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g data privacy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초

Big Data Key Challenges

  • Alotaibi, Sult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4호
    • /
    • pp.340-350
    • /
    • 2022
  • The big data term refers to the great volume of data and complicated data structure with difficulties in collecting, storing, processing, and analyzing these data. Big data analytics refers to the operation of disclosing hidden patterns through big data. This information and data set cloud to be useful and provide advanced services. However, analyzing and processing this information could cause revealing and disclosing some sensitive and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information is contained in applications that are correlated to users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s, but concerns are diminished if the applications are correlated to general information such as scientific results. In this work, a survey has been done over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and approaches in big data. The challenges included here are in each of the following areas: privacy, access control, encryption, and authentication in big data. Likewise, the approaches presented here are privacy-preserving approaches in big data, access control approaches in big data, encryption approaches in big data, and authentication approaches in big data.

Big Data Security and Privacy: A Taxonomy with Some HPC and Blockchain Perspectives

  • Alsulbi, Khalil;Khemakhem, Maher;Basuhail, Abdullah;Eassa, Fathy;Jambi, Kamal Mansur;Almarhabi, Khali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7호
    • /
    • pp.43-55
    • /
    • 2021
  • The amount of Big Data generated from multiple sourc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raditional storage methods lack the capacity for such massive amounts of data. Consequently, most organizations have shifted to the use of cloud storage as an alternative option to store Big Data. Despite the significant developments in cloud storage, it still faces many challenges, such as privacy and security concerns. This paper discusses Big Data, its challenges, and different classifications of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Furthermore, it proposes a new classification of Big Data security and privacy challenges and offers some perspectives to provide solutions to these challenges.

하둡 분산 환경 기반 프라이버시 보호 빅 데이터 배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Privacy-Preserving Big Data Publishing System in Hadoop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 김대호;김종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1785-1792
    • /
    • 2017
  • Generally, big data contains sensitiv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and thus directly releasing it for public use may violate existing privacy requirements. Therefore, 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PPDP)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to share big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for public use, while protecting the privacy of individuals with minimal data modification. Recently, with increasing demand for big data sharing in various area, there is also a grow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software which supports a 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Thus, in this paper, we develops the system which aims to effectively and efficiently support 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In particular,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enables data owners to select the appropriate anonymization level by providing them the information loss matrix. Furthermore, the developed system is able to achieve a high performance in data anonymization by using distributed Hadoop clusters.

빅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사회적 가치의 조화방안 (Big data, how to balance privacy and social values)

  • 황주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143-153
    • /
    • 2013
  • 빅데이터는 막대한 경제적 기회뿐만 아니라 공적 가치를 낳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공공기관은 물론 민간기업의 빅데이터 사용은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다. 행위패턴의 프라이버시 등 기존에는 없었던 새로운 위험을 유발함으로써 빅데이터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기존 논의의 틀을 와해시킬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반면, 빅데이터는 쿠키 등 행위추적에 근거한 개인정보의 부작용을 불식시키는 대안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빅데이터가 행위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개인정보와는 어떻게 다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둔다. 나아가, 개인정보로부터 파행되는 기존의 프라이버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빅데이터에 대한 정책이 어떠한 대안을 가질 수 있는지도 제시할 것이다.

개인정보보호법에 기반한 빅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Big Data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김병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87-92
    • /
    • 2014
  • 최근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처리 기술이 진화함에 따라 사회문제 진단 및 현안 해결 도구로써 빅데이터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다. 동시에 빅데이터의 위험요소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기도 하다. 빅데이터의 적극적인 활용과 프라이버시 문제는 서로 상충되는 관례로써 본 논문에서는 이와 관련한 당면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해외 선진국의 사례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에 기반한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Efficient K-Anonymization Implementation with Apache Spark

  • Kim, Tae-Su;Kim, Jong W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7-24
    • /
    • 2018
  • Today, we are living in the era of data and information. With the advent of Internet of Things (IoT), the popularity of social networking sites, and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 large amount of data is being produced in diverse areas. The collection of such data generated in various area is called big data. As the importance of big data grows, there has been a growing need to share big data containing information regarding an individual entity. As big data contains sensitiv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directly releasing it for public use may violate existing privacy requirements. Thus, privacy-preserving data publishing (PPDP) has been actively studied to share big data containing personal information for public use, while preserving the privacy of the individual. K-anonymity, which is the most popular method in the area of PPDP, transforms each record in a table such that at least k records have the same values for the given quasi-identifier attributes, and thus each record is indistinguishable from other records in the same class. As the size of big data continuously getting large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method which can efficiently anonymize vast amount of dta. Thus, in this paper, we develop an efficient k-anonymity method by using Spark distributed framework.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rough the developed method, significant gains in processing time can be achieved.

빅데이터 분석/처리에 따른 생활밀착형 서비스의 프라이버시 보호 측면에서의 구조혈 연구 (A Study on Structural Holes of Privacy Protection for Life Logging Service as analyzing/processing of Big-Data)

  • 강장묵;송유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9-193
    • /
    • 2014
  • 네트워크 서비스는 로컬서비스와 결합하면서 생활밀착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생활밀착형 서비스는 기존의 모바일 서비스와는 달리, 위치정보와 로컬정보 그리고 소셜 네트워크서비스 정보 등을 모아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여러 정보를 모아 처리하는 과정에서 빅데이터 기술, 클라우드 기술 등이 필요하다. 이미 이에 대한 효율성 높은 알고리즘이 연구되고 있으나 반면, 생활 밀착형 서비스 모델 또는 빅데이터 환경에서의 프라이버시 보호 모델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다. 이 글은 생활밀착형 서비스에 활용될 빅데이터 기술이 야기하는 프라이버시 문제에 대하여 구조혈 중심으로 다룬다.

빅데이터 시대의 개인정보 과잉이 사용자 저항에 미치는 영향 (Personal Information Overload and User Resistance in the Big Data Age)

  • 이환수;임동원;조항정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1호
    • /
    • pp.125-139
    • /
    • 2013
  • 최근 주목 받기 시작한 빅데이터 기술은 대량의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 수집, 저장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원하지 않는 민감한 정보까지 분석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기술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어느 정도의 프라이버시 염려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해당 기술의 사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대표적 예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경우, 다양한 이점이 존재하는 서비스이지만, 사용자들은 자신이 올린 수많은 개인 정보로 인해 오히려 프라이버시 침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온라인 상에서 자신이 생성하거나 공개한 정보일 경우에도 이러한 정보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활용되거나 제3자를 의해 악용되면서 프라이버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들이 이러한 환경에서 인지할 수 있는 개인정보의 과잉이 프라이버시 위험과 염려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 사용자 저항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설문과 구조방정식 방법론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는 소셜 네트워크 상의 개인정보 과잉 현상은 사용자들의 프라이버시 위험 인식에 영향을 주어 개인의 프라이버시 염려 수준을 증가 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민감정보 보호 방안 및 대응책: 서베이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countermeasures in Big-data environment: Survey)

  • 홍성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55-59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혁심기술인 빅데이터는 보건, 금융, 유통, 공공부문, 제조업,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확하고 신속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마케팅 분석과 미래 설계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며, 앞으로 더 발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하지만, 빅데이터 활용 시 가장 큰 문제점이 개인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문제이다.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지 못했던 개인의 취향 및 행동을 분석될 수도 있고, 이러한 정보들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이자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활용할 때 발생 가능한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필요 사항들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필요한 개인정보보호 기술을 제안하여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보호에 기여하고자 한다.

활용 주체별 빅데이터 수용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활용 목적, 조직 규모, 업종 특성을 중심으로 (Intention to Use and Group Difference in Adopting Big Data: Towards a Comprehensive View)

  • 이영주;양현철
    • 정보화정책
    • /
    • 제24권1호
    • /
    • pp.79-99
    • /
    • 2017
  • 빅데이터 관련 기술이 점차 성숙해지고 있고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초기 성공사례들이 발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가치 창출에 대한 확신 부족과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여전한 우려로 산업 전반으로의 확산이 더딘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도입 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 별로 긍정적, 부정적 인식이 도입 활성화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탐색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먼저 기술수용모형(TAM)과 업무기술적합성(TTF) 모형, 프라이버시 계산이론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평가요인과 부정적인 평가요인을 통합하여 독립변수를 개발하고 빅데이터 이용의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을 개발하였다. 국내 빅데이터 실사용자 또는 잠재적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 중 빅데이터의 인지된 유용성, 업무기술적합성, 개인정보침해위험이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사용용이성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요인 별로 빅데이터 활용 주체에 따른 집단 간 변수의 평균 차이를 부분적으로 발견할 수 있었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인과관계에서도 일부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통해 향후 빅데이터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이해관계자 별 차별화된 정책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