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cycle traffic accident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4초

자전거 교통 사고 현황 및 예측 분석 (Analysis and Prediction of Bicycle Traffic Accidents in Korea)

  • 최승희;이구연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9호
    • /
    • pp.89-96
    • /
    • 2016
  • 국내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 정책에 따라 자전거 노선 및 자전거 교통 인프라가 계속 확장되는 추세이다. 자전거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해마다 자전거 교통사고도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도로교통공단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전거 교통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교통사고 현황에 대한 통계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상청의 종관기상관측소 서울지점의 기상 정보를 활용하여 서울지역의 일별 교통사고 발생 건수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의사결정 트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교통사고 정보의 교통사고 심각도를 분류 예측하였다. 이러한 기술 분석 및 예측 분석을 통해 향후 자전거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자전거 교통사고 데이터 수집 정책 및 사고 예방 대책 수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서울시 자전거 교통사고와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근린환경 요인 분석 (Analysis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al Severity in Seoul, Korea)

  • 황선근;이수기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49-6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al severity in Seoul, Korea. The use of bicycles has increased rapidly as daily transportation means in recent years. As a result, bicycle accidents are also steadily increasing. Using Traffic Accident Analysis System (TAAS) data from 2015 to 2017, this study uses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neighborhoo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icycle accidents are more likely to occur in commercial and mixed land use areas where pedestrians, bicycle and vehicles are moving together. Second, bicycle accident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road structures such as four-way intersection. In contrast, three-way intersec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rious bicycle accidents. The density of speed hump or street tre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This finding indicates the effect of speed limit or street trees on bicycle safety. Fourth, bicycle infrastructures are also important factors affecting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Bicycle-exclusive roads or bicycle-pedestrian mixed road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bicycle accidents and accidential sever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bicycle safety.

자전거 사고예측모형 개발 및 개선방안 제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icycle Accident Prediction Model and Suggestion of Countermeasures on Bicycle Accidents)

  • 권성대;김윤미;김재곤;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5호
    • /
    • pp.1135-1146
    • /
    • 2015
  • 본 논문은 무동력 비탄소 교통수단 중 하나인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교통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자전거도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자전거 교통사고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그에 대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자전거도로의 현황 및 사고 자료를 제시하고 최근 3년(2009년~2011년)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자전거교통사고를 수집하여 자료를 토대로 자전거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한다. 둘째, 전라남도 자전거 사고 자료를 사고 특성 분석을 통해 자전거 사고건수에 영향을 주는 변수를 선정하고, 'SPSS Statistics 21'의 중회귀분석을 이용해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때 자전거사고건수는 도로형태(교차로, 횡단보도, 기타단일로)별 연장에 따른 사고건수를 사용하였다. 도출된 사고예측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도 광주광역시에서 발생한 자전거 사고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예측값과 실제 사고건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부 자료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실제사고건수와 일치하는 것을 통해 사고예측모형의 신뢰성이 확보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전거도로 문제점 분석을 위해 자전거도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자전거도로 계획 및 재정비 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되며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교통수단으로서의 자전거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M (Personal Mobility) 교통사고 특성 및 사망사고 발생 요인 분석 (Analysis of PM (Personal Mobility) Traffic Accident Caracteristics and Cause of Death)

  • 한상연;이철기;윤일수;윤여일;나재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00-118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최근 3년간 발생한 PM 사고 1,603건과 자전거 사고 14,672건을 수집하여 PM의 교통사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특히, PM 교통사고는 특성을 상세 분석하기 위하여 제1 당사자와 제2 당사자로 구분하여 도로 등급별, 도로 유형별, 기상 상태별, 사고 유형별, 주야간 발생, 차종별 현황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PM 사고는 2019년에 전년 대비사고 발생은 129%, 사망자는 200% 이상 증가하였으며, PM 교통사고 중 보행자와 사고 비율이 자전거 사고에 비해 높게 나타나 PM의 통행 방법에 관한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PM 사망사고 20건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분석하여 교통사고 요인을 명확히 분석하였다. PM 사망사고는 차량 단독사고가 50%이며, 단독사고 10건 중 7건이 야간에 발생하였다. 이는 PM의 경우 도로의 파임 또는 과속방지턱 등 장애물로 인하여 전도 또는 전복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부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icycle Accident Patterns at Urban Intersections)

  • 김도훈;조한선;김응철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7-125
    • /
    • 2008
  • 최근 녹색교통수단으로서 자전거의 이용자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차대 자전거사고 감소와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성 향상에 대한 노력은 미비한 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적의 교차로 설계지침 제공 및 자전거 사고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면밀히 분석하여 교차로에서의 자전거사고 안전성 향상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 인천광역시 사지교차로에서 발생한 56건의 자전거사고 자료에 대한 분석과 사고발생 교차로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3가지 경우에 대한 자전거 사고유형 분석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분석결과, 사망사고 유무, 부도로 교통섬 유무, 도로위계, 사고당시 날씨, 주도로 버스정류장 유무, 주도로 차로폭, 인적유발요인이 자전거 사고 유형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 PDF

자전거 신호등의 신호변환시간 산출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Minimum Requirements Time of Bicycle Signal Clearance Interval)

  • 주두환;여운웅;현철승;박부희;이철기;하동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9-66
    • /
    • 2010
  • 최근 서울시를 비롯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면서 자전거 이용자가 급증하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보행자와 자전거, 자동차와 자전거간의 상충이 빈번한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자동차/자전거/보행자를 시 공간적으로 분리해주는 자전거 전용신호이 도입되었다. 그러나 자전거의 경우, 자동차와 속도 등의 특성이 상이하므로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별도의 신호변환시간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ASHTO에서 제시한 자전거 신호등의 신호변환시간 산출공식을 이용하여 자전거의 평균속도 및 감속도 등을 현장실험을 통해 별도로 도출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자전거 신호등의 신호변환시간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AASHTO에서 제시한 감속도값 2.0m/sec2이상의 값은 자전거 이용자의 급정지에 해당하는 값에 해당하므로 도로여건 등을 고려하여 가급적 적용하지 않는 편이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심 지역에 위치한 일개병원의 고 연령 교통사고 환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f Old-aged Patients in Traffic Accidents and Admitted For Emergency Treatment)

  • 이영환;송형곤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19권1호
    • /
    • pp.74-80
    • /
    • 2006
  • Purpose: For prevention and suitable administration, the effect of age on the severity of injuries in traffic accid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a patient, but there have not been enough epidemiological studies that evaluate the age factor in traffic accidents. For that reason, we investigated old-aged patients who were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65 years old or more) and who were admitted to the emergency department of a college hospital in an urban city of Korea.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traffic-accident patients who came to the emergency room of a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from Jan.1, 2004 to Dec.31, 2005. We compared their abilities to ambulate and the RTSs (Revised trauma scores) by using a LSD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linear regression. Results: A total of 1460 patients were included. The mean RTS of all traffic-accident patients was $7.77{\pm}0.280$. The scores for drivers and passengers, motor-cycle drivers and passengers, bicycle drivers and passengers, and pedestrians were $7.79{\pm}0.21$, $7.78{\pm}0.22$, $7.54{\pm}0.25$, $7.77{\pm}0.20$, and $7.80{\pm}0.21$ respectively (p=0.00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TS of patients over 65 years and that of other patients. In a regression analysis, the number of patients over 45 ages who were able to ambulate was lower than that of younger people, independently of other influencing factors (B=-0.330, R-square = 0.243, p=0.000). Conclusion: We expected that RTS of old age group more than 65 years old will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other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토지이용별 로터리 및 회전교차로 사고율 모형개발 및 논의 (Modeling and Discussing the Accident Rate Model of Rotary and Roundabout by Type of Land Use)

  • 이민영;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35-141
    • /
    • 2018
  • Rotary that causes traffic delays and safety issues by high-speed entry vehicles is currently being improved to roundabout. The operational difference between rotary and roundabout can cause driver's confusion and traffic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accident rate models which explain the factors related to the accidents by land use and intersection typ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type of land use and two intersections do not affect the accident rate are rejected. Second, the conflicting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crosswalk and bicycle lane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reduce traffic accident at rotary. In the case of roundabout, greater than 3.5 m in circulatory lane width and two circulatory lane are analyzed to be important to prevent the accidents. Finally, the commercial and mixed areas are evaluated to be weak to traffic accidents than residential area.

횡단자전거의 안전성을 고려한 교차로 기하구조에 관한 기초연구 -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을 중심으로 (A Preliminary Study on Intersection Geometric Designs Considering Safety of Crossing Bicycle - Focusing on Curve Radius of Pavement Edge at Intersection)

  • 황정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2호
    • /
    • pp.637-643
    • /
    • 2014
  • 자전거 교통사고는 이용수요의 증대와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기존 교통사고 자료를 통해 자전거 교통사고의 특성을 살펴보면 사고발생 지점은 주로 교차로 내부이며, 사고형태는 측면직각충돌사고가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전거 교통이 상대적으로 집중되는 주택가 또는 학교주변의 이면도로 교차로에서의 자전거 안전이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자전거사고의 위험요인 중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이 운전자의 시계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여 횡단자전거와의 상충위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주위확인행태가 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비교 분석하여 자전거의 안전성을 고려한 교차로 기하구조 및 운전자의 주위확인행태가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차로 가각부 곡선반경이 클수록 횡단자전거와의 상충위험성 감소하며, 또한 운전자가 우측으로 고개를 적극적으로 돌려 주위를 확인할수록 상충위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와 시공간 시각화를 통한 서울시 교통사고 심각도 요인 분석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jury Severity in Seoul using Decision Trees and Spatiotemporal Data Visualization)

  • 강영옥;손세린;조나혜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2호
    • /
    • pp.233-254
    • /
    • 2017
  • 본 연구는 교통사고 가운데 인적피해를 동반한 교통사고에 대해 교통사고의 시공간적 특성과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 까지 4년간 서울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데이터 가운데 인적사고가 있는 데이터를 교통사고 심각도에 따라 경상, 중상, 사망 교통사고로 분류하고, 교통사고의 시공간특성분석은 커널분석, 핫스팟분석, 스페이스타임큐브분석, EHSA(Emerging HotSpot Analysis)를 수행하였으며,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은 데이터마이닝 기법중의 하나인 의사결정나무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서울시 교통사고는 도심부 보다는 외곽지역에서 많이 발생하며 특히 한강 이남의 상업 활동이 많은 곳에서 교통사고가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서초와 강남의 일부 상업 및 유흥지역을 중심으로 교통사고 집중지역이 나타나며 교통사고 다발지역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현상이 더욱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사망교통사고의 경우 지역적으로는 영등포구, 구로구, 종로구, 중구, 성북구 일부지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핫스팟지역이 나타나지만 시간대별로 구분해보면 오후 퇴근시간 부터 새벽까지 일부 구간에서 핫스팟이 나타나며 시간 고려 없이 분석된 결과와는 상이한 패턴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서울시 교통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는 사고유형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도로의 종류, 차량의 종류, 교통사고 발생 시간, 법규위반 종류 등의 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교통사고 가운데 심각한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는 차대 사람이나 차량단독으로 사고가 나는 경우 고속도로나 특별광역시도와 같이 폭원이 넓고 차량속도가 높은 곳에서 승합차나 화물차에서 중상의 교통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동일한 상황에서 승합차나 화물차가 아닌 승용차, 자전거, 이륜차 등의 경우에는 새벽시간에 심각한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