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utiful natural scenery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조선시대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의 유형구분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cenery in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

  • 박찬우;이연희;김재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87-695
    • /
    • 2014
  •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자연풍경(수산(山水))을 그림의 주대상으로 하고 있는 조선시대 산수화 629매를 수집, 그림에 그려진 주대상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산수화는 그림이 그려진 장소에 의해 산, 강, 바다, 도시로 구분되었다. 산에서 그려진 그림은 연봉형(蓮峯型), 다봉형(多峯型), 독립봉형(獨立峯型), 산기암형(山奇巖型), 산계곡형(山溪谷型), 산수변형(山水邊型)으로 구분되었다. 강에서 그려진 그림은 강산형(江山型), 강수형(江水型), 강변형(江邊型), 강기암형(江奇巖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바다에서 그려진 그림은 해변형(海邊型), 해기암형(海奇巖型)으로 구분되었고 도시에서 그려진 그림은 시가지(市街地)파노라마型으로 한 개의 유형이 되었다. 한편 그림이 그려진 장소, 시점(視點)을 통합하여 보면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은 산봉우리의 모습, 산 강 바다 어디에 있던지 기암의 모습, 산 강 바다 모두 물과 뭍이 만나는 곳(강변(江邊) 해변(海邊) 산(山)의 수변(水邊)/계곡 폭포 담)의 모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 유형과 유사한 자연풍경을 갖는 장소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곳이거나 또는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창출이 가능한 곳으로 자연풍경지의 가치에 주목하여 보존과 관리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관광마을 방문객의 공익적 기능 인식 평가 - 경기도 양수리, 주록리, 신론리 방문객을 대상으로 - (The Evaluation of the Green Tourists' Cognition of Function for Public Benefits - The Survey of Visitors' Cognition in Yangsuri and Jurokri, Sinnonri -)

  • 전인철;오형은;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21호
    • /
    • pp.81-90
    • /
    • 2007
  • This study used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Green Tourism.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 the "function of building emoti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 natural environment", the "function of preserving traditional cultures", and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local community" have been selected as the measuring variables. Detailed sub-variables of each function were prepared to examine and analyze the recognition of these are the part of Green Tourists. The Green Tourists of Yangsuri in Yangpyeong, Sinnonri in Yangpyeong, and Jurokri in Yeoju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which 13 variables were used as measure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een Tourists recognize farm villages as places for rest and relaxation and they laid great importance on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out of the 13 measurement variables,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making a contribution to village income", and "trust in agricultural products" greatly influenced the overall evaluation of Green Tourism. Thirdly,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s for public benefits and Green Tourism, it was found that "facilities and activities for experiencing farming", "facilities for rest",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s" are closely related to building the emotion experienced in these villages, and that "cultivating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nd "beautiful scenery in farm villa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function of providing access to the natural environment.

조선시대 지리산 유람록(遊覽錄)에 나타난 경관자원 연구 (A Study on Scenic Resources in Mt. Jiri Documented in the Joseon Era Travelling Records)

  • 이창훈;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3-62
    • /
    • 2014
  • 인간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자연경승지에 주목하고, 그 자연대상지에 의미를 부여하며 가치를 매기는 행위를 통해 명승(名勝)으로 인식해왔다. 자연이 어떻게 명승으로 인식되어 가는가 하는 것은 자연풍토, 사회, 문화, 시대흐름 등에 의해 달라지기 마련이다. 지리산(智異山)은 남한 내륙에서 가장 높고, 가장 넓은 산인만큼 옛 선조들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조선시대 문인들은 수려한 풍광을 배경으로 학문을 수양하거나 학식을 나눌 수 있는 유람처(遊覽處)의 성격으로 지리산을 자주 거론하였다. 조선시대에 지리산을 찾은 문인 학자들의 수는 헤아릴 수 없으며, 이 중에 일부는 자신의 여정을 유람록(遊覽錄)으로 남겼다. 이에 본 연구는 지리산 유람을 즐기며 기록되었던 유람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지리산 천왕봉 유람경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당시 조선시대 문인들의 시각에 보여졌던 경관자원의 가치를 알아보자 하였다. 지리산의 경관자원은 산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동기나 욕구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이러한 변화는 더이상 선인들이 다녔던 길의 답습의 개념이 아닌 새로운 탐방로의 개척과 편리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과거와 현재 사람들이 생각하는 명승의 개념은, 이용하려는 동기와 목적에서 차이를 보이더라도 넓은 의미의 명승의 범주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유람경로와 경관자원 중 인물사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문인의 경로는 '선현(先賢)들의 발자취 개념'을 응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문화관광콘텐츠 개발을 통해 지역의 활성화 및 경제적 자립도 향상에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Scenic Loss and Preservation of District Shrines at the Fringe of Tokyo

  • Poggendorf, Lorenz
    • 한국조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경학회 2007년도 Journal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Asia Vol.3
    • /
    • pp.99-104
    • /
    • 2007
  • With their deity groves, Japanese Shinto shrines form unique green spaces. Further, many shrines are located between a settlement and the rural or natural environment. This location relates to the nature-worship of the Shinto tradition. However, when visiting present shrine precincts,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their original landscape location and green space is impaired by urban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the point how the scenic condition of district shrines at the fringe of Tokyo is challenged in the present, and presents an example of a successful preservation in the urban area. The key point of such preservation is that it goes beyond the shrine precinct itself. If there still exists a natural or beautiful scenery next to a shrine with some distinct historical or religious relationship, both shrine and scenery should be preserved together.

  • PDF

A Study of Development and Production of Relaxing VR Content

  • Kim, Mij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94-203
    • /
    • 2021
  • Virtual reality is being increasingly used for healing and therapy for mental health. In this study, we developed VR-based immersive content that enables virtual travel without the limitations of time and physical conditions. We aim to develop and produce VR content for relaxation and meditation using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To make realistic and immersive content, we took a video of natural sceneries with a small UAV connected to a VR camera. The content was developed through stitching, video editing and post-processing of the initially captured video data, and then the created VR video was inserted into the VR device. The produced content will be helpful for stress and used to heal the mind and body of exhausted modern people by providing the place with great scenery and sound in an immersive way at any time.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00-308
    • /
    • 2015
  • 국내에서는 2007년 경관계획제도가 시작되었다.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산림경관 관리의 계획적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나 산림경관계획은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식견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산림경관요소의 도출과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요소(산림경관유형)는 4개의 중분류(지형자원, 수자원, 식생자원, 인문자원)와 12개의 소분류(지형자원:능선 파노라마, 기암봉우리와 암릉, 수자원:폭포, 계곡과 계류, 호수와 도경, 식생자원:수관층 풍경, 주능선의 철쭉, 능선사면의 단풍, 초본군락의 꽃밭, 임내풍경, 숲길풍경, 인문자원:시설물)로 구성되었다.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제안사항으로 유형별 계획 단계의 경관권역계획 작성 시 산림의 6개 기능의 검토 필요성과 요소별 계획단계에서는 주능선, 계절감, 산림수변, 암석자원 경관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경관계획에 대한 인식과 경관행정의 전개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지역 경관관련 전문가 및 공무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Urban landscap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 Survey of Specialists & Public Officers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Korea -)

  • 유창균;양동현;조용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75-80
    • /
    • 2002
  • To make more beautiful and exciting scenery of a city, the design of private buildings has to be controlled in a way to improve the public amenity by the proper design of buildings ensuring views to natural assets in the city. And it is important to provide an urban landscape solution, while solving the afflictions of architects between their dream in individual architecture and the significances of Urban landcape as a whole.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of the experts and public officers in the field of Urban landcap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in G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in Korea. The search reveals the following fact. Comparing the fact that some of foreign countries have proper systems of planning, regulations, guidelines, and design award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landcape long time ago, the systems of Urban landcape planning and related administration in Korea is still in a primitive stage, due to the lack of the consideration of loc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variety of solutions, and setting of goals and objectives. Consequently, public enlightening of the importance of Urban landcape and the development of relevant contents in Urban landcape planning and administration are mostly required, to build up the system that can allow people to live in beautiful and good scenery of a city.

누정의 기능에 따른 누정시조의 특성 (The Characters of Pavilion Si-Jo According to its Function)

  • 남동걸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0집
    • /
    • pp.75-96
    • /
    • 2004
  • 누정은 대체로 승경의 요처에 자리하여 상자연의 풍류를 극대화하고 있는 장소이다. 이러한 곳이기에 조선조 사인들은 누정을 소유하는 것이 평생의 꿈이었다. 그러므로 누정과 관련된 문학작품은 여러 장르에 걸쳐 많을 수밖에 없다. 여기서는 누정시조를 누정의 기능과 관련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누정은 경관이 좋은 곳에 자리 잡고 있음으로 산수자연을 감상하기에 좋은 장소이다. 사방이 트인 공간이기에 돌아다니면서 경관을 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누정시조에서의 산수자연은 여타의 산수유람 시조의 감상태도와는 차이가 있다. 즉 산수유람 시조는 장소를 이동하면서 산수자연을 감상하는 모습이 나타나는 반면 누정시조는 한자리에서 '눈돌리기‘만으로 산수자연을 앙관, 부찰, 원망한다는 점이 다른 것이다. 둘째, 누정은 학문수양 및 강학의 공간으로 기능하기도 한다. 누정은 상대적으로 막히고 답답한 공간인 서원에 비해 교육효과가 높을 수 있다. 그러기에 이곳은 학문수양과 강학을 하는 등 서원과 같은 역할을 했다. 더 나아가 산수자연을 감상하면서 그 속에서 자연의 이치를 깨닫기도 하고 호연지기를 기르는 공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유형의 시조는 대부분 한시와 같이 전해지며 성현의 이름이나 고전의 문구가 작품 속에 등장한다는 특징을 지닌다 셋째. 누정은 계회 및 시회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누정 주인의 요청에 의해 시적 교류가 이루어지고 이런 시적교류는 후에 시단 및 가단 형성의 중요한 동기가 된다. 넷째, 누정은 유오적 주연의 기능을 한다. 단순한 유오적 주연의 공간이라 하더라도 개방적인 누정의 특성상 사대부로서의 일탈된 면모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누정이라도 폐쇄성이 있는 경우는 사대부들의 긴장이 이완된 형태의 작품이 나타나기도 한다.

  • PDF

중국 전통마을의 경관 특성과 시사점 - 병산촌을 대상 지역으로 -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Suggestions in Chinese Traditional Village - Cases Study of Ping-shan Village -)

  • 화이캉;장병관;윤주철
    • 농촌계획
    • /
    • 제22권2호
    • /
    • pp.67-75
    • /
    • 2016
  •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 through the landscape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analysis about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landscape in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It was studied natural landscape, life landscapes, agricultural production landscapes and symbols landscap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The results of Chinese traditional village's landscape characteristic was First,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located on the basis of Feng-Shui settings. Second,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clan-based. Third, It is composed of a large green space on the outskirts of the village. Four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typical channel village. Fif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iving landscape with various features. sixth,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a lot of space to agricultural production, most of the arable land surround village. Suggestions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are as follows ; First, proposes actively re-design on the base of defense fengshi landscape interpreted as a modern sense. Seconds, when large-scale farmland project is established in Korea, you can expect to gain knowledge from traditional Chinese village spacing. Thirds, It seems to require a study of the public space for festival. in the case of china, ancestral shrine space is center and space for festival. Fourth, It was important to seek knowledge about protection for frequent in flood plains in Korea's traditional village.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well-known for housing with contact water, connected channels and beautiful defense pond. Fifth, for improving Korea's traditional village scenery, we need to make various focus landscape features. Most of the visitors to Ping-shan traditional village was interested in the big and small beautiful landscapes and shelters.

자연어메니티가 인구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lation of the Natural Amenity and Population Change)

  • 박미정;정남수;장민원;이정재
    • 농촌계획
    • /
    • 제14권4호
    • /
    • pp.1-9
    • /
    • 2008
  • Many urban people are attracted to the recreational opportunities and attractions of rural areas, such as beautiful scenery, lakes, mountains, forests, and resorts. Furthermore, rural development planning increasingly emphasizes the integration of resource extractive industries with non-market-based recreational and amenity values. This article outlines a method to estimate an amenity level of rural areas such as natural amenities index and shows the relation of the natural amenity and population growth. The results revealed that natural amenity classifying each region can be explained with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temperature-humidity, and sunshine duration time. In analysis with population, natural amenity does not exactly explain that but can be one of the important factor of population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