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malt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9초

맥아의 핵산분해효소 (Nucleic Acid Degrading Enzymes of Barley Malt)

  • 이원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89
  • 네 지역에서 2년 동안 재배된 10종의 맥주맥을 제맥하여 맥아중의 핵산분해에 관련된 6종류의 효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효소는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포드포디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 3'-뉴클레오티드 가수분해효소, 5'-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와 포스포모노 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 이었다. 5일 동안 발아시킨 맥아속의 효소는 맥주맥의 품종이나 재배지역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았고. 현재 장려품종으로 재배되고 있는 몇몇 품종은 이러한 효소들을 상당량 함유하고 있었다. 80시료의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3‘-뉴클fp오리드 가수분해효소와 5'-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11.2, 5.7, 5.6과 1.2 units이었다. 6조 맥의 맥아는 2조 맥의 맥아보다 데옥시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포스포디에스테르 가수분해효소와 3'-뉴클레오리드 가수분해효소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2조 맥의 맥아는 리보핵산 가수분해효소 합량에서 6조 맥의 맥아보다 더 높았다.

  • PDF

발아조건별 당화용 엿기름의 분해효소 활성도 (Activities of Hydrolytic Enzymes in Barley Malts Prepared under Different Germination Conditions)

  • 목철균;이영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324-329
    • /
    • 1999
  • 엿기름의 적정 제조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발아조건를 달리하여 제조한 엿기름의 ${\beta}-glucanase$, ${\alpha}-amylase$${\beta}-amylase$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보리는 발아가 진행됨에 따라 ${\beta}-glucanase$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세포벽의 주요 구성다당류인 ${\beta}-glucan$이 분해되어 감소하였다. ${\beta}-Glucanase$ 활성은 $15^{\circ}C$의 발아온도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발아 6일경에는 최고값에 달하였다. 6조보리인 올보리의 ${\beta}-glucanase$ 활성이 2조보리인 진양보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올보리의 ${\alpha}-amylase$ 활성 역시 진양보리에 비해 현저히 높았으며 6일간의 발아일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발아보리의 ${\alpha}-amylase$ 활성은 발아온도 $15^{\circ}C$에서 가장 낮았고 $18^{\circ}C$에서 가장 높았으며 $21^{\circ}C$에서는 약간 감소하였다. ${\beta}-Amylase$는 원맥에서 상당한 활성이 있었으며 발아과정중에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5^{\circ}C$에 비해 $18^{\circ}C$$21^{\circ}C$에서 발아일수에 따른 ${\beta}-amylase$ 활성의 증가폭이 컸으며 발아 5일 이후부터는 효소활성도에 있어서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엿기름의 당화력(diastatic power)은 올보리가 진양보리에 비해 $1.4{\sim}1.9$배 정도 높았으며 $18^{\circ}C$에서 $5{\sim}6$일의 발아가 당화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발아조건으로서 적합한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보리의 제맥과정 중 Arabinoxylan의 용해성 변화 (Changes in Solubility of Barley Arabinoxylans during Malting)

  • 엄혜선;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2호
    • /
    • pp.1684-1687
    • /
    • 2008
  • 보리를 침맥한 후 5일 동안 발아하는 제맥과정 중에 arabinoxylan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맥과정 중 초기에 불용성인 보리의 arabinoxylan은 발아과정 중에 가용화됨에 따라 수용성 arabinoxylan의 함량이 약간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발아중인 보리의 수용성 arabinoxylan 부분은 $21^{\circ}C$ 추출온도에 비해 $45^{\circ}C$의 추출온도에서 보다 높은 함량 으로 나타났다. 발아시간에 따라 적절히 변형된 맥아(96시간 발아)와 덜 변형된 맥아(60시간 발아)를 선발하여 변형정도 에 따른 두 가지 맥아에 대하여 당화온도별로($45{\sim}75^{\circ}C$) 당 화 후 맥즙의 arabinoxylan 함량을 분석하였다. 당화온도를 $45^{\circ}C$에서 $75^{\circ}C$를 증가시킴에 따라 맥즙에 용출되어져 나오는 arabinoxylan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실험의 당화조건에서 적절히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과 덜 변형된 맥아로부터 얻은 맥즙 간의 arabinoxylan 함량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omparison of yield and its components in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by path coefficient analysis

  • Choi, In-Bae;Kim, Hak-Sin;Hwang, Jae-Bok;Bae, Hui-Su;Ku, Bon-Il;Park, Hong-Kyu;Par, Tae-Seon;Lee, Geon-Hw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34-234
    • /
    • 2017
  • Recent abnormal weather, especially continued rainfall during sowing season causes difficulty in proper sowing of wheat and delayed sowing after November 15 is concerned about freezing damage during winter, resulting in reduction of wheat yield. To correspond government policy of crop sufficiency improvement and produce and supply raw wheat and barley steadily, expansion of cultivation area is necessary and spring sowing of wheat is requir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the improvement of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roduction, comparison and path coefficients analysis was conducted for yield and yield related components from autumn and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Path analyses were known as very useful in clarifying the effects of yield components on grain yield formation, which were not accurately reflected in simple correlation anaylses. Most cultivated 5 wheat and 9 barley cultivars were sown on October and February at Cheon-ju province according to standard sowing method. For the spring sowing of wheat and barley, the varieties having vernalization degree I~III are seeded in the mid of February and seeding rate is 200~250kg/ha which is increased by 25% than autumn sowing. N-fertilizer of 95 kg/ha and the same amount of P, K dressed in autumn are applied at once as basal fertilizer. The magnitude of direct effect in each yield components on yield was in sequence as follows. In autumn wheat, grain number per $spike{\geq}$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wheat, grain number per $ spike{\geq}the$ number of spike per $m^2$> 1000-grain weight. In autumn naked barley, 1000-grain weight>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and in spring barel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 1000-grain weight. In autumn covered barley, grain number per spike>the number of spike per $m^2$ and in spring coverd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 grain number per spike, 1000-grain weight. In autumn malt barley, the number of spike per $m^2$>1000-grain weight and in spring malt barley, the direct effects of three yield components were similar. According to the path analysis of yield components for spring sown wheat and barley, it was suggested that adequate number of spike per $m^2$ was most important factor for yield increase.

  • PDF

맥주보리 품질 관련 형질과 고품질 육종소재 탐색 (Quality Characters and Identification of Breeding Materials in Malting Barley)

  • 오세관;현종내;서득용;서세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4-190
    • /
    • 2003
  • 국산 맥주보리의 품질향상을 위한 육종을 도모하기 위하여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에서 보유하고 있는 맥주보리 유전자원 59품종 및 계통을 중심으로 원맥 및 맥아의 품질분석을 실시하여 품질이 우수한 자원을 선발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육종소재로 이용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1. 원맥의 단백질함량은 평균 12.3% (10.7-14.9%)를 나타내었으며, $\beta$-글루캔함량은 3.5-5.8%로 평균 4.6%였다. 2. 맥아신장도, 불발아율, Friability, 여과시간, 맥즙추출율, 콜박지수 및 효소력가는 품종간 유의 차가 인정되었으나, 그 밖의 형질은 차이가 없었다. 3. 15개 품질관련 형질간의 상관분석 결과, 원맥의 단백질 함량이 높을수록 맥아 단백질($0.800^{**}$)은 상대적으로 증가하지만, 당도(-$-0.578^{**}$). Friability($-0.554^{**}$), 맥즙추출율($-0.592^{**}$) 및 콜박지수($-0.681^{**}$)등은 낮아져 품질을 저하시키는 고도의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4. 맥아의 단백질함량이 높아짐에 따라서 추출을($-0.774^{**}$)과 콜박지수($-0.778^{**}$)가 현저하게 감소되는 등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었다. 5. 본시험에서 추출율이 80% 이상이면서 콜박지수 및 효소력가 등 종합적으로 품질이 우수한 품종 및 계통은 외국품종으로서 Viva, Nishino chikara, Kinukei 9 및 Kinukei 12 의 4품종 및 계통과 국내육성 품종으로서 사천6호와 진양보리였다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2보(報) : 극성지질(極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I. Composition of Polar Lipids-)

  • 이상영;김종승;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7-42
    • /
    • 1981
  •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에서 추출한 총지방질중 극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의 총지방질중 당질의 평균함량은 8.9% 및 12.3%, 인지질의 평균함량은 17.3% 및 19.2%였으며, 보리중의 당지질 및 인지질의 함량은 맥아에서 평균 39.5% 및 11.5%가 증가하였다. 2. 보리의 당지질 중에는 DGDG 와 MGDG가 평균 35.5%및 28.6%로 주요성분이 었고 SG와 Cerebroside는 20.7% 및 15.2%이었으며, 보리중의 DGDG 와 MGDG 는 맥아에서 감소되었으나, SG 와 Cerebroside는 증가하였다. 3. 보리의 인지질 중에는 phosphatidyl choline(PC), lysophosphatidyl choline(LyPC), diphosphatidyl glycerol(DPG), phosphatidyl ethanolamine(P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는 보리에 비하여 PC, LyPC는 감소하였으나 PE와 DPG는 증가하였다. 4. 보리와 맥아의 지방질중 당지질 및 인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과 그 변화는 총지방질과 중성지질 획분의 지방산조성 및 그 변화 패턴과 비슷하였다. 그러나 당지질 획분중에는 리놀레산, 인지질 획분중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획분들에 비하여 많았다.

  • PDF

보리와 맥아(麥芽)의 지방질(脂肪質) 성분(成分)에 관한 비교(比較) 연구 -제(第)1보(報) :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조성(組成)- (A Comparative Study on the Lipid Components of Barley and Malt -I. Composition of Neutral Lipids-)

  • 신효선;이강현;이상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36
    • /
    • 1981
  • 우리 나라에서 재배된 4가치 품종의 보리와 이들의 맥아를 클로로포름-메탄올-물로 추출한 총지방질중 중성지질의 조성을 관, 얇은막 및 기체-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가지 품종의 보리와 이들 맥아중의 총지방질의 평균함량은 각각 3.3% 및 2.9%였으며, 보리중의 총지방질은 맥아에서 평균 12.2%가 감소되었다. 2. 보리와 맥아중의 총지방질중 중성지질의 평균함량은 각각 73.8% 및 68.5%였으며, 보리중의 중성지질은 맥아에서 평균 7.2%가 감소 되었다. 3. 보리의 중성지질중 트리-글리세리드와 유리지방산의 평균함량은 각각 57.5% 및 15.4%였으나 맥아에서 트리-글리세리드의 양은 감소하였으나, 유리지방산의 양은 증가하였다. 그 외에 sterol ester, free sterol, 1,3 및 1,2-diglyceride가 보리와 맥아의 중성지질중 부성분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맥아중의 이들 neutral non-triglyceride fraction의 함량은 보리에서 보다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4. 보리와 맥아의 총지방질의 주된 지방산은 리놀레산, 팔미트산및 올레산이었으며, 맥아는 보리보다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증가하는데 반하여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었다.

  • PDF

Barley Malt Treated with Enzymes Increases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 Phouthaxay, Phonesavanh;Yu, Chi Young;Pang, Yeon Gyu;Salitxay, Timnoy;Kim, Sang Heon;Park, Cheol 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59-76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functionality of a healthy drink with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manufacturing different enzymes (alpha-, beta-, glucose-amylase) in barley malts (BM) produced in various malting periods. The study showed that enzyme trea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l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malted liquid samples (MLS) which obtained from various malting periods. The highest of TPC were found in Gluco-24M with 1.981 mgTAE/ml, followed by Beta-24M and Alpha-72M with 1.878 mgTAE/ml and 1.845 mgTAE/ml, respectively. The DPPH result revealed that percent of inhibition increased by 71-75% compared to the control.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LS obtained by 24 hr of malting (24 M) and 72 hr of malting (72 M) after enzyme treatment. In addition, an increasing of hydroxyl radical was in the same trend to the TPC and DPPH.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nzyme treated samples was 1,5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e possibility of enzyme application to barley malts obtained in various germination periods for improving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barley malts.

Influence of the Kilning Conditions on Enzymatic Activity of Rice (Oryza sativa) Malt

  • Nguyen, Thach Minh;Nguyen, Xich Lien;Hoang, Kim Anh;Lee, Soo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1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kilning condfition on the diastatic power and activities of protease, $\alpha$-amylase, and $\beta$-amylase in rice malt. Common rice (Oryza sativa) was steeped at $30^{\circ}C$ for 50 h, germinated at $30^{\circ}C$ for 7 days, and kilned at $50^{\circ}C$ for 24 h. The moisture content and enzymatic activities were determined under various kilning times. As a result, the moisture content was reduced from 42.1 % to 3.9% after 24 h of kilning at $50^{\circ}C$. The protease activity of rice malt showed lower value than that of barley malt. All enzymatic activities were decreased during the kilning stage. Results indicated that after prolonged kilning at $50^{\circ}C$, the inactivation of hydrolytic enzymes might be occurred. Even though the amylolytic activity of malted rice showed low value, the rice malt shows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as ingredient for the brewing and cereal industries.

수종 곡류추출물의 효소적갈변 억제효과 (Effect of Several Cereal Extracts on Enzymatic Browning)

  • 이귀주;안선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0-395
    • /
    • 1997
  • 보리가루, 엿기름, 찹쌀가루의 수용성 추출물과 농축액이 효소적 갈변에 대한 억제 효과가 있는지를 PPO 활성에 대한 저해효과를 통하여 알아보았으며, PPO에 대한 저해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엿기름 농축액의 갈변 정도와 환원성을 측정하고 이들 성질과 PPO활성에 대한 저해효과와의 상관관계도 조사하였다. 나아가 사과 슬라이스를 엿기름 농축액에 침지한 후 냉장하고 냉장 중 사과 슬라이스의 조직감과 갈변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PO에 대한 억제 효과는 엿기름 농축액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엿기름 농축액은 가열 시간에 따라 당도, 갈변정도와 환원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PPO 활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가열 60분까지는 서서히 변화하였으나 70분 이후에는 급격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열시간에 따라 엿기름 농축액의 pH는 감소하였다. 한편 엿기름 농축액에 침지한 사과 슬라이스의 냉장 저장중의 갈변정도는 6.9%로, 조직감의 변화는 14.3%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엿기름 농축액이 사과 슬라이스의 갈변 억제와 조직감 유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