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monthly data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초

울릉도해역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물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es collected by tramme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Ulleungdo of Korea)

  • 정상덕;차형기;이재봉;이해원;양재형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1권4호
    • /
    • pp.567-575
    • /
    • 2015
  • Species composition in the coastal waters off Ulleungdo of Korea were examined based on catches bimonthly collected by trammel net in 2013. A total of 711 individuals and 181.9 Kg were caught and catches were composed of 4 classes 15 orders 27 families 52 species including 44 Pisces, 4 Gastropoda, 3 Cephalopoda, and 1 Echinodermata. The dominant species in biomass were File fish (Thamnaconus modestus), Atka mackerel (Pleurogrammus azonus), and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Data were summarized using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HCA) and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to examine similarity in species composition for each month, and community structure in Ulleungdo was divided into two groups. Community structures in February, April and December with low temperature and well-mixed surface water were distinguished from those in June, August and October with high temperature and strong stratification, which could be attributed to temporal changes in dominant species. Atka mackerel and Spear squid mainly caught in February and April, disappearing in June, August and October, and File fish outburst was shown in October. Because the water off Ulleungdo has been under low human pressure, it could be a good case study to elucidat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community structure and ecosystem in the East sea. Continuous surveys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monstrate migration route and distribution of dominant species and long-term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in the water of Ulleungdo.

한국 동해안 외해 표층 200m 수온의 장기변동 (Long-Term Fluctuations of Water Temperatures in the Upper 200m off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강용균;강혜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0-458
    • /
    • 1991
  • 국립수산진흥원의 격월별 17년간(1967-1983) 37개 정점의 해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동해안 외해 표층 200m 해수의 열적 구조와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을 구명하였다. 표층(0-200m)과 아표층(100-200m)의 수온 변동을 분석하여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층에서의 수온 변동은 주로 1년 주기의 계절적 변동이 대부분이지만, 아표층의 수온 변동에서는 비계절적인 변동이 우세하다. 하지만, 계절적인 예년변동치를 제거한 수온 이상변동의 경우, 표층과 아표층의 수온 이상변동은 시간적으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분포도 유사성이 크다. 아표층의 수온 변동은 1년 주기 이외에 14개월과 70개월의 탁월주기를 가진다. 아표층에서 나타나는 14개월 주기의 수온 변동은 극조(pole tide, Chandler wobble)의 주기와 일치한다. 아표층 해역 수온 변동에 대한 군집해석에 의하면, 이 해역은 한류역, 천이역 및 난류역으로 구분된다.

  • PDF

서울지역 대학병원의 방사선과 카세트 소독에 관한 연구 (A Survey of the Radiographic Cassettes Disinfection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 권대철;김문선;김동성;박범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4권2호
    • /
    • pp.65-70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nosocomial infection in patients through contact of radiographic cassettes. Data were collected from radiographers working in 29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in February and March 2001. Radiographic cassettes were disinfected daily in 5 hospitals, weekly in 4 hospitals, monthly in 5 hospitals, bimonthly in 1 hospital and once every three months in another hospital. 12 other hospitals do not practice regular disinfections of radiographic cassettes. Gauze soaked in disinfectant solution is used in 7 hospitals while 11 hospitals used cotton and cloth soaked in disinfectant solution to clean the radiographic cassettes. 26 hospitals used 99% alcohol based disinfectant solutions while 3 hospitals used 75% alcohol based disinfectant. 26 hospitals use of intercourse cassettes outpatients and in patients. In 26 hospitals, all patients shared the same set of radiographic cassettes used in the hospitals, or in 26 hospitals, separate sets of radiographic cassettes are used for outpatients and inpatients. Separate sets of cassettes are used for ICU and inpatients in 6 others hospitals. 23 hospitals used the same sets of radiographic cassettes for all their patients. radiographic cassettes are cleaned in wash area in the study room of the radiographic department in 17 hospitals. 12 other hospitals do not have designated cleaning areas for the cassettes. All radiographers practiced hands washing with soap. All 29 hospitals surveyed have infection control committee. However, only 9 out of the 29 hospitals surveyed provided Infection disinfections control education to radiographers. Only 3 hospitals have radiographers sitting in the infection control committee. Infection management education is conducted in 63 hospitals annually, twice a year in 1 hospital and once every 3 months in 2 hospitals.

  • PDF

LDA 기반 은닉 토픽 추론을 이용한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Automatic TV Program Recommendation using LDA based Latent Topic Inference)

  • 김은희;표신지;김문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70-283
    • /
    • 2012
  • 다채널 TV, IPTV 및 Smart TV 서비스의 등장으로 인해 수많은 방송 채널과 방대한 TV 프로그램 콘텐츠가 시청자 단말로 제공됨으로써 시청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쉽게 찾고 소비하는 것이 어려운 TV 시청 환경을 맞게 되었다. 따라서 TV 사용자들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콘텐츠를 자동 추천해 줌으로써 원하는 콘텐츠로의 접근성을 증대시키는 것은 미래의 지능형 TV 서비스에 있어서 주요한 이슈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선호 취향과 대중의 선호취향을 모두 고려한 협업필터링 개념의 통계적 기계학습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시청한 TV 콘텐츠에 대한 선호 토픽을 사용자의 시청 선호도로 보고, 최근 널리 활용되고 있는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모델을 TV 프로그램 추천 모델에 적용하였다. LDA 기반 TV 프로그램 추천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TV시청 이용내역 데이터를 기반으로,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을 은닉 변수로 하고, TV 사용자들의 관심 토픽에 대한 다양성을 반영하기 위해 은닉 변수의 확률분포 특성을 비대칭 디리클레(Dirichlet) 분포로 모형화하여 실험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LDA 기반 TV 프로그램 자동 추천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유사 시청 특성을 갖는 사용자 그룹에 대해 상위 5개의 TV 프로그램을 일주일 단위로 추천하였을 경우 평균 66.5%, 2개월 단위의 추천에 대해서는 평균 77.9%의 precision 추천 성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경과 관찰에 의한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에서 장기간의 약물치료가 성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about Long-Term Effect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Medication on Height and Weight in the Korean School-Aged Boy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Based on Observation of Natural Course)

  • 염찬우;은태경;박훈섭;이규영;김의중;주은정;구영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5권2호
    • /
    • pp.89-94
    • /
    • 2014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naturalistically in order to observe the long-term effects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dications on growth rates among Korean school-aged boys with ADHD. Methods :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boys with ADHD aged 6 to 11 years who have taken ADHD medication, methylphenidate (extended release) or atomoxetine. They attended scheduled visits monthly or bimonthly for clinical assessment with measurement of height and weight. In this study, 35 boys with ADHD (mean age at baseline=$7.90{\pm}1.77$ years ; mean age at endpoint= $12.54{\pm}1.91$ years) were included, with a mean follow-up period of 4.64 years (${\pm}1.62$ years), ranging from 2 to 9.7 years. Height, weight, and body mass index (BMI) measurements were converted to "age-corrected Z-scores" using data from Growth Charts provided by the Korean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2007. Results : Age-corrected endpoint growth parameters (height, weight, BMI Z-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baseline values (height t=0.027 ; weight t=-0.61 ; BMI t=-1.86, in paired t-test). Especially high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baseline and endpoint height Z-scores (r=0.876, p<.001), for whic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0.767, meaning that the amount of variability in endpoint height Z-scores explained by the baseline height Z-scores was 76.7%.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long-term effects of ADHD medications on growth parameters to be tolerable in Korean school-aged boys with ADHD.

제주연안 육상양식장 밀집지역 주변해역의 영양염 과잉 요인 (Coastal Eutrophication caused by Effluent from Aquaculture Ponds in Jeju)

  • 고혁준;박성은;차형기;장대수;구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15-326
    • /
    • 2013
  • 제주연안선 부근에 밀집된 육상양식장 배출구 주변 4개 해역(애월리, 행원리, 표선리, 일과리)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2010년 2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격월로 총 12회 조사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조사해역에서 연중 영양염의 분포는 염분과의 관련성 없이 배출구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에 의해 영양염의 농도가 조절되어, 연안에서 외해역으로 갈수록 농도구배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특히 용존무기질소의 경우는 배출구와 인접한 해역에서는 부영양상태로 인에 비해 질소가 과잉되고 있었다. 유기물의 분포는 담수유입량이 증가하는 고수온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 변화는 애월 및 행원해역은 담수유입과 관련된 기상요인(기온 및 강우), 표선 및 일과는 영양염의 인위적 공급요인(양식장 배출수)에 의한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출구로부터 직선거리 약 300 m 및 수심 10 m이내 해역의 표 저층에서는 고영양염 농도 분포가 지속되고 있어, 부영양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직 간접적으로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냈다. 육상양식장의 운영 시 취수지점이 배출수의 영향을 받는 지점에 위치할 경우 사육수질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인천 송도지역 척전 갯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 생태학 2. 우점종의 시ㆍ공간적인 분포양상 (The Community Ecology of Benthic Macrofauna on the Cheokjeon Tidal Flat, Incheon, Korea 2.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9권3호
    • /
    • pp.93-105
    • /
    • 2004
  • 인천 동춘동 척전 갯벌에 서식하는 대형 저서동물의 중요 우점종에 대한 시ㆍ공간적인 분포 패턴을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 9월부터 1992년 7월까지 2개년 동안 격월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 중, 총 111종, 25,491 개체가 채집되었고, Le Bris Index에 근거한 상위 15위의 우점종은 19,072개체의 밀도를 나타내 74.8%를 점유하였다. 백금갯지렁이과(Nephtyidae)의 다모류 3종과 칠게아과(Macrophthalminae)의 갑각류 2종은 동일한 속(genus)이 면서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뚜렷이 구분되는 서식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척전 갯벌의 중요 우점종은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 이매패류의 동죽(Mactra veneriformis), 맛조개(Solen strictus), 극피동물 해삼류의 가시닻해 삼(protankyra bidentata), 갑각류의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등이었다. 5종의 중요 우점종에 대하여 공간에 따른 개체밀도를 비교한 결과, H. filiformis와 동죽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맛조개, 칠게와 가시닻해삼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이것은 중요 우점종이 조위와 퇴적상에 따라 출현 개체밀도에서 공간적인 차이가 있음을 의미한다. H. flzyomis와 동죽은 조위와 퇴적상에 무관하게 갯벌의 전역에서 높은 밀도로 출현하였다. 그러나, 칠게는 펄이 많은 상부에서 밀도가 높았고, 맛조개, 가시닻해삼은 갯벌의 중ㆍ하부인 모래펄에서 우세한 밀도로 출현하여 이를 반영하고 있다.

황해 남동해역 투명도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Transparency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 최용규;권정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3-329
    • /
    • 1998
  • 황해 남동해역 투명도의 계절변화를 보기 위하여, 25개년 ($1966\~1990$)간의 해양조사 연보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서해의 격월별, 정점별 자료를 정리하였다. 투명도의 분포는 계절에 관계없이 등수심선과 유사하게 뚜렷한 동서 대비를 보이고 있었다. 수심이 얕은 연안역에서는 3m(2월)$\~$8m (8월)로 낮고, 수심이 깊은 외양역에서는 10m (2월)$\~$17m (8월)로 높다. 겨울철 ($12\~2$월)은 투명도가 $\4m~10m$의 범위로, 여름철 ($6\~8$월)의 $6m\~17m$ 보다 낮다. 또한 부유 물질의 농도를 보면, 2월에는 $20\~120mg/\ell$이고 8월에는 $8\~20mg/\ell$의 범위였다. 성층과 투명도와의 관련성을 보면, TR(투명도)=0.61 DT(성층)+6.90, r=0.85로 양의 상관을 보이고, 정선 309에서 겨울의 보퍼트 풍력 계급은 약 3.5 내외로 여름보다도 약 1계급 이상 높은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황해 남동해역에서의 투명도의 계절 변화는 겨울의 경우, 해수면 냉각과 바람에 의한 상하층 연직 혼합으로 저층 퇴적물의 재부유가 활발하여 투명도가 낮게 나타난다. 그리고 여름에는 해수면 가열에 의해서. 상하층 사이에 형성되는 수온 혹은 밀도 약층과 조석 혼합을 방해하는 태양 복사열의 증가로 인하여 저층 퇴적물의 재부유가 방해되어. 투명도가 높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Euphausiids of the Yellow Sea and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Factors

  • Yoon, Won-Duk;Yang, Joon-Yong;Lim, Dong-Hyun;Cho, Sung-Hwan;Park, Gyung-S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1권1호
    • /
    • pp.11-29
    • /
    • 2006
  • We investigated species composi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the euphausiid community in the Yellow Sea and identified the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temperature, salinity, chlorophyll $\alpha$, nitrate, phosphate, and silicate) using bimonthly data from June, 1997 to April, 1998. The environment varied during the sampling period. In warm seasons, thermocline was well developed rendering lower temperature and higher salinity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bottom layer. During cold seasons the water column was well mixed and no such vertical stratification was noted. Horizontal distribution of temperature, however, differed slightly between near-coast and offshore areas because of the shallow depth of the Yellow Sea, and between southern and northern areas because of the intrusion of water masses such as Yellow Sea Warm Current and Changjiang River Diluted Water. Four euphausiid species were identified: Euphausia pacifica, E. sanzoi, Pseudeuphausia sp. and Stylocheron affine. E. sanzoi and S. affine were collected, just one juvenile each, from the southern area in June and December, respectively. Pseudeuphausia sp. were collected in the eastern area all the year round except June. E. pacifica occurred at the whole study area and were the predominant species, representing at least 97.6% of the euphausiid abundance. Furth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the species was varied in regards to developmental stages (adult, furcilia, calyptopis, egg). From spring to fall, E. pacifica adults were abundant in the central area where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prevailed. Furcilia and calyptopis extended their distribution into nearly all the study area during the same period. From late fall to winter, adults were found at the near-coastal are a with similar pattern for furcilia and calyptopis. The distribution pattern of E. pacifica was consistent regarding temperature, salinity, and three nutrients during the sampling period, whereas chlorophyll $\alpha$ showed a different patter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s. The nutrients should indirectly affect via chlorophyll $\alpha$ and phytoplankton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these results, we presented a scenario about how the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the water current affect the distribution of E. pacifica in the Yellow Sea.

동해안 석호의 육수학적 조사(1): 청초호 (The Limnological Survey of Lagoons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1): Lake Chungcho)

  • 이상균;권상용;김동진;김범철;허우명
    • 생태와환경
    • /
    • 제34권3호통권95호
    • /
    • pp.206-214
    • /
    • 2001
  • 1998년부터 2000년까지 겨울 결빙기를 제외한 청초호의 수질 및 영양상태의 판정결과 부영양화가 심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투명도는 0.4${\sim}$1.3 m로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으며, COD농포는 전 조사지점에서 $3.0{\pm}1.0\;mgO_2/L$이었다. 염분은 $29.3{\pm}5.5\;ppt$로 매우 높았으며, 수심 약 0.5${\sim}$l.5 m에서 염분에 의한 화학성층(chemocline)이 형성되어 심층에 산소공급이 제한되었다. 또한 표층보다 심층수의 수온이 높은 수온역전현상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표층수의 총인은 0.048${\sim}$0.253 mgP/L, 총질소는 0.9${\sim}$2.4 mgN/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청초호에서의 TN/TP 비는 대체적으로 20 이하로 질소가 수중 생물의 성장과 생성에 제한 요소로 작용할수도 있음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과 질소의 농도가 높게 유지되어 총질소와 총인의 비로서 제한 요소를 파악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입수가 유입되는 정점 1보다는 해수의 영향이 많은 연안으로 갈수록 점차 TN/TP비가 감소하여 해수의 영향이 클수록 인함량에 대한 질소함량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조사기간 식물플랑크톤의 경우는 연중 녹조류인 Microspora sp.가 우점하였으며, 식물플랑크톤에의한 Chl. a값은 매년 감소하는 반면 부유물질의 농도는 점차 증가하여 무기현탁물의 부유물질에 대한 기여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청초호의 엽록소 a농도는 각 정점 평균 $14.0{\pm}25.0\;mg/m^3$으로 나타나 U.S.EPA 기준으로 볼 때 부영양호로 분류되며, 여름 성장기엽록소 a, 투명도,및 총인의 평균치를 이용한 부영양화도지수 (TSI)도 평균 59${\sim}$77로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