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ll pepper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초

Propagation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var. grossum) through tissue culture

  • Senarath, WTPSK;Shaw, D.S.;Lee, Kui-Jae;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03
  • Leaf discs and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cytokinin and auxi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Callus production was observed in all tested media after six days of incubation. Callus pro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NAA (2.0mg/1) was fragile in texture and yellow in colour. Highest callus formation was observed from leaf discs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1 NAA and 0.5 mg/l BAP in dark at $25{\pm}1{\circ}C$. Percentage of callus formation was 95% and mean callus fresh weight was 654.88 43.53 mg. Shoots were induced from the callus after 4 weeks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P and kinetin both at 0.5mg/1. When elongated shoots were separated and transferred into multiplication medium (MS+0.5mg/1 BAP+0.5mg/1 kinetin) multiplication rate was 6.4 after 6 weeks. Higher concentrations of BAP caused callus production at the base. Direct shoot induction was observed from apical meristems in MS medium in the presence of 0.175 mg/1 IAA + 2.25mg/1 BAP and 0.175 mg/1 IAA + 3.0 mg/1 BAP in 16 hour day at $25{\pm}1{\circ}C$. Explants (apical meristems) elongated to form a single shoot forming a callus at the base. Adventitious buds were sprouted out from the base. Percentage explants which producing shoots was 28.57 and 65.5 respectively.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same media. Highest multiple shoot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0.175 mg/l IAA and 3.0mg/l BAP, Mean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as 5.36 and the mean shoot length was $16.66{\pm}4.15$mm. Shoots (20 30m length) were tested for root induction. Excised shoots were transferred into rooting media, which contain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A and IAA. Best rooting performance was observed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mg/1 NAA after 10 days of incubation in 16 hr photoperiod at $25{\pm}1{\circ}C$. Mean number of roots per shoot was 6 and the mean root length was 252mm. Roo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into sterile coir dust:sand (1:4) mixture and maintained in a humid chamber for two weeks, They were gradually expos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fter three weeks they were transferred to pots containing coir dust:sand (1:2) mixture for further development where the 90% survival was observed.

  • PDF

VFSMOD를 이용한 경작지의 고형물질 유출 저감효과 (Analysis of Suspended Solids Reduction by Vegetative Filter Strip for Cultivated Area Using Web GIS-Based VFSMOD)

  • 안재환;윤상린;김석구;박윤식;임경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12호
    • /
    • pp.792-800
    • /
    • 2012
  • 본 연구는 남한강과 북한강 유역 내 경작지 각 3개소(site A, B, C)를 대상으로 Web GIS-based VFSMOD System의 HUFF & SCS UH-based VFS Design Module을 적용하여 강우 시 경작지에서 유출되는 고형물질 유출저감을 모의하였다. 북한강 유역 내에 위치한 site A의 노지 밭의 토지경사도 5%, 강우 106.2 mm 조건에서 고추 및 옥수수를 재배할 경우, 7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초생대 폭이 최소 0.5 m 이상, 토지경사도 10%인 경우 7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초생대 폭이 최소 1.0~1.5 m 이상 유지해야 한다. 남한강 유역 내에 site B의 노지 밭의 토지경사도 5%, 강우량 95.1 mm 조건에서 토마토 및 땅콩을 재배할 경우, 7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을 위해서는 초생대의 폭이 최소 0.5 m, 토지경사도 10%인 경우 5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을 위해서는 최소 1.0 m 이상의 폭을 갖는 초생대를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강 유역 내에 site C의 노지 밭의 토지경사도 5%, 강우량 102.6 mm 조건에서 고구마 및 콩을 재배할 경우, 64.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을 위해서는 초생대의 폭이 최소 1.0 m, 초생대를 설치해야 하는 것을 분석되었다. 또한, 동일한 조건에서 강우지속시간 2시간의 강우량을 151.2 mm로 증가시킬 경우, 62.0% 이상의 고형물질 유출저감을 위한 초생대의 최소 폭은 1.0 m 이상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생대 시설은 경작지와 같은 토지이용 시 친환경적인 고형물질 유출저감 방안으로 검토될 수 있으며, Web GIS-based VFSMOD System을 이용하여 다양한 토지특성과 강우 사상을 반영하여 적정한 규모의 초생대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냉장 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Produc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손시혜;김수진;김기창;김행란;윤기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5-503
    • /
    • 2011
  • 본 연구는 신선편이 농산물에서 사용 요구도가 높은 식재료인 근채류(감자, 고구마, 당근, 무)와 과채류(호박, 오이, 피망)을 선택하여 절단된 형태와 유통되는 온도에 따라 품질변화 특성을 연구하였다. 냉장저장 중 신선편이 농산물의 수분함량은 10$^{\circ}C$에 저장한 세척 절단된 오이, 호박에서만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한(p<0.05) 반면 4$^{\circ}C$에 저장한 경우 모든 품목에서 저장기간 동안 수분을 보유할 수 있었다. 갈변에 민감한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모두 L값(명도)이 감소하였지만 4$^{\circ}C$에 저장한 경우 보다 더 완만하게 감소하여 갈변 발생이 늦어지는 것을 확인하였고, 백화현상으로 인하여 쉽게 품질이 변할 수 있는 세척 절단된 당근의 경우 10$^{\circ}C$에서만 백화지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4$^{\circ}C$에 저장함으로써 품질을 최대 3일까지 더 유지할 수 있었다. 절단 형태에 따른 경도 변화에서는 사각썰기 형태의 경우 호박에서, 채썰기 형태는 고구마에서 경도 감소율이 가장 크게 나타나 품목의 특성에 따라 경도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고, 4$^{\circ}C$에 저장할 경우 경도의 감소폭이 완만하고 변화율이 적어 저장기간 동안 조직감이 유지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세척 절단된 감자와 고구마는 두 온도에서 PPO 활성도가 증가하여 갈변을 효과적으로 저해시키진 못했지만 저온인 4$^{\circ}C$에 저장함으로써 10$^{\circ}C$ 보다 낮은 효소 활성도를 나타내었고 갈변 발생을 최대 2일까지 연장시킬 수 있었다. 신선편이 농산물의 미생물학적 품질 변화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세척 절단된 오이만 다른 품목에 비해 균수가 낮고 저장 후기까지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6가지 품목(감자, 고구마, 당근, 무, 호박, 피망)은 모두 저장 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의 증가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 온도가 미생물 증식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세척 절단된 피망은 다른 품목에 비해 초기 오염농도가 높았고, 세척 절단된 고구마는 오이와는 다르게 미생물의 성장률이 가장 빠르므로 세척 절단된 고구마와 피망은 저장 시 다른 품목보다 특히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은 농산물의 품목에 따라 다르고 유통 및 저장하는 온도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각각의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목에 맞는 온도관리를 통해 품질을 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는 온도에 보관함으로써 신선편이 농산물의 품질과 안전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