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fenthrin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5초

합성 Pyrethroid 계 살충제인 Bifenthrin의 토양환경중 동태 제2보. Bifenthrin의 토양중 분해산물의 동정 및 용탈 (Behavior of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 Bifenthrin in Soil Environment II) Identification of Degradation Product and Leaching of Bifenthrin in soil)

  • 김장억;최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5-132
    • /
    • 1992
  • 토양 및 수용액조건에서와 자외선조사시의 bifenthrin의 주 분해대사산물을 확인하고 토양중 에서의 용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토양 및 수용액조건에서와 자외선조사시 bifenthrin의 일차분해산물은 2-methylbiphenyl-3-ylmethanol로 HPLC, UV, Mass 및 NMR로 확인되었으며 bifenthrin의 주 분해경로는 ester결합의 가수분해 작용으로 나타났다. 자외선 조사시 bifenthrin은 첨가농도 10,100ppm에서 24시간만에 거의 분해 소실되었으며 1,000ppm일 때는 약 80%정도 분해되었다. Soil TLC 및 column상에서 bifenthrin은 거의 용탈되지 않고 표토에 존재하였다.

  • PDF

합성 Pyrethroid 계 살충제인 Bifenthrin의 토양환경중 동태 제1보. Bifenthrin 및 Cyhalothrin의 토양 및 수용액중에서의 분해양상 (Behavior of Synthetic Pyrethroid Insecticide Bifenthrin in Soil Environment I) Degradation Pattern of Bifenthrin and Cyhalothrin in Soils and Aqueous Media)

  • 김장억;최태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6-124
    • /
    • 1992
  • 합성 pyrethroid계 살충제의 화학구조중 alcohol부분이 2-methyl biphenyl 그룹이 있는 bifenthrin과 ${\alpha}$-cyanobenzyl ester 그룹이 있는 cyhalothrin의 분해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토양의 환경조건을 호기적, 혐기적 및 살균조건으로 하였을 때와 pH를 변화시킨 수용액중에서 분해양상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Bifenthrin의 호기적 토양조건에서의 분해반감기는 칠곡 및 복현 토양에서 85.1 및 61.2일이었으며 cyhalothrin은 각각 54.6 및 32.2일로서 유기물함량이 많은 복현토양에서 두 약제 모두 분해가 빨랐다. 두 약제 모두 혐기적 조건 및 살균 조건의 토양에서는 매우 느린 분해양상을 보였다 Bifenthrin과 cyhalothrin의 분해는 주로 호기성 미생물이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약제간에는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분해반감기가 30일 정도 빨랐다. 수용액의 pH가 10인 알카리성 조건에서 cyhalothrin이 bifenthrin보다 상당히 빨리 분해되 었으며 pH 2 및 6의 산성조건에서도 두 약제 모두 분해가 지연되었다.

  • PDF

포도의 재배기간 중 살충제 bifenthrin의 생산단계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Establishment of Pre-Harvest Residue Limit (PHRL) of Insecticide Bifenthrin during Cultivation of Grape)

  • 김성우;이은미;;박희원;이혜리;류명주;나예림;노재억;금영수;송혁환;김정한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41-248
    • /
    • 2009
  • 본 연구는 포도 재배 중 살충제 bifenthrin을 살포하고, 살포 후 0, 1, 2, 3, 5, 7, 10, 15일에 포도 시료를 채취하여 bifenthrin을 분석하고 bifenthrin의 생물학적 반감기를 산출한 다음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PHRL; Pre-Harvest Residue Limit)을 설정하였다. 포도 중 bifenthrin은 acetonitrile과 dichloromethane 으로 추출 및 분배 하여 GC/ECD로 분석 하였다. Bifenthrin의 정량한계는 0.01 ng이었고, 평균 회수율은 0.1 및 $0.5\;mg\;kg^{-1}$ 두 수준에서 각각 $104.08{\pm}1.24%$$92.25{\pm}3.13%$이었다. 포도 중 bifenthrin의 기준량 및 배량 살포시 생물학적 반감기는 각각 21일과 23일로 계산되었다. 또한 증체량에 따른 희석효과가 bifenthrin의 잔류량 감소에 있어 주요인자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잔류감소 회귀식을 이용한 생산단계 농약 잔류허용기준은 수확 10일전 $0.60\;mg\;kg^{-1}$, 또는 5일전 $0.55\;mg\;kg^{-1}$으로 제안하였다.

소면적 재배 작물 들깻잎 중 살충제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양상 (Residual Patterns of Insecticides Bifenthrin and Chlorfenapyr in Perilla Leaf as a Minor Crop)

  • 전상오;황정인;김태화;권찬혁;손영욱;김동술;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3-229
    • /
    • 2015
  • 소면적 재배 작물 중 연속수확작물인 높은 들깻잎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양상을 연구하였다. 확립된 분석법을 이용하여 회수율시험을 실시한 결과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회수율은 81.9~104.8% 범위로 만족할만하였다. 들깻잎의 생육 기간 중 bifenthrin과 chlorfenapyr의 잔류량 변화는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해석하였으며 이 식으로부터 산출된 감소상수는 bifenthrin에서 $0.0724-0.0535day^{-1}$, chlorfenapyr에서 $0.0948-0.0821day^{-1}$로 나타났다. 두 농약의 들깻잎 중 반감기는 bifenthrin의 경우 9.6-12.9일이었으며, chlorfenapyr는 7.3-8.4일이었다. 산출된 두 농약의 감소상수를 이용하여 pre-harvest residue limit(PHRL)을 산출한 결과 수확 10일전 들깻잎 중 bifenthrin 및 chlorfenapyr의 잔류량이 각각 17.1 및 15.9 mg/kg일 경우 수확일에는 두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인 7.0 및 10.0 mg/kg 이하로 잔류하여 안전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살충제 저항성 배추좀나방 방제를 위한 Bifenthrin과 Prothiofos 혼용의 연합작용 (Joint Toxic Action of Bifenthrin and Prothiofos Mixture for the Control of Insectivcide-Resistant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

  • 정부근;강수웅;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5-110
    • /
    • 1997
  • Fenvalerate, cypermethrin, furathiocarb 및 prothiofos에 대해 각각 581, 18, 19, 11배의 저항성을 보인 진주계통과 fenvalerate와 furathiocarb에 대해 각각 38배와 9배의 저항성을 나타내고 있는 함양.서상계동을 bifenthrin과 prothiofos의 혼합조합으로 방제하기 위해 실내 엽침지법과 포장방제시험을 수행하였다. Bifenthrin 1EC와 prothiofos 50EC을 1:50으로 혼합하여 실내엽침지법으로 처리하였을 때 공력계수가 273.2로 최고점에 도달한 후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침지법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혼용비율의 조합을 함양.서상현지 농가에서 실증시험을 수행한 결과, 처리구에서 처리약량을 절반으로 줄였음에도 배추좀나방의 방제효과가 농가관행구와 마찬가지로 우수하였다. 또한 이 조합은 여러가지 대표적인 살충제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고 있는 진주지역계통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농약혼합으로 저항성문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딸기에 등록된 살충제의 꿀벌에 대한 급성 및 엽상잔류독성 (Evaluation of Acute and Residual Toxicity of Insecticides Registered on Strawberry against Honeybee (Apis mellifera))

  • 안기수;윤창만;김기현;남상영;오만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85-192
    • /
    • 2013
  • 딸기에 등록된 52종 살충제의 꿀벌 성충에 대한 분무독성검정, 엽상잔류독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분무 급성독성검정은 국제 생물적 방제기구 (IOBC)의 기준에 따라 30% 이하의 독성을 해 없음으로 분류한 결과, 딸기에 등록된 32종(flonicamid, lufenuron, novaluron, acetamiprid 3종, thiacloprid, milbemectin, acequinocyl, TBI-1, chlorfenapyr 2종, chlorfluazuron, cyenopyrafen, cyfumetofen, etoxazole, fenpyroximate, flubendiamide, flufenoxuron, hexythiazox, metaflumizone, methoxyfenozide 2종, DBB-2032, pyridalyl, spiromesifen, tebufenpyrad, teflubenzuron, acetamiprid + methoxyfenozide, acrinathrin + spiromesifen, bifenazate + spiromesifen, Cyenopyrafen + flufenoxuron)이 독성이 낮아 꿀벌에 안전하고, 20종이 독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무독성검정에서 90% 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엽상잔류독성을 검정하였다. 약제처리 1일후에 emamectin benzoate EC, indoxacarb SC를 제외한 모든 약제에서 100%의 사충율을 보였다. Emamectin benzoate는 약제처리 3일, idoxacarb SC는 약제처리 7일, abamectin는 약제처리 14일에 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Indoxacarb WP, thiamethoxam WG, abamectin + chlorantraniliprole SC, acetamiprid + etofenprox WP, acetamiprid + indoxacarb WP,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 bifenazate + pyridaben SC, chlorfenapyr + clothianidin SC는 31일까지 90%이상의 높은 독성을 보여 잔류독성이 매우 긴 것으로 나타났다. 관주처리에서 thiamethoxam WG은 약제처리 28일이 지난 후에 76.9% 독성을 보인 후 31일에 50.0% 독성을 보였고, 그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과 tefluthrin + thiamethoxam GR은 약제처리 24일에 각각 57.1%와 80.0%의 독성을 보였지만 그 이후에는 독성이 없었다. 분무처리에서 thiamethoxam WG와 bifenthrin + clothianidin SC는 약제처리 35일까지 100%의 살충효과를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Thiamethoxam WG, bifenthrin + clothianidin SC, bifenthrin + imidacloprid WP를 약제처리 후 7일간격으로 물을 분무 살포하고 잔류독성을 평가한 결과, thiamethoxam WG는 처리 21일까지는 100%의 잔류독성을 보였으나 28일 이후는 독성이 없었다. Bifenthrin + clothianidin SC와 bifenthrin + imidacloprid WP는 약제처리 49일까지 100%의 사충율을 보여 매우 높은 잔류독성을 보였다.

Sorption Isotherms and KocS Estimation of Pyrethroids in Sediments

  • Lee, Sang-Jin;Shin, Hyun-Moo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11호
    • /
    • pp.1173-1179
    • /
    • 2003
  • Laboratory sorption isotherm batch studies have been attempted to elucidate interaction of synthetic pyrethroids (bifenthrin and permethrin) with sediments and their fractions. As a nonlinear isothermal model, the Freundlich equation was applied to sorption results obtained from sedimen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ynthetic pyrethroids and sediment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organic carbon.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sorption capabilities of bifenthrin and cis- and trans-permethrin was in the order of bifenthrin, cis-permethrin and trans-permethrin,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adsorbed bifenthrin was the most stable followed by cis- and trans-permethrin in all sediments. Their sorption capability was closely related to organic carbon contents in sediments. Higher sorption was observed in sediments containing higher organic carbon contents. Sorption study extended into the fractions, clay and humic acids, extracted from a sediment, indicated that higher sorption capacity in humic acids occurred than in the clay of both examined bifenthrin and permethrin. This study demonstrates the sorption of synthetic pyrethroids with sediments, and will help in the understanding of the transport and fate of synthetic pyrethroids existing in field sediments.

Gas Chromatography Residue Analysis of Bifenthrin in Pears Treated with 2% Wettable Powder

  • Choi, Jeong-Heui;Liu, Xue;Kim, Hee-Kwon;Shim, Jae-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5권1호
    • /
    • pp.41-45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level of bifenthrin residues in pear sprayed with 2% bifenthrin wettable powder (WP) at the recommended rate at four different schedules prior to harvest. The target analyte was extracted with acetone, partitioned into dichloromethane, and then purified by florisil chromatographic column. The residue determination was performed on a DB-5 capillary column using GC with electron capture detector (ECD). Linearity of this method was quite good ($r^2$ = 0.9951) in the concentration ranged from 0.2 mg/kg to 10 mg/kg. Recovery test was carried out at two concentration levels, 0.2 mg/kg and 1.0 mg/kg, in three replicates, and their rates were from 82.9% to 107.2%. No quantitative bifenthrin was detected in pear of all kinds of treatments including the treatment sprayed 4 times until 7 days before harvest. This sensitive and selective method can be used to monitor the trace residual amounts of bifenthrin in pear in a quite low concentration level.

배추김치의 제조 및 발효과정 중 Bifenthrin과 Metalaxyl 농약의 제거 효과 (Removal Effects of Bifenthrin and Metalaxyl Pesticides during Preparation and Fermentation of Baechu Kimchi)

  • 정지강;박소연;김소희;강정미;양지영;강순아;전혜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58-1264
    • /
    • 2009
  • 김치의 주재료인 배추의 재배 시에 주로 사용되는 농약인 Bifenthrin과 Metalaxyl을 배추에 인위적으로 처리한 후, 배추김치를 제조, 발효하는 과정 중에 그 잔류량이 어떻게 제거되는지 살펴보았다. 농약처리 직후 초기 잔류량은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3.02$\pm$0.09 ppm과 6.79$\pm$0.17 ppm이었으며, 세척을 3회 실시한 후 농약의 잔류량은 초기 잔류량 대비 Bifenthrin 21.7$\pm$2.6%(2.37$\pm$0.40 ppm 잔존), Metalaxyl 16.1$\pm$4.9%(5.69$\pm$0.28 ppm 잔존)가 제거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절임의 과정을 거친 후에는 초기잔류량 대비 Bifenthrin 98.7$\pm$1.2%, Metalaxyl 60.8$\pm$0.5%의 농약이 제거되었고, 절임 후 세척 3회의 과정을 거쳤을 때에는 상당량의 농약이 제거되어 그 제거율이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99.7$\pm$1.2%(0.01$\pm$0.05 ppm 잔존), 73.4$\pm$ 3.8%(1.47$\pm$0.28 ppm 잔존)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약이 잔류하고 있는 배추로 김치를 제조한 후 숙성과정중의 농약의 잔류량 변화를 살펴본 결과 $4^{\circ}C$에서 3주간 숙성 후 농약의 제거율은 대조군 대비 Bifenthrin과 Metalaxyl에서 각각 57.8$\pm$10.7%(0.35$\pm$0.04 ppm 잔존)와 81.0$\pm$2.1%(0.48$\pm$0.06 ppm 잔존)였으며, 김치 제조 전 세척 횟수가 많아질수록 숙성 중에도 농약의 제거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조한 김치를 각각 $4^{\circ}C$$10^{\circ}C$에 저장, 숙성시키면서 온도에 따른 제거효율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4^{\circ}C$에서 3주간 숙성시킨 경우에는 Bifenthrin과 Metalaxyl 각각 대조군 대비 57.8$\pm$10.7%, 81.0$\pm$2.1%의 제거율을 나타냈고, $10^{\circ}C$에서는 Bifenthrin과 Metalaxyl 모두 더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농약의 제거효율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배추에 처리된 농약은 김치제조 및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초기 잔류량대비 최대 95.14$\pm$0.32%까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양이 MRL 이하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fenthrin과 Imidacloprid의 호박 중 관류특성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fenthrin and Imidacloprid in Squash)

  • 이은영;노현호;박영순;강경원;이광헌;이재운;박효경;윤상순;진충우;한상국;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9-86
    • /
    • 2009
  • 현재 우리나라 호박에 등록되어 사용하고 있는 살균제인 bifenthrin과 imidacloprid를 시설재배지에 살포한 후 생물학적 소실곡선식을 이용하여 수확 전 약제살포 후 경과일수별 잔류량을 예측하였다. 두 시험 농약의 검출한계는 $0.005\;mg;kg^{-1}$이었고, 분석법의 회수율은 bifenthrin와 imidacloprid에서 각각 100.87-104.31%, 79.71-92.54%이었다. 시험농약의 반감기는 기준량 처리구에서 bifenthrin과 imidacloprid에서 각각 1.8일, 1.5일 이었고, 배랑 처리구에서는 각각 2.9일, 2.5일 이었다. 시험농약의 약제 살포직후 농도는 잔류허용기준 미만이었으며, 수확예정일의 잔류량으로 산출한 시험농약의 ADI 대비 EDI의 비율은 기준량과 배량 처리구에서 모두 0.6%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