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sketball wheelchai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s of leucine-enriched essential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muscular fatigue and inflammatory cytokines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 An, Young Hwan;Kim, Jisu;Kim, Hee-Jae;Lim, Kiwon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8-46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ucine-enriched essential amino acid (LEAA) supplementation on muscle fatigue and the level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after a basketball game and interval training. [Methods] Of the ten recruited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aged 34.5±8.9 years; lean body mass of 34.3±10.0 kg) who had spinal cord injury (SCI) and had undergone amputation, nine participated in the final test. These nine athletes received LEAA supplements (3 times 4.0 g/day) or placebo treatment in a double-blind, randomized, crossover study. We measured variables related to muscular fatigue and inflammatory response before the intense exercise and 4 days after recovery. [Results] The significant effect of LEAA supplementation was inhibition of circulating IL-6 levels in the LEA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P < .05). However,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TNF-α and creatinine kinase levels. Moreover, analysis of variance analysi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lative values of muscle soreness. However, the effect size analysis with Cohen's d repor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relative values of whole body and back muscle soreness. [Conclusion] Our results revealed that LEAA supplementation before and after intense exercise could help reduce muscle soreness and IL-6 levels in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휠체어 농구 자유투 동작시 상지분절의 운동학적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f the Upper-limb Motion of Wheelchair Basketball Free Throw Shooting)

  • 한희창;윤희중;이훈표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1-197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inematic analysis of the upper-limb motion of wheelchair basketball free throw shooting. Three-dimensional kinematic data were obtained from 8 male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performing a successful free throw. Player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IWBF classification(Group 1: 1 point players, Group 2: 2-2.5point players and Group 3:3.5-4 point players) Wheelchair basketball free throw motions were taken by video camera.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was processed by DLT. Players from Group 1 and 2 tended to release the ball from a lower height, with greater velocity and release angle. Players from Group 1 showed greater shoulder horizontal adduction and horizontal abduction angle, wrist ulnar flexion and radial flexion angle, and trunk angle. but players from Group 2 appeared lower shoulder abduction. Upper limb angular velocity showed most greatly in hands from Group 1, upperarm from Group 2, and forearm from Group 3.

지체장애인의 휠체어농구 동호회 참여 동기 및 저해 요인 (Physically Disabled Persons'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Wheelchair Basketball Club and the Hindrance Factors of Participation)

  • 장철승;김두영
    • 재활복지
    • /
    • 제21권1호
    • /
    • pp.279-299
    • /
    • 2017
  • 이 연구는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이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는 무엇이고, 참여를 저해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 경남, 제주 등에서 현재 휠체어 농구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회원 1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최종적으로 144명이 응답한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동기를 조사 분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건강지향형, 사교지향형 참여 동기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동기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취미오락형 참여 동기의 경우 주거 그룹,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개발형 참여 동기의 경우 연령, 직업 유무, 주거 그룹,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인의 참여 저해요인을 조사 분석한 결과, 구조적 요인이 가장 큰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동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동호회 참여 정도에 따른 참여 저해 요인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내재적 요인의 경우 연령, 최종학력, 직업 유무, 동호회 참여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지체장애인 휠체어농구 동호회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하였다.

휠체어 디자인 특성에 따른 효율의 차이 규명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mechanical efficiency from design characteristics of wheelchair)

  • 임비오;문영진;은선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09-11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the mechanical efficienc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ketball wheelchairs(cambers & size of the handrims). Nine healthy and normal wheelchair basketball players who had no impairments to their upper extremitie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VO_2$ was collected using automatic gas analyzer(vmax29). Gross efficiency, net efficiency and work efficiency were analyzed from the calculated external power output and energy expenditure. The results were followed. First, gross efficiency in the basketball wheelchairs was observed across the range from 4 to 10%. Gross efficiency in this study showed less values than that from the literature reviewed in the arm cranking(15%), racing wheelchair(above 30%), gait(27%) and cycling(18-23%). Second, the small size of handrim(61cm) at the 16 degrees of camber produced higher efficiency values than the large size of handrim(66cm) whereas the different sizes of handrim at the 20 degrees of camber did not show any pattern. Third, both faster speed($1.11^m/s{\rightarrow}1.39^m/s$) and increases in treadmill inclination produced increases in energy expendi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not only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cal efficiency with adequate camber degree and proper size of handrim but also fundamental information for manufacturing the wheelchair.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ree basketball wheelchairs on propulsion movement)

  • 임비오;유연주;서정석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15-227
    • /
    • 2002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 휠체어 농구 선수 8명을 대상으로 추진 및 방향전환 동작의 소요시간 측정 및 운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포지션별 농구용 휠체어가 추진동작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있다. 포지션별(포드, 센타, 가드) 휠체어의 한 주기(핸드림 접촉에서 다음 핸드림 접촉까지)를 2차원 DLT 방식을 이용하여 구하고자 하는 변인을 산출하였다. 가드용 휠체어는 직선 구간 및 방향전환 구간 모두에서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센타용 휠체어는 방향전환 구간에서 제일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가드용 휠체어는 손이 TDC(Top Dead Center)에 더 가깝게 접촉하며, 더 오랫동안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며, 분당 추진빈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센타용 휠체어는 손이 TDC에서 가장 멀리 접촉하며, 가장 짧은 범위에서 핸드림에 힘을 가해서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드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굽히고 몸통을 가장 많이 세우며, 센타용 휠체어는 핸드림 접촉시 팔꿈치를 가장 많이 펴고 몸통을 많이 굽히며 핸드림 이지시 가드용 휠체어에 비해 팔꿈치를 많이 펴는 것으로 나타났다. 휠체어 추진시 좌석의 높이가 가장 낮은 가드용 휠체어는 포드용 및 센타용 휠체어보다 팔꿈치 및 몸통각의 범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몸통 최대 각속도에서 가드용 휠체어는 다른 휠체어와 비교해서 가장 큰 값을 나타냈다.

융복합을 활용한 휠체어 트레드밀과 암에르고미터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농도 비교 (A Comparison of Cardiopulmonary Function, RPE, and Blood Lactate following in Wheelchair Treadmill and Arm Ergometer GXT Test through Convergence)

  • 장홍영;김종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553-561
    • /
    • 2016
  • 본 연구는 비장애인 휠체어 농구 선수 11명을 대상으로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심폐기능, 운동자각도 및 젖산 농도를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휠체어트레드밀과 암 에르고미터의 점증부하운동검사 시 호흡가스분석기와 무선 심박수 측정기를 사용하여 심폐기능을 알아보았으며, 보그 스케일을 이용하여 운동자각도를 측정하였고, 젖산 분석기를 사용하여 안정 시, 운동직후, 회복기 2분, 4분, 6분, 10분의 혈중 젖산 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데이터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통하여 종속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폐기능 변인 중 최대산소섭취량은 암 에르고미터가 높게 나타났으며, 호흡교환율은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심박수는 휠체어트레드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운동 강도에서는 종료 점에서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 직후 암 에르고미터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Semiotics Approach to TV Advertisement of Disabled Model)

  • 이지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327-335
    • /
    • 2015
  • 본 연구는 광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해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레마스 기호사각형의 특징에 따라 장애인모델 TV광고에 대한 소비가치의 흐름은 보호적 가치에서 비-보호적 가치, 존재적 가치, 비-존재적 가치 순으로 움직이고 다시 보호적 가치로 ${\infty}$과 같은 형태로 이동하게 된다. 기호학적인 관점에서 네 편의 장애인모델 TV광고를 분석한 결과, SK텔레콤 TV광고(휠체어 농구편)는 존재적 가치, 아이폰4의 TV광고(연인편)는 비-보호적 가치, 삼성증권 TV광고(캠페인편)는 보호적 가치, 그리고 쏘나타 자동차 TV광고(쏘나타 터처블 뮤직시트)는 비-존재적 가치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