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ias effect

검색결과 1,474건 처리시간 0.027초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factors in Korean elementary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Nam, Sang-Seok;Lim, Kiwo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6-47
    • /
    • 2019
  • [Purpose] We conducted a meta-analys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on the physical fitness factors in Korean elementary students comprehensively and quantitatively. [Methods] We classified research studies published until November 2018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guidelines and selected a total of 17 research items; a meta-analysis of these items was then conducted. We used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and Review Manager 5.3 to analyze the mean effect size, study quality, and publication bias. [Results] Taekwondo training improved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muscle endurance, and power of the elementary students, but was not practical or less useful on other physical fitness factors. The meta-regression analysis of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power items showed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 when the sample size was sm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ample size in interpreting the effect size for these two items. Further, during correction of the publication bias for the power items, the improvement effect by Taekwondo training was eliminated. [Conclusion] Taekwondo training is helpful for improving the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muscle endurance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but is not useful for other physical fitness factors.

CMOS Class-E 전력증폭기의 Cascode 구조에 대한 게이트바이어스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Gate Bias Effects of the Cascode Structure for Class-E CMOS Power Amplifier)

  • 서동환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8권6호
    • /
    • pp.435-443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cascode 구조가 적용된 Class-E 스위칭 모드 CMOS 전력증폭기의 common-gate 트랜지스터 게이트 바이어스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게이트 바이어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전력증폭기의 DC 전력소모, 효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서 전력증폭기의 최고 효율을 보여주는 common-gate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바이어스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전력증폭기 전원 전압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바이어스가 계속 감소함에 따라 on-저항을 확인하여 커지고, 이에 따라 출력, 효율이 감소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 두 가지 현상을 통해 게이트 바이어스가 스위칭 모드 전력증폭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증명하기 위해서 $0.18{\mu}m$ RF CMOS 공정으로 1.9 GHz 스위칭 모드 전력증폭기를 설계하였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전력증폭기의 최대 효율은 전력증폭기의 인가 전압(3.3 V)보다 낮은 2.5 V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때 최고 출력은 29.1 dBm, 최고 효율은 31.5 %이다. 측정 결과를 통해서 스위칭 모드 전력증폭기 common-gate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바이어스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상시불통형 p-AlGaN-게이트 질화갈륨 이종접합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 열화 시험 (Reliability Assessment of Normally-off p-AlGaN-gate GaN HEMTs with Gate-bias Stress)

  • 금동민;김형탁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05-20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상시불통형 p-AlGaN-게이트 질화갈륨(GaN) 이종접합 트랜지스터의 신뢰성 평가를 위한 가속열화 시험 조건을 수립하기 위해 게이트 전압 열화 시험을 진행하였다. 상시불통형 트랜지스터의 동작 조건을 고려하여 기존 상시도통형 쇼트키-게이트 소자평가에 사용되는 게이트 역전압 시험과 더불어 순전압 시험을 수행하여 열화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 상시도통형 소자와 달리 상시불통형 소자에서는 게이트 역전압 시험에 의한 열화는 관찰되지 않은 반면, 게이트 순전압 시험에서 심한 열화가 관찰되었다. 상시불통형 질화갈륨 전력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 평가에 게이트 순전압 열화 시험이 포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건설현장 관리자 안전 리더십이 근로자 안전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자기 고양 편향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Safety Leadership of Manager in Construction Site on Workers' Safety Attitude and Behavior : Focused on Self-Serving Bias)

  • 이종현;문광수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6-83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ptual differences of safety leadership between managers and workers on workers'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 in two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safety attitude between safety leadership and safety behavior across discrepancy level of safety leadership.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first-tier construction companies within the 100th place in 2019. Two companies were similar in size(100 - 150 billion won) and process from the basement frame finishing stage to start of the ground structure of apartment. In A Site, 40 managers and 73 workers, 42 managers and 77 workers in B site participated the survey on managers' safety leadership, and workers' safety attitude and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fety leadership scores assessed by the manager and workers at site B. However, the safety leadership scores assessed by the manag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by the workers at site A. The workers'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at site B were higher than those of workers at site A. Moreover, Site B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ffects of safety leadership on safety behavior than Site A. At site B, safety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even after controlling the safety attitude of workers. At site A, safety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afety behavior after controlling safety attitud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managers' self-serving bias on safety leadership in site A and that this bias of leadership can negatively affect workers' safety attitude and behavior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if the self-serving bias on safety leadership occurs, the manager's safety leadership has less influence on workers' safety behavior.

Codon Usage Bias and Determining Forces in Taenia solium Genome

  • Yang, Xing;Ma, Xusheng;Luo, Xuenong;Ling, Houjun;Zhang, Xichen;Cai, Xuepe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3권6호
    • /
    • pp.689-697
    • /
    • 2015
  • The tapeworm Taenia solium is an important human zoonotic parasite that causes great economic loss and also endangers public health. At present, an effective vaccine that will prevent infection and chemotherapy without any side effect remains to be developed. In this study, codon usage patterns in the T. solium genome were examined through 8,484 protein-coding genes. Neutrality analysis showed that T. solium had a narrow GC distribution,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C12 and GC3. Examination of an NC (ENC vs GC3s)-plot showed a few genes on or close to the expected curve, but the majority of points with low-ENC (the effective number of codons) values were detected below the expected curve, suggesting that mutational bias plays a major role in shaping codon usage. The Parity Rule 2 plot (PR2) analysis showed that GC and AT were not used proportionally. We also identified 26 optimal codons in the T. solium genome, all of which ended with either a G or C residue. These optimal codons in the T. solium genome are likely consistent with tRNAs that are highly expressed in the cell, suggesting that mutational and translational selection forces are probably driving factors of codon usage bias in the T. solium genome.

과제 무관련 정서 점화가 신념편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sk-irrelevant affective priming on belief-bias)

  • 홍영지;우현정;이윤형
    • 인지과학
    • /
    • 제28권1호
    • /
    • pp.43-6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와 무관련한 정서 자극에 의한 점화가 고차인지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정서 점화 자극이 삼단논법추론 과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는 점화 자극인 IAPS 사진의 정서차원을 통제하고 각성차원을 조작하였으며 실험 2에서는 IAPS 사진의 각성차원을 통제하고 정서차원을 조작하였다. 두 실험 모두에서 과제와 무관련한 정서 점화 자극이 제시된 뒤에 세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삼단논법추론 과제가 제시되었으며 참가자들의 추론 정확률이 측정되었다. 점화 자극의 정서차원은 결론 문장의 타당성과 신념에 따른 신념편향(belief-bias)에 영향을 미쳤으나 점화 자극의 각성차원은 추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긍정정서는 신념 편향을 감소시켜 논리적, 분석적 처리를 향상 시켰으나 각성차원은 추론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정서차원과 각성차원이 고차인지능력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일 지역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IDS Knowledge, Self Esteem, Sense of Control and Optimistic Bias on Condom Use among Male College Students)

  • 권수영;이동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251-262
    • /
    • 2018
  • 본 연구는 남자 대학생들의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낙관적 편견이 콘돔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시행되었다. B시 일 종합대학교의 남학생 323명을 편의표집 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 ANOVA,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에이즈 감염에 대한 낙관적 편견이 있으며, 에이즈 지식,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 점수도 각각 높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감, 자기통제감과 낙관적 편견, 자기통제감과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 비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과 고정적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고정적인 성 파트너와 성관계 시 콘돔 사용에 대한 예측변수로 자아존중감, 자기통제감이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에이즈 감염 예방을 위한 콘돔 사용 관련 변수에 대한 반복 연구와 다양한 집단의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폴리 실리콘 위에서 나노결정질 다이아몬드 박막 성장 (Growth of Nanocrystalline Diamond Films on Poly Silicon)

  • 김선태;강찬형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0권5호
    • /
    • pp.352-359
    • /
    • 2017
  • The growth of nanocrystalline diamond films on a p-type poly silicon substrate was studied using microwave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method. A 6 mm thick poly silicon plate was mirror polished and scratched in an ultrasonic bath containing slurries made of 30 cc ethanol and 1 gram of diamond powders having different sizes between 5 and 200 nm. Upon diamond deposition, the specimen scratched in a slurry with the smallest size of diamond powder exhibited the highest diamond particle density and, in turn, fastest diamond film growth rate. Diamond deposition was carried out applying different DC bias voltages (0, -50, -100, -150, -200 V) to the substrate. In the early stage of diamond deposition up to 2 h, the effect of voltage bias was not prominent probably because the diamond nucleation was retarded by ion bombardment onto the substrate. After 4 h of deposition, the film growth rate increased with the modest bias of -100 V and -150 V. With a bigger bias condition(-200 V), the growth rate decreased possibly due to the excessive ion bombardment on the substrate. The film grown under -150V bias exhibited the lowest contact angle and the highest surface roughness, which implied the most hydrophilic surface among the prepared samples. The film growth rate increased with the apparent activation energy of 21.04 kJ/mol as the deposition temperature increased in the range of $300{\sim}600^{\circ}C$.

대학생의 선호직업유형이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 Preference Job Type on Confirmation Bias)

  • 노선희;김기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69-178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선호 직업 유형이 진로 결정 과정에 미치는 영향과 역할을 검증하고, 그 과정에서 확증편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6월 20일부터 7월 9일까지 20일 동안 3회에 걸쳐 수도권 소재의 대학교 남녀 재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 방법 중 사례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부터 얻은 자료에서 분석한 결과는 선호 직업 유형, 진로 적성과 상관없이 개인별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대부분 직업 진로에 대해 확증편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확증편향적 사고는 연구 참여자들의 심리적,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으며 사회적 인식이 반영된 틀 속에 자신을 맞추려는 현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시사점은 선호 직업 유형이 전공에 대한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확증편향은 취업과 직업 탐색에 방해 요소가 되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점과 개인별 직업 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바르게 정립되도록 진로 교육과 교육 환경 및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암생존자를 위한 심리교육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박진희;배선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6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cancer survivors. Methods: Ten databases were searched. Two reviewers independently performed the selection of the studies, data extraction and assessment.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Cochrane Collaboration's tool. To estimate the effect size, meta-analysis of the studies was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and RevMan programs. Results: Of 18,781 publications identified, 35 met inclusion criteria, and 25 studies were used to estimate effect size of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Effect sizes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were heterogeneous and random effects models were used in the analyses.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was effective for quality of life (n=2,410, ES=0.23; 95% CI: 0.09~0.37), coping and self-efficacy (n=179, ES=0.68; 95% CI: 0.26~1.11), anxiety (n=1,786, ES=-0.26; 95% CI: -0.37~-0.15), depression (n=1,910, ES=-0.28; 95% CI: -0.37~-0.18), and psychological distress (n=2,242, ES=-0.31; 95% CI: -0.46~-0.17). Subgroup analysis showed that counseling was the most effective intervention for quality of life, and behavioral therapy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ll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Publication bias was not detected except for psychological distress. Conclusion: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appears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and coping and self-efficacy, and it is effective in reducing psychological symptoms in cancer survivors. Behavioral therapy, especially, is commonly effective in improving psychosocial outcomes. However, low-quality evidence, variability in the designs of existing studies, and publication bias suggest that additional high-quality trials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