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ef. pork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4초

이산화염소 처리에 의한 적색육의 저장 중 품질변화 (Quality Change of Red Meat by Chlorine Dioxide Treatment during Storage)

  • 이승환;신희영;구경주;진유영;전소정;채현석;송경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22-227
    • /
    • 2007
  • 돈육과 우육의 품질 변화에 이산화염소 처리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돈육 삼겹살과 우육 안심은 이산화염소 용액 30, 50, 100 ppm 처리한 후 $4{\pm}1^{\circ}C$에서 저장하였다. 이산화염소 처리는 총 호기성 균수, 곰팡이 및 효모 수를 처리 농도 증가에 비례하여 감소시켰다. 저장 10일 후 총 호기성 균수는 삼겹살의 경우, 이산화염소 100 ppm 처리군이 1.48 log CFU/g에서 4.73 log CFU/g으로 증가한 반면에 대조군은 2.19 log CFU/g에서 6.22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안심의 경우, 대조군이 3.98 log CFU/g에서 5.97 log CFU/g로 증가하는 동안 100 ppm 처리군은 3.13 log CFU/g에서 4.73 log CFU/g으로 증가하였다. pH와 VBN 값은 모든 시료가 저장 중 증가하였으나 처리군 사이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군에서 TBARS 값이 증가하였는데, 처리군 간에는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관능평가는 돈육과 우육이 각각 저장 8일, 6일 이후에는 바람직하지 않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이산화염소 처리가 적색육의 위생적인 안전성 확보와 품질수명 연장을 통한 저장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고기구이에서 발생하는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s from Meat Cooking)

  • 봉춘근;박성진;박성규;김종호;황의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96-201
    • /
    • 2011
  • 본 연구는 최근 들어 대도시 대기오염물질의 주요 배출원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는 음식점 고기구이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배출 특성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와 소고기의 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 입자상물질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고기구이 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는 고기구이 챔버를 제작하였으며,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와 광산란식의 미세먼지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돼지고기의 경우가 소고기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세먼지의 입경분포 특성을 살펴본 결과 돼지고기와 소고기 모두 $1.95{\sim}3.2{\mu}m$의 입경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고기 1 kg당 배출되는 미세먼지의 배출계수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고기,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1.36 g/kg, 1.03 g/kg, 1.23 g/kg과 0.92 g/kg으로 나타났다. 광산란식 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결과에서는 돼지고기와 소고기 모두 $1.6{\sim}2.5{\mu}m$$2.5{\sim}3.5{\mu}m$ 입경에서 가장 높은 농도로 나타나 $2.5{\mu}m$를 중심으로 높은 농도로 나타난 다단충돌식 결과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광산란식에 의해 측정된 배출계수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고기,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3.37 g/kg, 2.76 g/kg, 2.93 g/kg과 2.77 g/kg으로 나타나 다단충돌식 결과보다 2배에서 3배 이상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PM_{2.5}/PM_{10}$의 비는 돼지생고기, 돼지양념, 소생고기, 소양념고기에서 각각 0.56, 0.58, 0.56 그리고 0.58로 나타나 중량농도에서도 $PM_{2.5}$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중량농도를 입자의 비중을 1로 가정하여 산출한 개수농도로 환산한 결과를 보면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로 측정한 결과는 $10^{19}$개로 나타났고, 광산란식으로 측정한 결과에서는 $10^{16}$개 수준으로 나타나 다단충돌식 입경분립기의 경우에서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래종 돼지고기에 대한 인식 및 실태 (A Survey of Recognition and Use for Native Pork)

  • 한재숙;한경필;김태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89-500
    • /
    • 1999
  •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2 30대, 4.50대 남녀를 대상으로 재래종돼지고기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평소 먹고 있는 고기는 돼지고기, 소고기, 닭고기 순이며, 외식할 떼 주로 먹는 고기는 돼지고기와 소고기가 각각 43.7%. 42.7%였고 2.30대가 4.50대보다 돼지고기를 더 선호하였다(p<0.01) . 2. 70.3%가 돼지고기를 가끔 먹는다고 하였으며 잘 먹지 않는 이유는 기름기가 많아서 33.4%, 식구들이 잘 먹지 않기 때문에 33.0%였다. 3. 가장 좋아하는 돼지고기의 부위는 삼겹살 53.5%, 갈비 33.6%였고, 좋아하는 돼지고기음식은 돼지불고기 48.1%, 김치찌게 13.6%, 탕수육 10.9%의 순이었다. 4. 돼지고기에 어울리는 식품과 곁들이면 좋은 식품은 상추, 깻잎, 마늘 순이었고 술은 소주가 가장 많았다. 5. 재래종돼지고기는 맛, 질감, 영양성분. 지방이 적고, 건강에 좋은 식품이라고 인식하였고, 가격은 더 비싸고. 냄새가 나는 것은 비슷하다고 하였다. 6. 재래종돼지고기는 30.9%가 전통식품, 20.6%가 자연식품. 14.3%가 건강식품으로 인식하였고 59.1%가 먹어 보았다고 응답하였다. 7. 소비전망은 증가할 것이다가 50.9%였으며 그 이유는 품질이 좋아서 49.8%, 신토불이의 사상 때문에 29.6%, 18.5%가 우리의 기호에 맞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8. 재래종돼지고기에 대한 개선점은 구입이 용이 38.3%. 저렴한 가격 31.6%, 신선도 위생성 향상 13.4%, 홍보의 증가가 10.9%였다.

  • PDF

몽골 돼지고기 시장 분석 및 수출 지속 가능성 (A Study on the Pork Market Analysis of Mongolia and the Continuous Export Possibility of Korean Pork)

  • 곽영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07-510
    • /
    • 2005
  • 본 연구는 몽골의 돼지고기 시장을 분석하고 국내산 돼지고기의 대몽골 수출 지속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몽골의 돼지고기 소비는 생산량이 부족하여 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돼지고기 가격을 100으로 가정할 때 타 육류의 소비자 가격은 쇠고기 63, 닭고기 100, 양고기 54로서 돼지고기가 비싼 편이다. 둘째, 몽골에서 수입을 원하는 부위는 가격이 저렴한 부위를 요구하기 때문에 국내산 돼지고기 수출 가능부위는 돼지지방(육가공용)과 후지이다. 셋째, 현재 돼지고기 가격의 상승으로 수출물량은 거의 없는 실정이나 국내 돼지고기 시장여건이 악화될 경우에 대비하여 향후 수출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아야 한다는 측면에서 한국산 돼지고기 수출시장으로서의 역할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Historical Details about the Meat Consumption and Taeniases in Joseon Period of Korea

  • Shin, Dong Hoon;Chai, Jong-Yil;Hong, Jong Ha;Seo, Min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5권4호
    • /
    • pp.457-460
    • /
    • 2017
  • Previous paleoparasitological studies of Joseon specimens established that the prevalence of Taenia infection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population. As many of taeniases originally diagnosed as Taenia saginata in South Korea were revealed to be actually Taenia asiatica, which share a common intermediate host with T. solium (the pig), Joseon people must have ingested raw pork frequently. However, the current examination of extant Joseon documents revealed that the population ate significant amounts of beef even if the beef ban was enforced; and pork was not consumed as much as we thought. Considering the meat consumption pattern at that time, Joseon people should have been infected by T. saginata more frequently than T. asiatica. This may suggest a low prevalence of T. saginata metacestodes in cattle compared to that of T. asiatica metacestodes in pigs, possibly due to the traditional way of rearing pigs (using human feces). This letter gives us a chance to reconsider the existing preconception about parasitic infections in Korean history though we are still hard to accurately estimate the historical patterns of taeniases at this stage.

경북지방 도축장의 지육에 대한 잔류물질 실태조사 (Survey on residual antibiotics for beef, pork and chicken at slaughter house in Gyeongbuk province)

  • 서희진;이영미;도재철;박노찬;이양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1-338
    • /
    • 2006
  •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o detect the residual antibiotics in beef (n = 1,071), pork (n=7,837) and chicken (n=1,536) from slaughter houses in Gyeongbuk province by EEC-4 plate method, Charm II and HPLC during 2005. Residues of antibiotic were detected from 9 beef (0.8%) and 119pork (1.52%) by EEC-4 plate method, and total positive rates were 1.23% (128). 126 samples of the 128 positive samples by the EEC-4 plate method were detected by charm II test. 128 samples were classified as tetracyclines 110 (95.5%), ${\beta}$-lactam 2 (1.6%), sulfonamide 22 (17.2%), quinolone 1 (0.8%). The highest residual concentration of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chlor-tetracycline, penicillin, sulfamethazine, sulfadimethoxine, sulfaquinoxaline, sulfamerazine, sulfamonomethoxine and enrofloxacin were 7.57, 0.27, 0.40, 0.24, 14.24, 4.33, 8.59, 0.12, 0.09 and 1.98 ppm, respectively and 49 samples were exceeded legal admitted levels.

소 및 돼지의 정육과 내부장기중의 항생물질 잔류 조사 (Detection of Antibiotic Residues in Meats and Internal Organs of Cattle and Pigs)

  • 허부홍;전창권;안병목;송희종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0
    • /
    • 1992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urvey was to evaluate the antibiotic residues in meats and internal organs such as muscle, liver, heart, kidney and spleen of cattle (n=59) and pigs (n=115). The EEC-4-plate-method were employ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In BS 6.0, BS 7.2 and BS 8.0 used as media to detect antibiotic residues, the zone($M{\pm}SD,$ cm) of bacterial growth inhibition was narrow($1.40{\pm}0$) in meats, whereas the zone was wide($1.69{\pm}0.25-1.88{\pm}0.23$ and $1.58{\pm}0.18-1.86{\pm}0.15$ in cattle and pigs, respectively) in internal organs. But in SL 8.0, it was difficult to detect the zones ($0-1.40{\pm}0$) of both meats and internal organs. 2. Residues of antibiotic in beef and pork were rarely detected in BS 6.0, BS 7.2 and BS 8.0 (range 1.7-11.9% and 2.6-4.3%, respectively), whereas residual percentages of internal organs were relatively higher(range 69.5-96.6% and 43.5-84.3%, respectively). But in SL 8.0, it was not detected in both beef or pork, whereas they were 0-13.6% and 0-4.3% in interanal organs.

  • PDF

Effect of Organic Acid Salts and Chitosan on Case-Ready Packed Ground Beef and Pork Patties

  • Park, Seon-Hee;Chung, Seung-Hee;Lee, Sung-Ki;Lee, Keun-Tai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74-684
    • /
    • 2010
  • The effects of ascorbic acid (AA)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odium acetate/calcium lactate (AA+SACL) and chitosan (AA+CH)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growth of beef and pork patties stored at $5^{\circ}C$ were investigated. The patties were case-ready packed in an air-containing polypropylene (PP) tray and sealed with polyethylene terephthlate (PETP)/casted polypropylene (CPP) top film. Treatments with AA, AA+SACL and AA+CH were effective in inhibiting total aerobic bacteria from day 4 compared to the control. In general, thiobarbituric acid, volatile basic nitrogen, and hue values in treated samples were lower than the control over the storage, whereas Hunter ${\alpha}^*$ (redness) values and sensory scores for surface color and off-odor were higher. Regarding quality and shelf-life extension, ground beef and pork patties treated with AA+SACL produced the most desirable results among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소와 돼지도체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 및 PCR 검출 방법에 관한 연구 (Isolation and PCR detec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raw beef and pork carcass)

  • 채희선;김두환;김규현;신방우;조미영;권택부;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5-111
    • /
    • 2003
  • From February 2000 to December 2001, A total of 1,785 samples was taken from beef and pork carcasses in Seoul. Seven(0.69%) Listeria spp. were isolated from the 1,014 of beef carcasses, and five(0.65%) were isolated from the 771 of pork carcass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L monocytogenes by API listeria, and VIDAS LMO kit, serological test and PCR assay were preformed. A total 12 strains of L monocytogenes were isolated form samples tested and all of the strains were classified into serotype 1. PCR primers are selected to amplify a 520-base pair(bp) DNA fragment from the listeolysin O gene(hlyA) of Listeria monocytogenes. A 520-bp product was detected in PCR with DNA from L monocytogenes, but not from the other Listeria species tested.

"조선무쌍신식료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 수록된 부식류의 조리법에 관한 고찰 (I);탕(국), 창국, 지짐이, 찌개, 찜, 조림.초, 백숙, 회, 편육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the Side Dishes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I);Tang (guk), Changguk, Gigimi, Chigye, Chim, Chorim.Cho, Baeksuk, Hoei, Pyunyook)

  • 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27-437
    • /
    • 2008
  • This study examined the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s of side dishes in "Chosunmusangsinsikyorijebub" during the year of 1924, approximately. In the recipe for Tang (Guk), there was much use of various parts of beef, fish, shellfish, vegetables, and mushrooms, and soybean paste, hot pepper paste, and soy sauce were used as seasonings. For Chootang and Byulchootang, cinnamon powder was added at the end of cooking. In foods such as Tang (Guk), Gigimi, Chigye, Chim, and steamed dishes, which were made of beef, pork, chicken, various fish, Chinese cabbage, and over ripened cucumbers, and thickened by adding buckwheat powder or wheat powder, the taste of the food was changed by controlling the gravy content. In the recipe for Gorim-Cho, ingredients such as beef, pork, chicken, and various fish were used, which were cooked in boiling water and soy sauce. Boiling or steaming were employed as the cooking methods for Baeksuk, where beef rib Baeksuk was seasoned with salt and fermented shrimp and then boiled. For porgy and herring Baeksuk, the internal organs of the fish were first removed, and then they were steamed with pine needles. Hoei incorporated the flesh of various meats, various beef organs, pork skin, and fish as ingredients, and different dipping sauces and pine nut powder were also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