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tazon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48초

Bentazon 분해효소(分解酵素) 활성(活性)이 옥수수 품종간(品種間) Bentazon 내성(耐性)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Bentazon 6-hydroxylase Activity on Tolerance of Corn Cultivars to Bentazon)

  • 윤민수;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14-223
    • /
    • 1995
  • 본 실험은 경엽처리 제초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entazon에 의한 옥수수의 생장저해량을 측정하여 옥수수 품종간의 내성 차이를 구명하고, 선발된 내성 및 감수성 옥수수 품종을 공시하여 효소활성 유기화합물 1,8-naphthalic anhydride, Ethanol, Phenobarbital로 처리한 후 Microsome을 얻은 다음, $^{14}C$-bentazon을 공시하여 TLC(Chloroform : Methanol : Amonium hydroxide = 13 : 7 : 1)와 LSC를 이용하여 Bentazon 불활성 분해효소 Bentazon 6-hydroxylase(B6H)를 측정하여 옥수수 품종간 내성기작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1. 생장반응에 의한 품종간 Bentazon의 내성정도는 GA 209, IK 2, DB 544, 수원 19호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KSS 3, KSS 4, KS 5, 만옥 2호에서는 감수성을 나타냈는데, 특히 3엽보다 4엽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2.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는 Bentazon 6-hydroxylase 활성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 에서는 1,8-NA 0.5% 이상, Ethanol 2.5% 이상에서 B6H 활성이 높은 경향을 보인 반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에서는 1,8-NA 0.25% 이상, Ethanol 1.0, 2.5% 이상에서 B6H 활성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Phenobarbital은 2mM 에서 B6H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내성 품종은 전반적으로 감수성 품종보다 약 2배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4. 내성 품종인 수원 19호와 GA 209에서는 1,8-NA, Ethanol, Phenobarbital 처리에서 모두 B6H효소 활성이 감수성 품종인 단옥 2호와 KS 5보다 높은 경향이므로 B6H효소에 의한 Bentazon의 히드록시 반응 불활성 대사가 빨리 일어나기 때문에 Bentazon에 내성을 나타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토양중(土壤中) 제초제(除草劑) Bentazon 잔류물(殘留物)의 콩과 무우에 의한 흡수(吸收) (Uptake of the Residues of the Herbicide Bentazon in Soil by Soybean and Radish)

  • 이재구;천삼영;경기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7
    • /
    • 1988
  • 토양중(土壤中)에 존재(存在)하는 제초제(除草劑) Bentazon 잔류량(殘留量)이 농작물(農作物)에 의하여 어느 정도 흡수(吸收)되는지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4}C-Bentazon$을 재배(栽培) 직전(直前)에 처리(處理)한 토양(Fresh Bentazon 토양)과 추출(抽出)이 불가능(不可能)한 토양흡착(土壤吸着) 잔류물(殘留物)함 형태(形態)의 $^{14}C-Bentazon$을 함유한 토양(Bound Bentazon 토양)에 콩과 무우를 심고 28일간 생육(生育)시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4}C-Bentazon$을 토양에 처리하고 6개월 동안 전배양(前培養(pre-incubation))하는 동안 발생된 총 $^{14}CO_2$량(量)은 처리 방사능의 14.79% 이었다. 2. 28일간 작물(作物)을 재배하는 동안 토양 중의 $^{14}C-Bentazon$$^{14}CO_2$로 무기화(無機化)되는 량(量)은 Bound Bentazon 토양보다 Fresh Bentazon토양에서 훨씬 많았으며 콩에서보다 무우에 있어서 훨씬 많았다. 3. 콩과 무우에 의하여 흡수된 $^{14}C-Bentazon$ 및 그 대사산물의 량(量)은 Fresh Bentazon 토양에서 각각 45.41%와 21.48%이었으며 Bound Bentazon 토양에서는 각각 3.92%와 1.23%이 었다. 흡수(吸收)된 방사능(放射能)이 뿌리로부터 지상부(地上部)로 이행(移行)되는 비률(比率)은 콩에서보다 무우에 있어서 훨씬 높았다. 4. 콩과 무우에 의하여 흡수(吸收)된 Fresh Bentazon 대(對) Bound Bentazon의 비율은 각각 12 : 1과 17 : 1 이었다. 5. 작물(作物)의 존재(存在)는 $^{14}C-Bentazon$$^{14}CO_2$로의 무기화(無機化)와 극성대사산물(極性代謝産物)로의 변화를 증진(增進)시킴이 입증(立證)되었다.

  • PDF

제초제 Bentazon 의 토양미생물에 의한 분해 (Degradation of the Herbicide Bentazon by Soil Microorganisms)

  • 이재구;조광래;오경석;경기성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1-128
    • /
    • 1993
  • 토양미생물에 의한 제초제 bentazon(3-isopropyl-2,1,3-benzothiadiazin-4-one-2,2-dioxide)의 분해를 구명하기 위하여 성질이 서로 다른 충북지역의 밭토양 2종과 논토양 2종을 담수 및 밭토양 조건하에서 $23{\pm}1^{\circ}C$ 배양하였다. Bentazon 200 ppm을 처리한 Cheong Won A 토양 (Silty loam; pH, 5.2; 유기물 함량 1.4%)을 6개월 동안 담수상태에서 배양하였을 때 주 분해산물로 6-hydroxy bentazon (1.27%) 및 소량의 8-hydroxy bentazon (0.57%,)과 anthranilic acid (0.13%)가 형성되었다. 한편 bentazon 500 ppm을 처리한 동일토양을 2개월 동안 배양하였을 때는 소량의 6-hydroxy bentazon이 형성되었다. 8종의 미생물을 토양으로 부터 분리하여 순수배양실험을 하였으나 뚜렷한 분해산물을 검출하지 못하였다. Cheong Won A 토양이 Cheong Ju A 토양보다 더욱 큰 dehydrogenase 활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전자가 후자보다 더 큰 bentazon 분해력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되었다. 세균 14종과 곰팡이 8종에 대하여 bentazun 10 ppm을 처리하고 14일간 배양하였을 때 Rhizopus stolonifer만이 주 분해산물로 anthranilic acid (4.6${\sim}$31.6%) 그리고 소량의 6-hydroxy bentazon과 8-hydroxy bentazon (1.27%)을 형성하였으며, 나머지 미생물에서는 대사산물을 검출할 수 없었다.

  • PDF

미나리(Oenanthe stolonifera DC.)를 이용한 Bentazon의 생물학적 분해 (Bioremediation Bentazon using Minari(Oenanthe stolonifera DC.) Plant.)

  • 신중두;이명선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7-211
    • /
    • 1997
  • Bentazon의 잔류를 제거하기 위한 미나리의 생물학적 정화능력을 검정코자 $^{14}C-Bentazon$의 흡수(uptake)와 이행(translocation), 그리고 분해(metabolism) 실험을 통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잎에 처리한지 2일 후에 있어서 $^{14}C$의 21%가 처리된 잎에서 관측되었고, 66%는 잎 표면을 물로 세척한 곳에 잔류하고 있었으며, 나머지 13%는 epicuticular wax층에서 발견되었다. Bentazon을 처리한 잎으로부터 $^{14}C$의 79%가 검출되었으며, 뿌리에는 9%만이 검출되어 잎으로부터 뿌리로의 이행은 매우 적었다. 처리한 2일후에 $^{14}C$의 methanol 추출물 분석에서 잎에 처리된 제초제의 60% 이상이 모든 식물체 부위에서 분해되었다. 본 실험에서 발견된 주요 bentazon의 분해물(Metabolites)은 bentazon이나 6-hydroxy 혹은 8-hydroxy bentazon 보다 덜 이온화(Polar)된 알려지지 않은 신 물질(unknown compound)이었다.

  • PDF

제초제 Paraquat와 Bentazon의 세포독성과 3-Methylcholanthrene의 독성경감효과 (The Cytotoxic Effects of Paraquat and Bentazon Compensatory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on Kindney of the Rat)

  • 임요섭;서대호;한두석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23-129
    • /
    • 2001
  •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cytotoxicity of paraquat and bentazon that is scattering to farm products were essensial for human diet and compensatory effects of 3-methylcholanthrene (3-MC) in vitro and in vivo. In vitro, The 5.0$\times$$10^4$ cell/ml of NIH 3T3 fibroblast in each well of 24 multidish were cultured. After 24 hours, the cells were treated with solution of paraquat and bentazon (1, 25, 50, 100 pM respectively). After the NIH 3T3 fibroblast of all groups were cultured in same condition for 48 hours, Sulfohordamin B Protein (SRB) assa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cytotoxicity of cell organelles. Paraquat and bentazon $SRB_50$ were 1860.73 $\mu\textrm{M}$, 1913.38 $\mu$M respectively. In vivo, Sprague Dawley male rats divided into paraquat and bentazon only administered group and simultaneous application group of paraquat and bentazon and 3-MC. At 30 min. and 1, 3, 6, 12, 24, 48 and 96 hrs. interval after each treatment, the animals were sacrificed by decapitation and kidney were immediately removed, immersed in fixatives, and processed with routine method for light microscopic study. Paraffin sections were stained with H-E, PAM, and PAS. Under the light microscope, atrophic change of renal corpuscles were frequently observed from 3 hrs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The increase of the mesangium was apparent from 12 hrs later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Necrotic changes of the epithelium and loss of brush border of proximal tubules were most severe at 48 hrs after paraquat and bentazon treatment, respectively. In contrast there were no evidences of the toxic effects on renal tissues at 48hrs in paraquat and bentazon plus 3-MC treated groups.

  • PDF

Bentazon에 대한 고추품종간 내성 차이 (Differential Tolerance of Pepper Cultivars to Bentazon)

  • 토사폰 폰프롬;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0-406
    • /
    • 1997
  • Bentazon에 대한 품종간 내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온실에서 42 고추품종을 30일간 재배한 다음 Bentazon을 경엽처리하여 내성품종과 감수성품종을 선발하였다. 조풍, 종가집, 싱싱하우스, 녹광, 광복 및 일천 품종은 비교적 내성을, 대홍, 조광, 고려, 청양, 향촌 및 대장경 품종은 감수성을 나타냈다. 내성품종은 Bentazon 3.4 kg/ha 이상 수준에서도 감수성품종에 비하여 현저한 내성을 보였다. 고추생장은 50% 저해하는 Bentazon 농도$(I_{50})$는 감수성품종은 2.0~2.4 kg/ha, 내성품종은 10.0~12.0 kg/ha이며 또한 50% 생장을 감소시키는 Bentazon 농도 $(GR_{50})$는 감수성품종은 2.4 kg/ha이고 내성품종은 9.6 kg/ha이었다. 따라서 내성품종은 감수성 품종보다 5~6배 내성을 나타내었다.

  • PDF

Fenoxaprop-P-ethyl의 제초활성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구 (Antagonistic Mode of Action of Fenoxaprop-P-ethyl Phytotoxicity with Bentazon)

  • 마상용;김승우;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1-170
    • /
    • 1998
  • Fenoxaprop-P-ethyl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작을 검정하기 위하여 4엽기의 벼와 피를 대상으로 bentazon 혼합처리에서 나타나는 fenoxaprop-P-ethyl의 흡수, 이행, 대사 및 작용점의 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Fenoxaprop-P-ethyl에 대하여 벼와 피의 지상부에서 생육억제가 크게 나타났다. Fenoxaprop-P-ethyl 단독처리에 있어서 두 초종 모두에서 처리 직후부터 빠른 속도로 약제가 흡수되어, 총 흡수량의 90%이상이 약제처리 6시간 이내에 이루어졌으며, 처리 24시간까지 흡수량의 약 30%가 처리엽의 상, 하위조직으로 이행되었다. Ethyl ester형으로 처리된 약제는 신속히 acid형으로 전환되었으며, 처리 24시간 후부터는 acid형이 conjugate형의 대사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bentazon에 의한 fenoxaprop-P-ethyl의 흡수, 이행 및 대사활성의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In vitro ACCase의 활성은 벼와 피 에서 각각 26.5 및 23.2nmol/min/mg protein으로 나타났다. 이 효소 활성의 50% 저해농도에 있어서 fenoxaprop-P-ethyl 단독처리와 bentazon 혼합처리 사이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bentazon 처리에 의하여 in vivo ACCase 활성의 감소와 엽록체 thylakoid에서 전자전달의 억제가 나타났다. 따라서 fenoxaprop-P-ethyl에 대한 bentazon의 길항작용기작은 bentazon이 fenoxaprop-P-ethyl 작용점의 활성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엽록체 구조 및 활성 저해에 의한 fenoxaprop-P-ethyl의 작용점 감소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fenoxaprop-P-ethyl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ate of Bentazon Metabolites in Soils

  • Cha, In-Cheol;Lee, Kyu-Seong;Chung, Doug-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36-942
    • /
    • 2012
  • This review was to elucidate the fate of Bentazon(3-isopropyl-1H-2,1,3-benzothiadiazin-4(3H)-one-2,2-dioxide) and its metabolites in soil. Bentazon is rapidly degraded to form polar metabolites which are mostly adsorbed to soil components, such as humin or fulvic acid, as non extractable forms and mineralized into $CO_2$ by light or micro-organisms in both aerobic or nonaerobic condition. The degradation of Bentazon is dependent on the rate of organic matters in soil and the use of land for the tillage. The degradation rate is decreased as the amount of organic matters in soil increases and if the land is under use for tillage. Sorption and mobility of Bentazon depends on soil pH and the content of organic matters in soil. Usually, the sorption of the metabolites of Bentazon is decreased with increase in the mobility and pH. Almost all of Bentazon is degraded within rhizosphere or forms conjugate bonds with soil organic matters before it reaches to the ground water.

제초제 Bentazon과 그 대사산물들의 토양 중 흡착양상 (Adsorption Pattern of the Herbicide, Bentazon and Its Metabolites on Soil)

  • 김종수;김장억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4-280
    • /
    • 2009
  • 제초제 bentazon과 그 대사산물들의 토양흡착 양상을 Freundlich, Langmuir 그리고 linear isotherm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기능이 다른 흡착제들과의 흡착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에 대한 bentazon의 $K_f$ = 0.55 L/kg, $Q^0$ = 3.97mg/kg, Kd = 0.18 L/kg 그리고 $K_{oc}$ = 18 L/kg로 나타났다. Deisopropylbentazon을 제외한 다른 대사산물들의 토양 흡착량은 bentazon보다 많았으며 특히 8-hydroxybentazon의 경우 $K_f$ = 316.5 L/kg, $Q^0$ = 3,448 mg/kg, $K_d$ = 29.7 L/kg 그리고 $K_{oc}$ = 2,970 L/kg으로 토양 중에서 대부분이 흡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 기능을 가진 SPE 충진제를 이용하여 bentazon과 그 대사산물들의 흡착양상을 확인한 결과 bentazon, deisopropylbentazon 및 8-hydroxybentazon은 $NH_2$와 anion exchange phase에 친화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N-methylbentazon의 경우 $C_{18}$에 큰 친화력을 보였으나 normal phase인 silica gel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화합물보다 친화력이 낮았다. IBA는 silica gel, COOH 그리고 cation exchange phase에 강한 흡착을 보였으며 상대적으로 $NH_2$ 그리고 anion exchange phase에는 친화력이 낮았다. 2-Aminobenzoic acid의 경우 pH 3.0에서는 COOH, cation exchange phase에 많은 retention을 보였으며 pH 7.0에서는 $NH_2$, anion exchange phase에 큰 흡착량을 보였다.

벼 건답직파시(乾畓直播時) 중후기(中後期) 경엽처리용(莖葉處理用) 제초제(除草劑)의 처리시기별(處理時期別) 잡초방제효과(雜草方劑效果) (Herbicidal Efficacy of Cyhalofop/Bentazon and Pyribenzoxim as Affected by Application Time in Dry - Seeded Rice)

  • 문병철;박성태;김상열;김순철;오윤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8-35
    • /
    • 1998
  • 벼 건답직파재배시 중후기 경엽 처리제로 널리 사용중인 cyhalofop/bentazon ME 및 pyribenzoxim EC를 벼 생육시기별로 처리했을 때의 잡초방제 효과와 벼 약해반응 등에 대한 영향을 구명하여 이들 제초제의 처리시기 확대 및 효과적인 사용방법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yhalofop/bentazon ME은 모든 처리 시기에서 표준량 및 배량처리구의 약해가 0-1로 안전하였고, pyribenzoxim EC는 4, 6엽기 배량처리구에서 엽색이 연녹색으로 되는 약해증상이 있었지만 곧 회복되었다. 2. 파종후 30 일 잡초 방제효과는 cyhalofop/bentazon ME와 pyribenzoxim EC 모두 피, 여뀌에 대한 방제가 90% 이상으로 양호하였으나, 파종후 60일에 pyribenzoxim EC 처리는 너도방동사니, cyhalofop/bentazon ME 처리는 사마귀 풀 및 자귀풀과 다년생 잡초의 발생 증가로 잡초방제가 82-83%로 다소 떨어졌다. 3. pyribenzoxim EC의 파종후 17일 처리후 너도방동사니 발생이 증가될 경우 파종후 30일에 pyrazosulfuron/molinate, azimsulfuron/ cyhalofop/molinate, pyrazosulfuron/mefenacet을 체계 처리하면 약해가 거의 없으면서 너도방동사니 및 전체 잡초방제가가 92% 이상으로 우수하였고 cyhalofop/bentazon ME를 파종후 17일 처리후 자귀풀, 사마귀풀이 문제될 경우 파종후 30일 pyribenzoxim EC와 pyrazosulfuron/mefenacet 체계처리는 약해가 거의 없으면서 자귀풀에 대한 방제가는 93%, 사마귀풀에 대한 방제가는 pyribenzoxim EC는 94 %, pyrazosulfuron/mefenacet는 84% 이었다. 4. pyribenzoxim EC 및 cyhalofop/bentazon ME 처리후 문제잡초인 사마귀풀과 너도방동사니를 2차로 방제시는 무방제 대비 수량이 각각 28%, 82% 증수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