉. 이들은 상대적으로 값이 저렴하고 조절하여야 할 변수가 적다. 또한 이 용액을 사용하게 되면 탈산화장치가 필요 없으며 실험결과의 분석이 상대적으로 쉽다. 전혈과 같은 산소분압을 갖는 아황산나트륨용액을 사용하는 경우 아황산나트륨 용액의 산소전달속도는 전혈을 사용하는 경우의 산소전달속도와 거의 일치하였다. 이 실험에서 중공사모듈의 산소전달속도를 측정하는데 아황산나트륨용액이 혈액대용물질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이 인공폐 모듈에서는 용액이 중공사의 바깥쪽으로 흐르도록 설계하였는데 이 실험용 인공폐는 압력손실이 안쪽으로 흐르도록 하는 흐름에 비해 $1/3\~1/6$였다.

  • PDF

땅강아지(Gryllotalpa orientalis)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Effects of Mole Crickets (Gryllotalpa orientalis) Extracts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 허진철;이동엽;손민식;윤치영;황재삼;강석우;김태호;이상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09-514
    • /
    • 2008
  • ${\cdot}$ 식물의 추출물은 예로부터 생약으로 많이 이용이 되었는데, 이는 추출물 내에 다양한 생리 활성 물질 및 화합물을 포함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한방에서 누고(樓姑)라고 알려진 땅강아지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와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 (FRAP)활성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땅강아지는 DW, DMSO, 에탄올,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실험 결과 땅강아지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 활성의 경우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FRAP 활성의 경우 DW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활성의 증가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Cyclooxygenase-2 promoter의 활성 저해는 DMSO와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미루어 보아서 이들 추출물간의 특성을 잘 응용할 경우 항산화 및 항염증에 좋은 생물학적 재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 Conserved Mechanism for Binding of p53 DNA-Binding Domain and Anti-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 Lee, Dong-Hwa;Ha, Ji-Hyang;Kim, Yul;Jang, Mi;Park, Sung Jean;Yoon, Ho Sup;Kim, Eun-Hee;Bae, Kwang-Hee;Park, Byoung Chul;Park, Sung Goo;Yi, Gwan-Su;Chi, Seung-Wook
    • Molecules and Cells
    • /
    • 제37권3호
    • /
    • pp.264-269
    • /
    • 2014
  • The molecular interaction between tumor suppressor p53 and the anti-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plays an essential role in the transcription-independent apoptotic pathway of p53.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nding of p53 DNA-binding domain (p53DBD) with the anti-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Bcl-w, Mcl-1, and Bcl-2, using GST pull-down assay and NMR spectroscopy. The GST pull-down assays and NMR experiments demonstrated the direct binding of the p53DBD with Bcl-w, Mcl-1, and Bcl-2. Further, NMR chemical shift perturbation data showed that Bcl-w and Mcl-1 bind to the positively charged DNA-binding surface of p53DBD. Noticeably, the refined structural models of the complexes between p53DBD and Bcl-w, Mcl-1, and Bcl-2 showed that the binding mode of p53DBD is highly conserved among the anti-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Furthermore, the chemical shift perturbations on Bcl-w, Mcl-1, and Bcl-2 induced by p53DBD binding occurred not only at the p53DBD-binding acidic region but also at the BH3 peptide-binding pocket, which suggests an allosteric conformational change similar to that observed in Bcl-$X_L$. Taken altogether, our results revealed a structural basis for a conserved binding mechanism between p53DBD and the anti-apoptotic Bcl-2 family proteins, which shed light on to the molecular understanding of the transcription-independent apoptosis pathway of p53.

현초의 항산화 활성에 의한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 및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of Geranium thunbergii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via antioxidant effect)

  • 권태형;이수진;박재호;김태완;박정자;박년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5-3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현초의 식품소재 적용과 기능성 소재의 개발을 위해 현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이용하여 활성산소종의 소거활성과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 및 항균활성에 대해 검증하였다. 현초를 메탄올로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water의 용매를 이용하여 순차분획을 실시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다양한 항산화 측정 방법을 통하여 항산화 효능을 측정한 결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능, ABTS 라디칼 소거능 및 환원력에서 효과가 높게 측정 되었으며, $50{\mu}g/mL$의 농도에서 각각 80.88%, 80.12%, 28%를 저해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항산화 효능과 함께 산화적 DNA 손상 보호효과를 검증하였고 농도별로 억제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식품 소재 및 다양한 첨가 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연구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하여 저해 활성을 보였다. 이러한 활성을 가진 현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활성물질을 검증하기 위하여 phenolic compound 및 flavonoid 대조군을 이용하여 LC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ellagic acid와 gallic aicd가 검출 되었으며 각각 55.14 mg/g, 5.42 mg/g 측정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현초는 다양한 식품소재로서의 활용될 수 있으며, 본 논문은 기능성 물질로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 된다.

KLF4에 의한 CCSP 발현 억제 (Repression of CCSP Expression by KLF4)

  • 곽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32-1437
    • /
    • 2018
  • 클라라 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클라라 세포 분비 단백질(CCSP)은 폐를 염증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CCSP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는 프로모터 부위에서 repressor에 결합할 수 있는 cis-element를 밝히는데 있다. DNaseI footprinting법을 사용하여 mCCSP 프로모터의 -812에서 -768 bp (45 bp) 사이에서 3 개의 보호된 motif를 찾았고, 그 중 하나인 D3 모티프(GCCTGGGAA)는 다른 3 가지 동물들과 염기서열이 100% 일치하였다. 45 bp를 사용한 EMSA 분석에서 D3 모티프(GGCCTGGGAA)는 45 bp에 높은 경쟁을 보였으나, 변이된 D3 모티프가 ($G{\underline{AA}}TG{\underline{TT}}AA$)를 사용되었을 때, 경쟁은 상당히 감소되었다. 이는 mCCSP 프로모터의 45 bp의 D3 모티프가 단백질과 DNA 상호 작용을 위한 중요한 element임을 시사한다. -756-Luc과 -812-Luc을 이용한 transient transfection 분석 결과, -756-Luc은 -812-Luc보다 CCSP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이는 mCCSP 프로모터의 45 bp부위가 repressor의 결합 부위로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812-Luc에 KLF4를 co-transfection 한 결과, KLF4는 CCSP 발현을 현저하게 저해(repression)함을 밝혔다. 그러나 -768-Luc이 사용되었을 때 KLF4에 의한 repression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것은 KLF4가 CCSP 유전자의45 bp에 결합할 수 있고, 전사 억제자 역할을 하여 mCCSP 발현을 억제 할 수 있음을 명확히 보여 준다. 또한 이는 45 bp 중, D3 모티프가 KLF4의 결합에 강하게 관여 함을 시사한다. 이 반응에 KLF4에 대한 항체가 첨가되었을 때는 super-shifted 밴드가 관찰되었으나, SP1에 대한 항체가 사용되었을 때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KLF4가 CCSP 프로모터의 45 bp 영역에 결합하여 repressor기능 할 수 있고, D3 모티프가 KLF4의 특이적 결합에 관여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insenoside Rg4 Enhances the Inductive Effects of Human Dermal Papilla Spheres on Hair Growth Via the AKT/GSK-3β/β-Catenin Signaling Pathway

  • Lee, Yun Hee;Choi, Hui-Ji;Kim, Ji Yea;Kim, Ji-Eun;Lee, Jee-Hyun;Cho, So-Hyun;Yun, Mi-Young;An, Sungkwan;Song, Gyu Yong;Bae, Seung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7호
    • /
    • pp.933-941
    • /
    • 2021
  • Ginsenoside Rg4 is a rare ginsenoside that is naturally found in ginseng, and exhibits a wide range of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in several cell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an in vivo model of hair follicle (HF)-mimic based on a human dermal papilla (DP) spheroid system prepared by three-dimensional (3D) cultur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g4 on the hair-inductive properties of DP cells. Treatment of the DP spheroids with Rg4 (20 to 50 ㎍/ml)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and size of the DP spheres in a dose-dependent manner. Rg4 also increased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DP signature genes that are related to hair growth including ALP, BMP2, and VCAN in the DP spheres. Analysis of the signaling molecules and luciferase reporter assays further revealed that Rg4 induces the activa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PI3K)/AKT and the inhibitory phosphorylation of GSK3β, which activates the WNT/β-catenin signaling pathway. These results correlated with not only the increased nuclear translocation of β-catenin following the treatment of the DP spheres with Rg4 but also the significant elevation of mRNA expression of the downstream target genes of the WNT/β-catenin pathway including WNT5A, β-catenin, and LEF1.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 Rg4 promotes the hair-inductive properties of DP cells by activating the AKT/GSK3β/β-catenin signaling pathway in DP spheres, suggesting that Rg4 could be a potential natural therapy for hair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