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nyard manur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축산분뇨 처리비용 및 CDM 사업 적용시의 경제성 분석 (An Analysis of Livestock Manure Management Cost and Economical Efficiency by applying CDM)

  • 윤성이;이정민;황재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7-398
    • /
    • 2007
  • The objectives of this thesis were to search for effective methods of the livestock manure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the livestock manure management cost and prepare for cuts in greenhouse gases emission by applying CDM in the fields of livestock in 2013. In the situation where most farmhouses are disposing the pig manure by ocean disposal, it is urgent to make an alternative plan since ocean disposal will be prohibited from 2012. Biogasplant is being highlighted from the point that can produce heat and electricity by using methane generated when the manure is disposed, and that can produce barnyard manure and liquid manure. As biogasplant generates energy using methane, it will contribute to decreasing global warming with the effect of greenhouse gases reduction, and trading emission reductions through CDM will result in creating revenue.

  • PDF

유기자원에 따른 양분수지 및 작물생산 (Nutrient Balance and Vegetable Crop Production as Affected by Different Sources of Organic Fertilizers)

  • ;;;이상민;성좌경;신재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3
    • /
    • 2009
  • 농경지내 유입된 다양한 양분원의 양분수지에 대한 정보는 농경지의 지속성을 평가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본 연구는 질소, 인산 및 칼리의 양분수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2005년부터 2007년까지 5작기 동안 인도네시아 서자바섬 Eutric Hapludand에 있는 채소유기재배포장에서 수행되었다. 유기자원으로 우분, 염소분, 계분 및 마분 등 가축분퇴비, 티토니아, 식물잔사 및 크로타라리아 등 10개의 처리를 완전임의구획배치 3반복으로 하였으며, 유기자원의 시용량은 작물반응에 따라 매 작기별로 달리 처리되었다. 가축분퇴비를 ha당 20톤 이상 시용하였을 때, 질소, 인산 및 칼리에 대하여 양의 양분수지를 보였다. 식물잔사를 ha당 20~25톤 또는 티토니아 퇴비를 ha당 5톤 시용하였을 때, 칼리는 음의 양분수지를 나타냈다. 토양 중 유효인산함량은 ha당 25톤 이상의 가축분 퇴비처리에서 증가하였으며, 특히 계분퇴비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국, 작물의 수량은 질소, 인산 및 칼리함량이 높았던 계분퇴비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식물잔사처리구에서 가장 낮았다. 가축분퇴비의 ha당 12.5톤 시용, 가축분퇴비(12.5톤/ha)와 티토니아 혼합처리 및 티토니아와 식물잔사 혼합퇴비처리구의 작물수량은 ha당 25톤의 가축분퇴비를 시용한 처리구와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장기적인 관점으로 볼 때, ha당 25톤의 우분, 염소분 및 마분퇴비 또는 ha당 20톤의 계분퇴비 시용은 유기농 채소생산을 위해 필요로 하는 토양의 비옥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oil Characteristics of Newly Reclaimed Tidal Land and Its Changes by Cultivation of Green Manure Crops

  • Lee, Kyeong-Bo;Kang, Jong-Gook;Lee, Kyeong-Do;Lee, Sanghun;Hwang, Seon-Ah;Hwang, Seon-Woong;Kim, Hong-Kyu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9-135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oil characteristics of newly reclaimed tidal land and the effect of green manure crops on soil properties. Summer green manure crops such as sesbania (Sesbania grandiflora), barnyard grass (Echinochloa spp.) and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orghum bicolor L.) were cultivated at Hwaong, Ewon, Saemangeum and Yongsangang area. Soil pH of reclaimed tidal land was relatively high, but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orus contents were lower compared to the optimum range for common upland crops. Soil nutrient contents were unbalanced for upland crop growth. Yield of green manure crops had a wide spatial variation. Nitrogen content in green manure crops was the greater in Sesbania and it was estimated that major nutrient ($N-P_2O_5-K_2O$) supply amount were 150-40-370, 220-50-170 and 140-50-250 $kg\;ha^{-1}$ from sorghum${\times}$sudangrass hybrid, sesbania and barnyard grass, respec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desalination is required to grow the upland crops at newly reclaimed tidal lands and management practices are necessary to reduce the salt damage by resalinization during the growing seasons. To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increase the nutrient utilization rate,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need to be improved to the level for upland crops by application of organic matter and fertilizer.

간척지 토양개량을 위한 내염성 식물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Salt-Tolerance Plant for Improving Saline Soil of Reclaimed Land)

  • 이경보;강종국;;이덕배;박찬원;김재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3-180
    • /
    • 2007
  • 본 연구는 간척지 친환경농업 기반조성을 위하여 신간척지 토양개량을 위한 내염성 식물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국내외에서 내염성 식물 18종을 수집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신간척지 토양에서 파종된 식물의 출현율은 FL478(벼)>Barnyard grass>Pokkali>Atriplex>Sesbania>Rumex>Alfalfa>Tall Fescue>Ryegrass>Sudan grass의 순이었다. 신간척지 토양에서 생육후기까지 생육이 가능한 식물은 Limonium, Atriplex, Barnyard grass 및 Sesbania 등 4종이었다. Barnyard grass의 생체중은 $1.21kg\;m^{-2}$, 건물중은 $0.48kg\;m^{-2}$이었다. Sesbania의 생체중은 $1.55kg\;m^{-2}$, 건물중은 $0.68kg\;m^{-2}$로 가장 많았으며, Atriplex의 생체중은 $1.04kg\;m^{-2}$, 건물중은 $0.42kg\;m^{-2}$이었다. 그리고 Limonium의 생체중은 $1.04kg\;m^{-2}$, 건물중은 $0.32kg\;m^{-2}$이었다. Sesbania와 Barnyard grass를 시용한 결과 인산함량은 시험전 $62.5g\;kg^{-1}$에 비하여 각각 $76.1g\;kg^{-1}$, $78.1g\;kg^{-1}$으로 증가하였다. 유기물함량은 시험 전 토양이 $2.65g\;kg^{-1}$이었지만 내염성 식물을 시용함으로서 $2.81{\sim}4.60g\;kg^{-1}$으로 증가하였다. 녹비 시용 전 토양 용적밀도는 $1.42Mg\;m^{-3}$이었으나 Sesbania와 Barnyard grass를 시용한 토양의 용적밀도는 $1.39Mg\;m^{-3}$로 낮아졌다.

가축 분 퇴비화과정의 온도에 따른 잡초종자 발아억제 효과 (The Effect of Temperature of Compost on the Germination Inhibition of Weed Seeds during Livestock Manure Composting)

  • 정광화;김기용;이동준;이동현;곽정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25-330
    • /
    • 2018
  • 본 연구는 퇴비단 내에서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 억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염소 분 퇴비, 젖소 분 퇴비 그리고 한우 분 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를 거즈에 싸서 퇴비단 내에 묻어놓고 1.5일, 3일, 10일, 20일 경과 후 종자를 회수한 뒤 발아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은 가축 분의 종류와 퇴비화 방법에 관계없이 퇴비단의 온도와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가 $60{\sim}70^{\circ}C$인 조건의 퇴비단에서 1.5일 동안 머무른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는 발아력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반면에 퇴비단 최고 온도가 $51^{\circ}C$ 이하인 퇴비단에서는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가 퇴비단 내에서 20일간 머무른 후에도 10 % 정도의 발아력을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가축 분 퇴비화단계에서 최소 $55^{\circ}C$ 이상의 온도를 3일 이상 유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퇴비단 온도가 $60{\sim}70^{\circ}C$ 정도 상승한다면 약 1.5일 정도 체류하는 것으로도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퇴비화 방법을 기준으로 보면, 호기적 퇴비화 방법이 퇴비단의 온도상승기간이 더 짧았다. 따라서 호기적 퇴비화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소리쟁이 종자와 피 종자의 발아력을 억제하는데 더 효율적일 것이다.

콜레스테롤합성저해제 lovastatin을 생산하는 곰팡이 균주의 탐색 (Screening of Fungal Strains Producing Lovastatin, an Antihypercholesterolemic Agent)

  • 방인영;황승환;김정완;김상용;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2-446
    • /
    • 2003
  • 인천광역시의 일대와 강화도, 백령도, 제주도 등 한국 토양으로부터 순수분리된 200여 종의 곰팡이 균주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저해제인 lovastatin의 생산 여부를 확인하였다. Lovastatin 생산은 rapeseed meal이 함유된 RPM 배지를 사용하였고 TLC와 HPLC를 사용하여 lovastatin의 생산을 조사하였다. 결과 200여 균주 중 9개의 균주만이 lovastatind을 생산하였고, HPLC로 확인한 결과 삼성리 퇴비 균주(ISR)에서 25.52 mg/L의 생산량을 보였다. 포자의 형태학적 구조와 18S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 결과 삼성리 퇴비 균주는 Aspergillus sp.로 확인되었다.

19세기 한국 남서해(南西海) 도서지역(島嶼地域) 민가(民家)의 유형적 체계 (19th Century's Typical System of Commoner's House in Southwestern Island Area of Korea)

  • 김지민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1호
    • /
    • pp.49-67
    • /
    • 1992
  • This study is an architectural investigation paper which has been investigated for 5 years from 1986 about commoner's traditional houses and village in southwestern island area of Korea. Man has lived in this area form the prehistoric age. But from 13C to 14C and in 16C most of people had left this islands by external invasion (Japan) and from 17C many people have lived in real earnest. This area did not have cultural interchange easily than inland area because of geographical conditions, Therefore, so far, many traditional factors have been handed down and especially, a good many commoner's traditional houses exist. The time of builging of these houses is mainly 19C and building shape of those days remains nearly as it is. About 450 houses have been investigated for 5 years. The composition of the houses is composed of Anchae (a centeral house), Sarangchae (an attached house of anchae) and Chukganchae (It has rest room and stores barnyard manure). Somtimes, Sarangchae was ommitt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of the house. Generally, the form of arrangement of house is divided into two shapes; One is 'ㅡ'shape which has only Anchae and the other is 'ㄱ' shape which has Anchae and Sarangchae. In the scale of the house, Anchae averages $41m^2$ and Sarangchae averages $27m^2$.

  • PDF

벼-보리 작부지대(作付地帶) 유기물연용시용법(有機物連用施用法) 연구(硏究) (Studies on Establishment of Application Method of Organic Matter in Rice-Barley Cropping System)

  • 한규흥;나오도 마즈다;노태홍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33-337
    • /
    • 1986
  • 벼-보리 작부시(作付時) 유기물연용(有機物連用) 시용방법(施用方法)을 확립(確立)하기 위(爲)하여 각(各) 작기별(作期別)로 유기물자재(有機物資材) 및 시용량(施用量)을 달리하여 세립회색(細粒灰色) 저지토(低地土)에서 시험(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토양중(土壤中) 부식함량(腐植含量)과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은 볏짚 환원구(還元區)를 제외(除外)한 모든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에서 증가(增加)되었고 그중(中)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가 제일(第一) 높았다. 2) 추출질소(抽出窒素)(지력질소(地力窒素))는 볏짚+보리짚 시용구(施用區)에서 분해과정(分解過程)이 지연(遲延)됨에 따라 수확기(收穫期) 잔존량(殘存量)이 제일(第一) 많았으며 완숙퇴비(完熟堆肥) 시용구(施用區)에서는 오히려 적었다. 3)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收量)은 퇴비배량구(堆肥倍量區)에서 높았고 부식함량(腐植含量), 전질소(全窒素),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 및 수량간(收量間)의 상호관계(相互關係)는 유의성(有意性)있는 상관(相關)을 나타냈으나 추출질소(抽出窒素)와 전질소(全窒素) 및 수량간(收量間)에는 유의성(有意性)이 없었다. 4) 유기물(有機物) 시용(施用)에 의(依)한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 변화(變化)는 인산(燐酸)과 가리(加里)는 각(各) 유기물(有機物) 시용구(施用區), C. E. C는 퇴비시용구(堆肥施用區)에서 다소(多少) 높았으며 물리성(物理性) 변화(變化)는 거의 없었다.

  • PDF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특성(特性)과 온도(溫度) 및 산처리(酸處理)에 의한 구용율(枸溶率) 증대(增大) (Characteristics of Phosphate Rock and Increasing of Citrate Solubility by Temperature and Acidulation)

  • 임동규;정이근;신제성;김흥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47-254
    • /
    • 1994
  •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화학(化學) 및 광물학적(鑛物學的) 특성(特性)을 구명하고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구용성(枸溶性) 인산함량(燐酸含量)을 증대시키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여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의 직접시용(直接施用)을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해 실시한 결과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광석(燐鑛石)의 주광물(主鑛物)은 인회석(燐灰石)(Apatite, $Ca_5(PO_4)_3$ OH, F, Cl) 중(中) Carbonate apatite이었으며 부광물(副鑛物)로는 방해석(方解石)과 석영(石英) 등(等)이 함유되어 있었고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DTA)결과를 보면 $1,000^{\circ}C$까지 뚜렷한 흡열(吸熱)이나 발열(發熱)peak를 볼 수 없었다. 2.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은 입도(粒度)가 가늘어질수록 구용성(枸溶性) 인산함량은 증가(增加)하나 수용성(水溶性) 인산함량은 입도(粒度)에 관계없이 증가(增加)하지 않았고, 소성(燒成)할 경우 소성시간(燒成時間)이 길어질수록 구용율(枸溶率)은 감소하였으며, 항온온도(恒溫溫度)가 높거나 항온시간(恒溫時間)이 길어질수록 구용율(枸溶率)이 증가하였다. 3. 인광석분말(燐鑛石粉末)을 퇴구비(堆廐肥)와 발효(醱酵)시키거나 산처리(酸處理)를 하면 인산구용율(燐酸枸溶率)이 증가하며 산농도(酸濃度)가 동일할 경우에는 황산(黃酸)이 질산(窒酸) 보다 우수하였다. 30% 황산처리(黃酸處理)는 기간이 진전될수록 구용성(枸溶性) 및 수용성(水溶性) 인산함량(燐酸含量)이 증가하였으나 당밀폐액(糖蜜廢液)처리는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30% 황산처리(黃酸處理) 후 당밀폐액(糖蜜廢液)으로 제립(製粒)한 시험제품이 당밀폐액(糖蜜廢液)만 처리한 시험제품 보다 구용성(枸溶性) 및 수용성(水溶性) 인산함량(燐酸含量)이 높았다.

  • PDF

주류생산 부산물인 주박의 특성 규명 및 주박이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Ju-Back and Effect of Ju-Back Fertilizer on Growth of Crop Plants)

  • 이정훈;박성민;박치덕;정혁준;김현수;유대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1호
    • /
    • pp.1562-1570
    • /
    • 2007
  • 본인들은 주류생산 부산물인 주박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비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시험에 사용된 주박에는 잔존 알코올함량이 평균 5-8%이며, 주요성분으로 6.04% 총질소량, 42.59% 총탄수화물량, 1.01% 유용 인산량, 73.42% 유기물량, 7.72% $K_2O$, 1.35% CaO와 0.53% MgO을 함유하고 있었다. 주박은 980 units/g의 ${\alpha}-amylase$, 300 units/g의 glucoamylase와 1,800 units/g의 산성 protease활성을 나타내어 비교적 높은 수준의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 항 진균활성이 우수한 근권세균인 Bacillus subtilis KMU-13을 분리, 생화학적 특성과 16s rDNA 분석에 의하여 Bacillus subtilis KMU-13으로 동정했다. 식물병원성 진균인 Botrytis cinerea KACC 40573, Sclerotinia sclerotiorum KACC 41065, Fusairum of oxysporum KACC 40052, Pythium aphanidermatum KACC 40156, Phytophthora capsici KACC 40476와 Glomerella cingulata KACC 40299에 대하여 높은 항 진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시제품은 동결건조 주박을 직접 시제품으로 사용하는 시제품 1과 동결건조 주박 20%, 담체 70%, B. subtilis KMU-13의 배양액 9.7%, 미량원소 0.3%를 혼합하여 시제품 2를 제작했다. 시제품 1과 시제품 2의 상추를 이용한 포장 재배시험에 대한 비료효과 및 토양이화학성 변화를 조사한 결과, 3요소비료, 퇴비 및 석회를 시용한 관행구에 비해 수확기의 엽장, 엽폭, 엽수 및 생체중량 등이 증가하였으며, 토양 이화학성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