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nign

검색결과 3,179건 처리시간 0.042초

원발성 흉막중피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Mesothelioma of the Pleura)

  • 심태선;김호중;최형석;이혁표;서지영;김영환;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35-142
    • /
    • 1991
  • We reviewed 15 cases of mesothelioma of the pleura, of which three cases were localized benign form and 12 cases were malignant diffuse form. The tumors were distributed equally in both sexes, and occured most commonly in fifth to seventh decades. The history of exposure to asbestos was present in only one case. The chief complaints were mainly chest pain and dyspnea. Associated symptoms were cough, sputum, hemoptysis, weight loss, anorexia, chill. On physical examination, unilateral, decreased breathing sound was main feature. The simple chest radiograph showed mass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100%) and in 2 diffuse mesotheliomas (17%). 8 cases of diffuse mesotheliomas (67%) showed unilateral pleural effusions. Pleural effusions were mainly bloody (67%), and almost all were exudat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diffuse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7 cases, chest wall mass biopsy in 2 cases, thoracoscopic biopsy in 1 case, pleural biopsy in 1 case, and pleural biopsy combined with axillary lymph node biopsy in 1 case. Localized mesotheliomas were treated by simple excision with good prognosis. In diffuse mesotheliomas, surgical treatment (pleuropneumonectomy, pleurectom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lone or in combination, were used with dismal prognosis. The prognostic factors were not found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s, incomplete follow up, and early drop out.

  • PDF

성인에서 발생한 종격동 림프관종 3례 (Mediastinal Lymphangioma in Adults : Three Case Reports)

  • 김경찬;고원중;권오정;이병훈;황정혜;강은해;서지영;정만표;김호중;한정호;고영혜;김진국;김태성;이경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5권3호
    • /
    • pp.303-310
    • /
    • 2003
  • 종격종 림프관종은 림프관에서 기원하는 드문 양성 종양이다. 대부분 출생 시 존재하며 생후 첫 2년 이내 발견되는데, 성인에서는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대부분 증상이 없이 단순 흉부 방사선촬영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진단된다. 저자들은 단순 흉부 방사선촬영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된 3명의 환자에서 수술을 통하여 조직학적으로 종격동 림프관종임을 진단하고 치료한 3명의 환자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가 도입된 산화철 나노 입자의 제조 및 발열 특성 연구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coated iron oxide nanoparticles)

  • 류성곤;정인우
    • 접착 및 계면
    • /
    • 제19권3호
    • /
    • pp.106-112
    • /
    • 2018
  • 악성 조직의 온열 치료는 성공적인 암 치료 방법의 하나로서 방사선 치료 및 화학 요법에 비해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고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어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온열 치료를 목적으로 생체 적합성 고분자인 poly(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fluorescein O-methacrylate) (P(MPC/FOM))를 코팅한 초상자성 산화철 나노 입자 (IONP)를 제조하고 관련 특성을 분석하였다. 15 nm 직경을 갖는 IONP는 먼저 공침법에 의해 제조된 후, 4-cyanopentanoic acid dithiobenzoate (CTP) 을 사용하여 IONP의 표면을 개질하였으며, 이 후 MPC 및 FOM 단량체의 reversible addition-fragmentation chain transfer (RAFT) 공중합을 통해 P(MPC/FOM)의 코로나 층을 형성시켰다. 투과 전자 현미경 (TEM)과 동적 광 산란 (DLS) 분석을 통해 IONP@P(MPC/FOM)의 형태 및 수력학적 크기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열 중량 분석 (TGA)을 통해 P(MPC/FOM) 코로나 층의 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류 자기장을 이용해 IONP 분산액을 노출시킨 결과, 0.2 중량 %의 IONP @ P(MPC / FOM) 수분산액이 온열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Study on Salivary Gland Tumors)

  • 장경훈;장유철;정환우;양훈식;김훈;김춘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277-286
    • /
    • 1997
  • 저자들은 1988년부터 1996년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에서 수술적으로 치료한 47례의 타액선 종양환자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호발연령은 50대에서 가장 높았으며 악성종양의 경우 양성종양보다 호발연령이 높았다. 2) 여자에서 남자보다 호발하며 그 비율은 1.5;1 이었다. 3) 발생부위는 이하선이 가장 많아 48.9% 였으며, 악하선, 소타액선의 순이었으며 소타액선 종양은 구개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4) 악성의 빈도는 소타액선에서 발생한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악하선, 이하선 순이었다. 5) 가장 많은 증상은 무통성의 종물이었다. 6) 세침흡인 세포검사의 진단적 정밀도는 88.9% 였다. 7) 가장 흔한 타액선종양은 혼합종으로 전체의 57.4 %였다. 8) 악성종양 중 경부임파절 전이율은 22.2%였다. 9) 수술적 치료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19.1% 였으며 일시적 안면신경마비가 가장 많았다.

  • PDF

후두유두종증의 예후인자: 20년간의 임상 경험을 통한 분석 (Prognostic Factor of Laryngeal Papillomatosis: 20 Years Experience)

  • 정은재;홍석진;조재구;백승국;우정수;권순영;정광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5-148
    • /
    • 2010
  • Background: Laryngeal papillomatosis, which is cased by human papillomavirus, is the most common benign neoplasm of the larynx. However, the prognosis of this disease remains really unpredictabl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termine whether any clinical features at the time of diagnosis could predict its course. Material and Method: Eighty-six patients treated at our institution during the last 20 year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had microsurgery under general anesthesia. All patients' follow-up period was more than 1 year.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1) Juvenile versus adult group based on their age 20, 2) single surgical method with laser versus dual surgical method with laser and microdebrider group, and 3) single subsite versus multiple subsites group. And we compared the therapeutic outcome. Results: The recurrence rate was 100% (15 patients) in the JP group and 56% (40 patients) in the AP group. Juvenile versus adult group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by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Microdebrider resection technique and multiple subsites were not associated with treatment result. Time period from the first surgery to recurrence detection was different statistically only for the age group. The number of surgery in the JP group ranged from 1 to 31 (mean 8.8). In the AP group the number of surgery ranged from 1 to 25 (mean 3.7). It was statistically different. Conclusion: Prognosis for the laryngeal papillomatosis remains unpredictable. Only patients' age was the only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 PDF

정상혈압 폐색전증에서 위험도 평가도구로서의 D-dimer의 역할 (D-dimer as a Prognostic Tool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ulmonary Embolism)

  • 윤재철;김원영;최상식;정상구;손창환;김원;임경수;정태오;진영호;이재백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2호
    • /
    • pp.87-92
    • /
    • 2010
  • Background: D-dimer testing is widely applied as a first step in the diagnostic work-up of pulmonary embolism (PE). Although this is the most sensitive assay for ruling out PE, the prognostic implications of D-dimer testing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are not well know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D-dimer testing on admission predicts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 in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Methods: A total of 180 consecutive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admitted between January 2003 and June 2009 were included. The group was divided into quartiles on the basis of their D-dimer levels.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MACE by quartile of D-dimer level and estimated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redictive values for MACE in the first and fourth quartile. Results: In the 37 (20.6%) patients with MACEs, the median D-dimer level (7.94[IQR:4.03~18.17]${\mu}g/mL$) was higher than in patients with a benign course (5.29[IQR:2.60~11.52]${\mu}g/mL$, p<0.01). The occurrence of MACE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D-dimer level (p=0.017). In the first quartile (D-Dimer <$2.76{\mu}g/mL$) sensitivity, specificity, and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for predicting MACEs were, respectively, 91.9%, 29.4%, 25.2%, and 93.3%. Conclusion: Patients with D-dimer levels below $2.76{\mu}g/mL$ have a low risk of MACEs. Our study suggest that D-dimer level may be used to identify low risk patients with normotensive PE.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Liposclerosing myxofibrous tumor) - 1예 보고 - (Liposclerosing Myxofibrous Tumor - A case report -)

  • 유창영;정은선;박경신;이연수;지원희;강창석;이교영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6-130
    • /
    • 2006
  •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은 섬유골을 형성하는 양성 골질환으로 대퇴골 원위부의 전자간 부위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 질환은 지방종, 지방황색종, 점액종, 지방섬유종, 섬유형성이상 유사 병변, 낭의 형성, 지방괴사, 허혈성 골화 또는 연골 형성 등 다양한 조직학적 소견이 뒤섞여 있는 특징을 보인다. 비록 일부에서는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을 섬유형성이상이나 골내 지방종 또는 기타 다른 양성 병변의 한 변형으로 생각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을 하나의 독립된 질환으로 인식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저자들은 48세 여자 환자의 대퇴골 전자간 부위에서 지방경화성 점액섬유종의 전형적인 방사선학적 그리고 조직학적 소견을 보이는 증례를 경험하였다. 방사선학적으로 이 병변은 방사선 투과성 및 젖빛 유리와 같은 특성을 보였고 주변은 경화성 골조직으로 싸여 있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점액조직, 지방종 그리고 섬유형성이상 유사 조직이 주류를 이루었다.

  • PDF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의 장기추시결과 (Long-term Follow-up Study of Sternocostoclavicular Hyperostosis)

  • 김정일;서근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3-111
    • /
    • 2006
  • 목적: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흉골, 쇄골, 상부 늑골 및 주변 연부조직의 골화와 골막반응이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질환으로 골종양과의 감별이 요구되고 있다. 이질환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으나 병인이 불분명하고 흔하게 나타나지는 않기 때문에 장기관찰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 저자들은 이 질환을 가진 환자들의 장기간 추적관찰을 통해 이질환의 치료 경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6년 6월부터 2000년 6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흉골늑골 쇄골간 과골증으로 진단되어 치료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관찰이 가능하였던 17명의 환자에 대해서 이학적 검사, 방사선 소견, 조직학적 소견, 치료에 대한 반응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성별분포는 남자가 4례, 여자가 13례로 여자가 더 많았다. 이환된 시기의 환자의 나이는 17세부터 60까지로 평균나이는 48.7세였다. 전례에서 흉쇄골 관절 및 흉골, 늑골 주위의 흉골, 쇄골, 상부 늑골에 과골화 소견을 보였고 이것은 시간 경과후에도 변화 없거나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피부과 질환을 동반한 경우가 5례가 있었다. 치료에 대한 반응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소염진통제에 반응을 하였지만 2년 이상의 소염진통제 및 항상제의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가 3례가 있었다. 결론: 흉골 늑골 쇄골간 과골증은 골주사와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진단이 되어질 수 있는 비교적 드문 양성 질환으로 비교적 항염증 약물, 항생제, 항류마치스약물등의 보존적인 치료에 잘 반응하나 동통이 지속되는 경우에서 비스포스포네이트 같은 약제의 사용이 추천되어진다. 장기간 추시관찰시 동통은 대부분 소실되나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골화부분은 변화 없거나 더욱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연부조직의 침범이 있거나 악성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고 외형상문제로 수술적 치료가 요하는 경우가 있다.

  • PDF

타가메트정 400 mg에 대한 신일시메티딘정 400 mg의 생물학적동등성시험 (Bioequivalence of Tagamet Tablet to Sinil CIMETIDINE Tablet (cimetidine 400 mg))

  • 윤미경;이병무;이성재;김선규;이재휘;최영욱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4권6호
    • /
    • pp.521-527
    • /
    • 2004
  • Cimetidine is a histamine $H_2-receptor$ antagonist, used for the treatment of endoscopically or radiographically comfirmed duodenal ulcer, pathologic GI hypersecretory conditions, and active, benign and gastric ulcer. Simple method for determining cimetidine in human plasma has been developed and validated. The analytical procedure for cimetidine showed a linear relationship in the concentration ranges from $0.05\;to\;5\;{\mu}g/ml$. Coefficient of variance (CV, %) for intraday and interday validation and relative error (RE, %) were less than ${\pm}15%$. Based on this analytical method, the bioequivalence of two cimetidine 400 mg tablets, reference (Tagamet 400 mg) and test drug (Sinil CIMETIDINE 400 mg)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set by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Release of cimetidine from the tablets in vitro was tested using KP VIII Apparatus II with various dissolution media (pH 1.2, 4.0, 6.8 buffer solutions and water). Twenty-four healthy volunteers, $21.38{\pm}1.86$ years in age and $68.71{\pm}8.68\;kg$ in body weight,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a randomized $2{\times}2$ cross-over study was performed.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a tablet containing 400 mg of cimetidine, blood samples were take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nd concentrations of cimetidine in plasma were determined using HPLC equipped with UV detector. The dissolution profiles of the two tablet formulations were very similar at all dissolution media. In addition, pharmacokinetic parameters such as $AUC_t$ and $C_{max}$ were calculated and ANOVA was employ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arameters. The results were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in $AUC_t$ and $C_{max}$ between the two tablets were 4.17 % and 0.97% respectively. At 90% confidence intervals, the differences in these parameters were also within ${\pm}20%$. All of the above mentioned parameters have met the criteria of KFDA guidelines for bioequivalence, indicating that the test drug tablet (Sinil CIMETIDINE tablet) is bioequivalent to Tagamet 400 mg tablet.

자궁 경부암 환자의 추적검사시 혈장내 CEA치 측정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Plasma CEA Levels in the Patients with Cervical Carcinoma during Follow-Up)

  • 반성범;김주영;최명선;나중열;이민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93-301
    • /
    • 1991
  • CEA 측정으로 부인과 영역 악성종양의 치료결과나 재발 여부의 조기 진단을 할 수 있나를 연구한 결과이다. 1985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239명의 자궁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전과 치료후 CEA치를 체계적으로 측정했고 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정상군으로 아무런 증상이 없는 건강한 부인 65명과 양성종양을 가진 18명의 부인을 상대로 CEA치를 측정하였다. 혈장내 CEA치는 종양의 진행정도와 기의 직접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고 종양의 기가 진행되면 될수록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CEA치가 비정상인 경우 편평상피종 환자보다는 선세포나 선세포와 편평세포가 혼합된 경우 더욱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으로 혈장내 CEA을 체계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치료 끝난 후 추적검사시 재발의 조기발견 및 치료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