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eam(supports)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2초

일출목 초익공 공포의 기원과 변천 (The Origins and Changes of One Chulmok-One Ikgong Bracket-Sets in the Joseon Dynasty)

  • 전해완;류성룡
    • 건축역사연구
    • /
    • 제29권3호
    • /
    • pp.79-90
    • /
    • 2020
  •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e Gong-po style is divided into the Jusimpo, Dapo and Ikgong. Jusimpo and Chulmok-Ikong, where only Gong-po is placed on the column, differ in form of Gong-po depending on the viewpoint. Since 'Chulmok-Ikgong' has been generally regarded as 'One Chulmok-Two Ikgong', the precedent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mainly on 'One Chulmok-Two Ikgong' in the Gong-po style classific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One Chulmok', the style of Ikgong can be organized from the one to three steps and this study is particularly for examining the occurrence and transformation of 'One Chulmok-One Ikgong'. One of the case study sites, Bonghwa Cheongamjeong was originally built in the 16th century, and is believed to have been repaired from 'Non Chulmok-One Ikgong' to 'One Chulmok-One Ikgong'. Since the beam linked directly to the upper part of a capital, it does not connect the eave trave(architrave) in between. Also, Soro which supports Jangyeo(the architrave strip) has been placed and linked in comparatively lower position. It is confirmed by the signigicant difference in the hierarchy of Gong-po forms in one architecture. The Jeonju-Hyanggyo Daeseongjeon, which was built in the 17th century among the subjects, was similar with 'One Chulmok-One Ikgong', but it was found to be the type of Jusimpo form because the bottom of the beam and the top of the Ikong are apart. And Gongan is confirmed at Cheomcha. In the 17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Heot-Cheomcha disappeared and Ikgong was started to use as a constant figur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it can be seen that it was changed into a ornament added on Haeng-gong, being seen in the case of Hwaseong Dongjangdae.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One Chulmok-One Ikgong' were developed in both the Jusimpo and Ikong style. The transformation into 'One Chulmok-One Ikgong' was inevitable consequence related with an eleva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ve trave and the column trave.

고장력 인장봉으로 보강된 RC 보의 휨 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3) (An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Behavior of RC Beams Strengthened with Hi-Strength Bars(3))

  • 신경재;김윤정;문정호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351-358
    • /
    • 2007
  • 현재 상용되고 있는 강판 보강법이나 탄소섬유 시트 부착 보강법과는 달리, 고장력 인장봉을 이용한 외부 비부착 방식의 보강법은 설치가 간단하고 시공 시간이 짧은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 비부착 보강법은 콘크리트 표면처리가 필요 없고 에폭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적다. 지난 연구에 이어 본 연구에서는 보강된 RC보에 관한 총 9개의 실대형 시험체를 변수별로 제작하여 여러 변수가 실제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시험체의 주요 변수는 보강재의 크기와 전단 보강근의 간격, 지지 조건이다. 본 논문에서는 보강된 RC 보의 구조적 거동을 무보강 시험체와 비교하여 기술하였다. 실험 결과 고장력 인장봉으로 보강된 RC보는 무보강 시험체와 비교하여 강도와 휨 성능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전단 보강근이 과소 배근된 시험체에서도 고장력 인장봉에 의한 전단 내력 효과를 보였다.

해저(海底)파이프라인의 정적(靜的) 비선형(非線形) 해석(解析) (The Static Nonlinear Analysis of the Offshore Pipeline)

  • 박영석;정태주;조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7-69
    • /
    • 1990
  •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기하학적(幾何學的) 비선형성(非線形性)을 고려(考慮)하여 해저(海底)파이프라인을 설치(設置)하는 동안의 정적(靜的) 해석방법(解析方法)을 제시(提示)하였다. 해석(解析)방법(方法)으로는 유한요소법(有限要所法)을 사용(使用)하였으며, 기본방정식(基本方程式)은 최소위치(最少位置)에너지의 원리(原理)를 사용(使用)하여 유도(誘導)하였다. 평형방정식(平衡方程式)의 해(解)는 modified Newton-Raphson방법(方法)을 사용(使用)하여 구(求)하였다. 파이프라인요소(要素)의 유한변위(有限變位) 및 회전(回轉)과 축방향력(軸方向力)의 영향(影響)이 고려(考慮)되었고 경계조건(境界條件)은 스프링요소(要素)를 사용(使用)하여 모델화(化)하였다. 해석(解析) 적용례(適用例)에서는 다이아몬드형(形) 프레임, 곡선(曲線)외팔보와 해저(海底)파이프라인을 설치(設置)하는 동안의 정적(靜的) 해석례(解析例)를 다루었으며 다른 방법(方法)에 의(依)한 해석결과(解析結果)와 비교(比較)하여 본(本) 연구(硏究)의 정당성(正當性)을 입증(立證)하였다.

  • PDF

부모멘트부의 효율성을 고려한 외부강선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거더 연속교의 거동 (Structural Behavior of Concrete Girder Continuous Bridges Strengthened with External Tendons Considering the Efficiency at Negative Moment Region)

  • 한만엽;조병두;전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555-56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연속 거더교의 외부강선 보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을 도출하였다. 등가하중개념을 적용하여 기존 방법 대비 제안된 보강 방법의 개선점을 명확히 분석하였다. 보강 효과의 검증을 위해 연속보의 외부강선 보강 실험을 실시하여 외부강선에 의한 내하력 향상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속보 실험체는 콘크리트 거더 연속교의 일반적인 시공법과 동일하게 바닥판 슬래브 부분만을 연속화하여 제작하였다. 실험 결과 동일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할 때 외부강선이 보강된 실험체는 보강되지 않은 실험체에 비해 처짐이나 변형률이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부재의 강성도 또한 증가하였다. 특히 제안된 방법은 연속교 중간 지점부의 부모멘트에 의한 바닥판의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완전밀폐식 LNG 저장탱크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한 강도안전 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Safety Analysis of a Full Containment LNG Storage Tank Due to a Wind Pressure)

  • 김청균;정남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6-41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완전밀폐식 LNG 저장탱크의 외부탱크 측벽면과 지붕 구조물에 대한 강도안전성을 유한요소법으로 해석하였다. 예응력 콘크리트 구조물로 건설된 외부탱크는 내부탱크의 붕괴로 인해 발생하는 LNG 유체정압과 유체동압, 그리고 태풍을 포함한 외부의 풍압하중을 받는다. FEM 해석결과에 의하면, 외부탱크의 측벽면과 지붕 구조물이 서로 연결되는 링빔 구조물은 저장탱크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내 외부 하중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결과는 외부탱크의 설계 포인트를 링빔에 두고, 그 다음은 지붕구조물의 중심부에 대한 설계 안전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완전밀폐식 LNG 저장탱크 해석에서 사용한 해석모델은 LNG 누설에 의한 내부압력 및 태풍과 같은 외부압력이 결합된 복합하중에서도 안전한 강도안전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모멘트 분포 형상에 따른 철근콘크리트 단순보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Moment Distribution Shape on the Effective Moment of Inertia of Simply Supported)

  • 박미영;이승배;김강수;김상식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329-332
    • /
    • 2008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사용성을 검토할 때 처짐은 가장 중요한 사항 중 하나이며, 철근콘크리트 휨 부재의 처짐은 일반적으로 유효 단면2차모멘트의 개념을 적용하여 구해진다. 기준에서 유효 단면2차모멘트는 Branson이 제안한 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식은 등분포하중을 전제로 제안된 식이므로 다른 하중상태에서 기준식의 정확성에 대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강도와 지점에서부터 가력점까지의 거리를 주요변수로 하여 총 6개의 철근콘크리트 보 실험체를 제작하여 구조실험을 수행하고, 실험결과를 기준식 및 다른 연구자들이 제안한 식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보의 유효 단면2차모멘트는 모멘트 분포 형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며, 일반강도 실험체보다 고강도 실험체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실험체에 대하여 이론값들이 실험으로부터 구한 유효 단면2차모멘트를 근사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일축대칭 비조밀 스텝 I형보의 비탄성 좌굴강도 산정을 위한 단순방법 (An Alternative Simplified Approach in Solving for the Inelastic Buckling Strengths of Singly Symmetric Non-Compact Stepped I-Beams)

  • 셰인;박종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123-13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비조밀 플랜지 단면이 적용된 일축대칭 스텝보의 비탄성 횡-비틀림 좌굴에 대한 새로운 설계식을 제안하였다. 범용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와 회귀분석프로그램인 MINITAB을 사용하여 설계식을 도출하였다. 실험 및 해석에 적용된 매개변수는 플랜지 보강의 길이변수(${\alpha}$), 폭변수(${\beta}$), 두께변수(${\gamma}$)와 비지지길이 비($L_b/h$)가 고려되었으며, 경계조건은 스텝보의 양단을 횡지지하고 힌지/롤러 경계조건 즉 단순보 경계조건을 적용하였다. 제안식 및 해석결과와 비교하기 위한 실험의 경우, 실험체 지간 중앙에서 같은 거리에 있는 2점 하중을 상부플랜지에 가력하여 거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설계식은 실험결과와 유한요소해석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합리적인 설계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조밀플랜지단면이 적용된 일축대칭 스텝보의 횡비틀림좌굴을 계산하는 데 신뢰성 있는 안전한 값을 나타내고 있다.

내목도리 지지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ing Method of the Nemok-dori)

  • 허경도;정명섭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3호
    • /
    • pp.69-78
    • /
    • 2020
  •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the role and relation of the Nemok-dori support members in order to clearly specify the structure of the Dapogye architecture which adopts the Nemok-dori. The dori at the eaves in the Dapogye architecture was expanded to include Oemok-dori, Jusim-dori and Nemok-dori in cooperation with the bracket. The Oemok-dori is used to lengthen the eaves and the Jusim-dori makes the reasonable transfer of loads while the Namok-dori contributes to the stability of the building through the balancing of the bracket. Nemok-dori is located higher than Oemok-dori or Jusim-dori, depending on the slope of Jangyeon and the distance of Chulmok. But as it is not directly supported by bracket or beam, it needs an independent support. The vertical support of Nemok-dori is selectively involved with Cheomcha, lower Jangyeo, support Wall and upper Jangyeo. As the time went by, the vertical height increased, thus making the omitted members les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is made in various ways. There are also special cases such as the Nemok-dori □ type chain structure for small rectangular buildings, the 'Nemok-dori = Jung-dori' type for the buildings having small sides and the 'Nemok-dori = Meongechangbang' type appearing on the lower part of the Bankanmulrim type middle height buildings. The horizontal support of Nemok-dori usually uses either the support of the Toeryang type member, the support of beam directed Hwaban or the support through overlaying of internal Jegong. As the time went by and the number and distance of Chulmok increased, the multiple support structures acted together rather than as one support structure. Nemok-dori got stabilized as it has bot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supports and this support structure also has he role of decoration.

Differential transform method and Adomian decomposition method for free vibration analysis of fluid conveying Timoshenko pipeline

  • Bozyigit, Baran;Yesilce, Yusuf;Catal, Seval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62권1호
    • /
    • pp.65-77
    • /
    • 2017
  • The free vibration analysis of fluid conveying Timoshenko pipeline with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using Differential Transform Method (DTM) and Adomian Decomposition Method (ADM) has not been investigated by any of the studies in open literature so far. Natural frequencies, modes and critical fluid velocity of the pipelines on different supports are analyzed based on Timoshenko model by using DTM and ADM in this study. At first,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of motion of fluid conveying Timoshenko pipeline in free vibration are derived. Parameter for the nondimensionalized multiplication factor for the fluid velocity is incorporated into the equations of motion in order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natural frequencies. For solution, the terms are found directly from the analytical solution of the differential equation that describes the deformations of the cross-section according to Timoshenko beam theory. After the analytical solution, the efficient and easy mathematical techniques called DTM and ADM are used to solve the governing differential equations of the motion, respectively. The calculated natural frequencies of fluid conveying Timoshenko pipelines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boundary conditions using DTM and ADM are tabulated in several tables and figures and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Analytical Method (ANM) where a very good agreement is observed. Finally, the critical fluid velocities are calculated for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 and the first five mode shapes are presented in graphs.

철근콘크리트 보의 고강도화에 따른 전단거동에 관한 연구 (Shear Behavior of R.C. Beams according to Increase of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 윤영수
    • 콘크리트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190-198
    • /
    • 1994
  • 보통강도, 고강도 및 초고강도 철근콘크리트보의 콘크리트 강도 증가에 따른 전단거동을 검토하였다. 360, 670 및 870kg/$cm^2$의 콘크리트 강도를 갖는 총12개의 실물크리 공시체의 전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전단철근의 양도 현행 ACI 318-89규정값에 근거하여 변수로 정하였다. 이러한 각 시험체의 전단거동은 극한전단강도, 연성거동, 보유내력등으로 분석하고 파괴양상을 고찰하였으며, 규준식에 의한 극한전단강도의 예측치와 실험 결과의 비교 검토를 행하여, 콘크리트 강도증가에 따른 향후 철근콘크리트 보의 전단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