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dding orientatio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1초

경상계(慶尙系) 퇴적암(堆積岩)의 공학적(工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Engineering Properties of Some Sedimentary Rocks from the Gyeongsang Supergroup)

  • 소칠섭;최병렬
    • 자원환경지질
    • /
    • 제8권4호
    • /
    • pp.203-210
    • /
    • 1975
  • The engineering properties of some Gyeongsang sedimentary rocks with respect to the grain size and the orientation of bedding planes were studied. The suitability of the rocks for civil and architectural construction was also investigated. The porosity of the rock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grain size. The ratio of the strain due to stress perpendicular to the bedding planes to the strain resulting from stress parallel to the bedding planes increases as the grain size decreases. The study indicates however, that the ratio of Young's modulus due to stress perpendicular to the bedding planes to Young's modulus resulting from stress parallel to the bedding plane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grain siz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andstones studied is much greater than the strength of the conglomerate or shale. Only the coarse grained sandstone can be used for civil and architectural construction,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of bedding pla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density, elasticity and poros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nd mineral content were also studied.

  • PDF

Simulation of the tensile behaviour of layered anisotropy rocks consisting internal notch

  • Sarfarazi, Vahab;Haeri, Hadi;Ebneabbasi, P.;Bagheri, Kourosh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9권1호
    • /
    • pp.51-67
    • /
    • 2019
  • In this paper, the anisotropy of tensile behaviours of layered rocks consisting internal notch has been investigated using particle flow code. For this purpose, firstly calibration of PFC2D was performed using Brazilian tensile strength. Secondly Brazilian test models consisting bedding layer was simulated numerically. Thickness of layers was 10 mm and layered angularity was $90^{\circ}$, $75^{\circ}$, $60^{\circ}$, $45^{\circ}$, $30^{\circ}$, $15^{\circ}$ and $0^{\circ}$. The strength of bedding interface was too high. Each model was consisted of one internal notch. Notch length is 1 cm, 2 cm and 4 cm and notch angularities are $60^{\circ}$, $45^{\circ}$, $30^{\circ}$, $15^{\circ}$ and $0^{\circ}$. Totally, 90 model were tested. The results show that failure pattern was affected by notch orientation and notch length. It's to be noted that layer angle has not any effect on the failure pattern. Also, Brazilian tensile strength is affected by notch orientation and notch length.

육묘용 로봇 이식기의 개발(II) - 이식 그리퍼 - (Development of a Robotic Transplanter for Bedding Plants(II) - Transplantiing Gripper -)

  • 류관희;김기영;이희환;박정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3호
    • /
    • pp.325-332
    • /
    • 1997
  • The use of a robotic transplanter reduces the labor requirement in the greenhouse by carrying out repetitive tasks in an accurate and reliable manner. The transplanter manipulates seedlings by means of end-effector. The end-effector is designed differently from an industrial robot because it manulates biological seedlings of variable size, shape, position, and orient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d-effector of a robotic transplanter for bedding plants. The development of an end-effector included selection of the best finger type for the transplanting operation. The performance of developed end-effector was tested and compared with two different transplanting schemes depending on the leaf-orientation consideration. The end-effector developed in this research reliably handled seedlings during transplanting task. Results showed that the shovel type finger was suitable for transplanting with the damaging seedlings.

  • PDF

가중치를 이용한 국내 석회동굴 발달 방향성 해석법 개발에 관한 연구 (Weighted Analysis Method for Estimating the Orientation of Limestone Caves in Korea)

  • 이상균;박형동
    • 지질공학
    • /
    • 제24권1호
    • /
    • pp.39-52
    • /
    • 2014
  • 다양한 원인에 의해 형성된 석회동굴 내 주굴과 가지굴 등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발달하게 된다. 이러한 원인은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층리나 절리, 단층 등과 같은 불연속면의 영향을 받고 형성된다고 알려지고 있다. 석회동굴에 발달된 방향성은 구간별로 어떤 불연속면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는 확인이 가능하지만, 전체적으로 주된 영향을 준 불연속면과 발달 방향성을 방향을 명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석회동굴의 발달 방향성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연장성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평균 폭 비율법(Average Span Ratio Method)과 개별 발달 비율법(Individual Development Ratio Method)을 새롭게 제안하여 분석하였다. 새로운 분석법을 적용하기 위해 국내 석회동굴 9개를 임의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 방향성 분포만을 해석한 것보다 두 가지 방식을 적용한 해석기법이 동굴 발달 방향성을 더욱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석회동굴의 주 층리각과 평균 폭의 연관성 분석을 통해 주 층리의 경사각이 저각일수록 석회동굴 폭 확장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RMR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각 석회동굴의 지반안정성을 분석하였다.

육묘용 로봇 이식기의 개발(III)-로봇이식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ic Transplanter for Bedding Plants(III)-Development of a Robotic Transplanter)

  • 류관희;이희환;김기영;한재성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7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38-246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obotic transplanter for bedding plants. The robotic transplanter consisted of machine vision system, a manipulator, a gripper and plug tray transfer system. The performance of the robotic transplanter was tested and compared by two different transplanting methods, which were to consider the leaf orientation of seedlings and not to.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cartesian coordinate manipulator for a robotic transplanter with 3 degree of freedom was constructed. The accuracy of position control was $\pm$1 mm. (2) The robotic transplanter with the machine vision system, the manipulator, the gripper and the transfer system was developed and tested with a shovel-type finger. Without considering the orientation of leaves, the success rates of transplanting healthy cucumber seedlings in 72-cell and 128-cell plug-trays were 95.5% and 94.5% respectively. Considering the orientation of leaves, the success rates of transplanting healthy cucumber seedling in 72-cell and 128-cell plug-trays were 96.0% and 95.0% respectively.

  • PDF

기계시각을 이용한 육묘용 로봇 이식기의 개발 (Development of a Robotic Transplanter Using Machine Vision for Bedding Plants)

  • 류관희;김기영;이희환;한재성;황호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5-65
    • /
    • 1997
  • 본 연구는 육묘용 로봇 이식기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계시각에 의한 결주 및 불량묘 판별은 72공 플러그묘판의 경우 98.8%, 128공의 플러그묘판의 경우 94.9%, 잎의 방향을 고려한 경우 72공의 플러그묘판의 경우 93.5%, 128공의 경우 91.0%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2. 로봇 이식기의 기구부와 구동부를 개발하였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개발하였으며, 머니플레이터의 위치제어 정확도는 $\pm$ 1mm로 나타났다. 3. 잎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이식방법에서의 이식성공률은 72공 플러그묘판의 경우 95.5%, 128공의 플러그묘판의 경우 94.5%로 나타났으며, 잎의 방향을 고려한 이식방법에서의 이식성공률은 72공의 경우 96.0%, 128공의 경우 95.0%로 나타났다.

  • PDF

백터계산을 이용한 단층의 이동량 산출법 (A Simple Vector Calculation Method for the True Failt Displacement Distance)

  • 황상기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4호
    • /
    • pp.365-371
    • /
    • 1999
  • Ture diplacement of a fault monement is calculated from the displacement of the index plane such as bedding on an outcrop surface. The input parameters are the orientations of the index, fault, and outcrop planes. It is also necessary to input the orientation of fault striation and the offset distance of the index plane on the outcrop surface. The distances of the total, strike, horizontal and dip slip components of the fault movement are calculated from the input parameters. Hwang(1998) conducted a simlar calculation using trigonoment method. To apply the previous method, the offset distance of the index plane must be measured on a vertical outcrop surface. The calculation method of this study accepts the offset distence of index plane on an outcrop plane of any orientation. Calculation results from both method are indentical, regardless of the simplicity of the new method.

  • PDF

암석의 변형 및 파괴거동의 해석을 위한 균열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Mechanical Crack Model to Analyze Deformation and Failure Mechanism of Rock)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8권2호
    • /
    • pp.96-106
    • /
    • 1998
  • Rock contains discontinuities at all scales. These discontinuities make rock behave in a complex way. This paper discusses a new approach to underground design based on the theory of rock fracture mechanics. The mechanism of deformation and failure of coal was studied by observing the distributions of length, orientation and spacing of the pre-existing as well as stress-induced cracks. Different types of crack information. The crack information is dependent on the scale used. The cracks propagate along the intersections of the pre-existing cracks, and both extensile and shear crack growth occur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the load relative to the bedding planes. An analytical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both shear and extensile crack growth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nonlinear stress-strain behavior of coal including strain-hardening and strain-softening.

  • PDF

퇴적암 내의 지질구조가 비탈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 북서부 지역의 예 (Effects of Geological Structures on Slope Stability : An Example from the Northwestern Part of Daegu, Korea)

  • 고경태;최진혁;김영석
    • 지질공학
    • /
    • 제22권1호
    • /
    • pp.1-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퇴적암지역에서 발달하는 지질구조들이 비탈면의 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과 같이 퇴적암지역 비탈면의 경우, 도로 양쪽의 비탈면이 층리의 경사방향에 따라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인다. 또한 단층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보강공사가 완료된 후에도 지속적인 파괴가 관찰되고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규모 단층에서 비탈면 안정성 조사 시 단층대를 정확하게 인지하기 어려워 새로운 누적절리밀도를 통한 단층대 인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최근 대규모 공사로 인하여 많은 비탈면들이 다면비탈면의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일정한 주향을 가진 대표비탈면들의 방향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비탈면 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각 구간에 따라 다른 비탈면 안정성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는 예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퇴적암지역에서의 비탈면설계 시 층리와 불연속면의 방향 그리고 이들 사이의 상관관계 등 지질구조들의 발달특성을 잘 고려한다면 공사단계에서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공사 후에도 비탈면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우사의 향방에 따른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비육말기 거세한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en Floor Condition Depending upon Housing Orientation on the PerFormance of Finishing Hanwoo Steers)

  • 김동균;정다운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7-46
    • /
    • 2004
  • 본 연구는 우사의 향방에 의한 사육장 바닥면의 조건이 육우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할 목적으로 체중 570kg 내외의 거세한우 16두를 남, 북향 톱밥 자리깃 사육장에 각 8두씩 임의배치하고, 16주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한 후 증체율, 사료효율 및 도축성적을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광성이 양호한 남향 사육장의 바닥면은 시험기간 중 표면의 건조 상태가 좋았으나 햇볕의 효과가 적은 북향 사육장은 결빙기 이전까지 다습하고 불규칙한 표면 상태를 나타내다가 결빙기에는 표면이 심하게 돌출 된 상태로 결빙되어 비육우의 휴식과 거동에 지장을 주었다. 남향 사육장과 북향 사육장에 수용된 거세우의 두당 일 평균 사료섭취량은 각각 10.39kg 및 10.32kg으로서 유의차가 없었으나 일당증체량은 각각 0.75kg과 0.64kg으로 나타나 표면 상태가 불량한 북향사육장이 14.3% 적었으며(p<0.05), 사료요구율은 각각 13.91 및 16.12로서 15.9%가 증가하였다(p<0.05). 또한 증체당 TDN 섭취량(TDN/gain)은 각각 11.47 및 13.25로 나타나 사료이용효율은 15.5%가량 저하되었다. 한편, 남쪽과 북쪽 사육장에서 사육된 거세우간의 출하체중, 도체중량, 도체율, 육량등급 및 육질의 통계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사육장의 위치로 인하여 바닥표면의 상태가 불량한 조건의 깔짚 축적식 우사에서 비육말기 거세우를 사육할 경우, 활동에너지 소비량의 증가와 휴식 시 접촉면을 통한 전도열의 손실요인이 발생하여 증체율 및 사료효율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육우사육에서 축사의 방향 및 지붕자재 선정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