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leaves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3초

Biological Control of Powdery Mildew by Antibiotic-producing Microorganisms Antagonistic to Erysiphe graminis

  • Lee, Yong-Se;Wolf, 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5권6호
    • /
    • pp.341-345
    • /
    • 1995
  • Seventy four microorganisms, which have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to Fusarium culmorum, were tes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colony development of obligate biotroph Erysiphe graminis f. sp. hordei Marchal, the causal agent of powdery mildew on barley plants. Of these, 13 actinomycetes isolates were shown to reduce the colony development of mildew completely by application of their 10% cell-free culture filtrates on barley leaves. An Isolate, A252, was the most powerful antagonist and its antifungal activity was further assessed. The colony development of mildew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application of the 1% cell-free culture filtrate of isolate A252.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the protective and curative application of 10% cell-free culture filtrate from A252 showed 88.5% and 96.1% reduction of colony numbers respectively. By the protective application, 68.3% of the inhibition was observed after 9 days of treatment, thus showed prolonged inhibitory effect. In vitro test, complete inhibition of the mycelial growth of Microdochium nivale was achieved by the treatment of 1% A252 culture filtrate and 80.2% of inhibition was observed by the 0.1% treatment.

  • PDF

국내 남부지역의 맥류 바이러스병 발생 현황 (Occurrence of Barley Virus Diseases in Southern Part of Korea)

  • 배주영;김상민;강미형;김강민;이중환;주호종;김선림;이봉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59-866
    • /
    • 2015
  • 맥류 주 재배지인 전남북 및 경남북을 중심으로 국내에서 밀, 보리 등 맥류에 심각한 피해를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BaYMV, BaMMV 그리고 SBWMV를 대상으로 바이러스 발병 현황 조사를 실시하였다. RT-PCR 방법을 이용하여 진단 한 결과 2014년과 2015년 발병포장 내 이병면적율은 5% 미만에서 90% 이상까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확인되었다. 2014년 조사 결과 전북지역의 부안과 김제에서 90% 이상으로 가장 높은 이병면적율을 보였고, 전남 지역의 보성, 강진, 해남, 장흥 지역은 30%의 이병면적율을 보였다. 2014년 조사결과 전남북 및 경남북 모든 지역에서 BaYMV가 확인되었고, 전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BaYMV가 우점하면서 BaMMV와 복함 감염되어 피해를 주고 있는 양상을 보였다. 2015년의 전체적인 발생상황은 군산지역에서 70%로 높은 이병면적율을 보임과 동시에 전북의 다양한 지역에서 BaYMV 감염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남 지역 중 영광지역이 BaYMV와 BaMMV의 복합 감염으로 나타났다. SBWMV 감염이 확인된 고성지역을 제외하고 조사기간 동안 경남북의 모든 조사 지역에서 BaYMV 단독 감염으로 확인되었다. 본 실험 결과 지역별 기온차이에 의해 복합감염 형태의 발병양상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지구 온난화에 의한 기온상승을 대비하여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벼 수확전 청보리 파종 재배시 친환경적 뚝새풀 관리 (Eco-Friendly Control of Water Foxtail (Alopecurus aequalis) on Cultivation Fields of Forage Barley Sowed before Rice Harvest)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장준형;오영진;장윤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1호
    • /
    • pp.13-18
    • /
    • 2014
  • 본 연구는 벼 수확 전에 사료맥류를 파종 재배할 경우 뚝새풀의 친환경적 방제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해수를 뚝새풀 발생전, 1엽 그리고 2엽기에 30, 50, 100% 농도로 처리한 결과, 뚝새풀은 1엽기에 100% 처리에서 50% 정도 억제되었다. 또한 무기염류 처리에 의한 보리생육과 뚝새풀의 방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출현율은 sodium chloride 처리에서는 영향이 없으나, ferrous sulfate의 처리에서는 35~50% 정도 낮았으며, 뚝새풀은 sodium chloride 처리에서 36~44%, ferrous sulfate의 처리에서 47.5~78.8% 정도 억제되었다. 작물 파종량 증가에 의한 뚝새풀의 발생억제 효과를 검토한 결과, 보리의 파종량이 많을수록 입모수가 많고, 뚝새풀의 발생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조사료 수량은 $300kg\;ha^{-1}$ 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결과적으로 벼 수확전 입모중 사료맥류 재배시 뚝새풀의 친환경적인 방제는 50% 정도의 수준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 수확전 파종 보리의 생육과 수량성 (Growth and Yield of Barley Broadcasted before Rice Harvest)

  • 주정일;김칠현;문창식;김창영;조장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8-436
    • /
    • 1995
  • 벼 수확과 맥류파종간에 노동력 및 농기계에 대한 경합을 분산하면서 무경운에 의한 파종작업의 조방화로 성력효과를 기하고자 벼 수확전 입모중에 맥류 종자를 전면 산파하고 벼 수확시 볏짚으로 맥류종자를 피복되게 하는 파종법을 트렉터부착 줄뿌림 파종기에 대한 휴입세조파 방법과 비교하였다. 파종방법간 비교시험은 올보리를 공시하여 1990~1994년 4사맥작기간 동안 대전에서 실시하였다. 또한 입모중 파종기 시험으로 벼 수확전 1일, 5일, 10일, 15일에 파종한 후 파종기 차이에 따른 생육 및 수량반응을 1992~1994년까지 2작기 동안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벼 입모중 보리 산파는 세조파에 비하여 월동전후 초장이 길고 분얼수가 많았으나 월동후 고엽율은 평균 17.4% 높았다. 2. 지상부 생육은 세숙파에 비하여 입모중 파종에서 저조하였고, 출수기와 성숙기는 두 파종방법간 비슷하였다. 3. 수량은 입모중 파종에서 평균 364 kg / 10a로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평균 20.6% 감소하였고 이는 주로 m$^2$ 당 이삭수 및 1수입수의 감소에 기인하였다. 4. 벼 수확전 파종일에 따른 보리의 생육 및 수량성은 유의성이 없었다. 5. 입모중 파종이 세조파 파종에 비하여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의 연차간 변의가 높았다.

  • PDF

총체사료용 맥류의 생육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 (Changes in Forage Quality of Plant Parts with Harvesting Time in Five Winter Cereal Crops)

  • 권영업;백성범;허화영;박형호;김정곤;이재은;이충근;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44-149
    • /
    • 2008
  • 총체사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는 맥종들의 출수 후 수확시기 및 식물체 부위별 사료가치 변화를 분석하여 각 맥종의 최적 이용시기를 결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사료 이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단백질 함량은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식물체 전체 조단백질의 함량이 낮았다. 식물체 부위 별로는 출수 후 40일 수확을 제외하고는 잎의 단백질 비율이 가장 높으며, 줄기 부분은 어느 시기에서나 10% 미만으로 다른 부위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2.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전반적으로 ADF함량이 낮아졌고 부위별로는 줄기의 ADF함량이 다른 부위보다 높고 잎의 ADF함량은 줄기와 이삭의 중간 정도의 비율을 나타냈다. 줄기의 건물중 비율이 높아지면 전체 ADF함량 비율이 직선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호밀을 제외한 전 맥종에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NDF함량은 낮아졌는데 호밀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 건물중의 비율이 높아 전체 NDF함량이 높아졌다.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줄기와 잎의 NDF함량 변화는 크게 변화가 없는 반면 이삭의 NDF함량은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낮게 나타났다. 4. 호밀을 제외하고는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며, 부위별로는 이삭의 RFV가 가장 높았고 줄기가 가장 낮았다. 식물체 전체 RFV 변이는 출수 후 이삭의 등숙이 진행되면서 잎과 줄기의 낮은 RFV를 보상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출수 후 일수가 경과하면서 RFV가 높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참깨의 개화.등숙에 관한 연구 IV. 적엽처리가 참깨의 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Flowering and Maturity in Sesame (Sesamum indicum L.) IV. Effects of Foliage Clipping on the Seed Maturity)

  • 이정일;강철환;손응룡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65-173
    • /
    • 1985
  • 참깨의 초형에 따른 비닐피복과 작기 그리고 적엽시기와 적엽부의별 적엽이 참깨의 동화기관과 종실의 결실.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후기등숙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코자 일련의 시험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개화 후 25일 하위엽 적엽에 따른 천립중 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보다, 비닐피복구는 무피복 보다, 맥후작은 단작 보다 천립중 감소가 컸다. 단경형 단작 하위적엽에서는 상위삭 천립중이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2. 하위적엽에 의한 등숙립 비율변동은 분지형은 단경형 보다, 맥후작은 단경 보다 등숙립 비율의 감소가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대차 없었다. 단경단작 25% 적엽에서 상위삭의 등숙립 비율은 무처리대비 약 6%의 증가를 보였으며 맥후작과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다. 3. 개화 후 30 일.단경형.하위 25% 적엽에서 무처리에 비하여 약간의 등숙률 증가를 보였으나 분지형에서는 감소되었으며 상위적엽에 의하여 등숙률이 크게 떨어져 이 시기의 동화중심엽은 상위엽으로 추정되었고 단경형보다는 분지형의 하위엽이 등숙후기까지도 엽의 활력을 잘 유지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단경.분지형 공히 큰 폭으로 등숙립 비율이 떨어졌다. 4. 하위 50 % 적엽에서 상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 엽에서 보다 39%가 더 증가되었으며 상위 50% 적엽에 의하여 하위엽의 엽록소 함량은 무처리 대비 66%가 증가되어 한 쪽엽 적엽에 의하여 반대에 위치한 엽의 엽록소 함량이 증가하는 보상작용이 인정되었다. 5 하위 50% 적엽에 의하여 광합성은 무처리에 비하여 58 %의 증가를 보였으나 상위 50 % 적엽에서는 Omg$CO_2$/d$m^2$/hr로서 잔존 하위엽에서 생성한 동화양분은 그 엽의 자체의 호흡에 의한 소모도 충족시키지 못하여 생식생장 후기 상위적엽에 의하여 광합성 작용은 치명적 손상을 받을 뿐만 아니라 잔존 하위엽의 광합성 기여도는 낮을 것으로 인정되었다. 6. 수확지수에서는 하위 25% 적엽에 의하여 무처리 대비 28%의 증가를 보인 반면 상위 50% 적엽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13% 감소되었다. 7. 하위 50% 적엽에서 잔존 엽면적은 같은 위치의 무처리엽 면적에 비하여 48 %가 증가되었으나 상위적엽에서는 5% 증가에 그쳐 적엽에 의하여 신생 상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큰 반면에 노쇠한 하위엽의 엽면적 증대는 거의 없었다. 8. 적엽에 따른 수량차는 분지형이 단경형에서 보다, 맥후작이 단작에서 보다 무처리에 비하여 감수폭이 터 컸으며 비닐피복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 단경.단작 하위 25 % 적엽에서 비닐피복과 무피복 공히 수량이 무처리에 비하여 각각 5 %와 8 %가 증가하였으며 타 적엽구에서는 감수되었다. 10. 개화 후 1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34 % 감수된 반면 개화 후 30 일 적엽구에서는 무처리 대비 24 % 감수에 그쳐 개화 후 10일 엽에서의 동화물질 생산 기여도가 개화 후 30 일 엽에서 보다 더 높았던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개화 후 10 일에는 단경.분지형 공히 하위 50 % 적엽구에서 가장 많은 감수를 보여 이 시기의 광합성 활동 중심엽은 하위엽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추출물의 제초, 살균 및 살충활성 효과 (Effect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H. Robinson) Extracts on Herbicidal, Fungicidal, and Insecticidal Activities)

  • 윤영범;김진화;장세지;김도익;권오도;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98-106
    • /
    • 2012
  • 본 연구는 야콘의 잎, 줄기, 괴경 추출물 중 어느 부위에서 제초, 살균 및 살충효과가 가장 높은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각 부위별로 물, 열수 그리고 메탄올로 추출하였다. 또한 위의 추출방법 중 제초활성능력이 뛰어난 것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OH, $H_2O$로 용매분획하여 잠정적 제초 성분에 대한 특성을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억제에 대한 추출방법 중에 메탄올 추출법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또한 식물체 부위별로는 괴경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Ethyl acetate, butanol, chloroform, hexane, water의 용매분획에서 오이와 보리의 발아율, 초장 및 근장 저해는 물층에서 가장 좋았고 그 밖의 분획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와 10%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해 바랭이와 까마중은 각각 70~80%와 95~100% 방제되었다. 그러나 이들 농도의 야콘 괴경 추출물에 의한 오이와 보리 경엽처리에 의한 저해 효과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야콘 잎 추출물 처리 후 3일째 복숭아혹진딧물의 살충률은 50%이었다. 벼멸구의 경우 5% 줄기와 잎(중륵 포함) 추출물에 의한 살충률은 24%로 낮았고 중륵이 배제된 잎 추출물에서 57% 살충률을 보였다. 그러나 5% 잎 추출물에 대한 탄저병, 시들음병, 청고병, 흰잎마름 병원균에 대한 살균효과는 없었다.

유산양의 조사료 채식습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A Demonstrative Study on the Intake Habits of Dairy Goats (Saanen) Fed with Roughages)

  • 강병호;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3-72
    • /
    • 2009
  • 본 연구에 이용될 공시시료는 2007년과 2008년에 걸쳐 채집되었으며, 기호성 조사는 2008년 6월 21일 수행하였다. 공시시료는 화본과와 두과목초(passes and legumes)류는 mixed passes, orchardgrass, tall fescue, alfalfa 및 white clover 의 5종, 야초와 잡초(native grasses 및 weeds)류는 mixed native grasses, Miscanthus sinensis Anderss, Arundinella hirta (Thunb.) Tanaka, barnyard grass 및 short awn의 5종, 사료작물과 볏짚(forage crops and straw)류는 barley +hairy vetch, wheat + hairy vetch, rye silage, barley silage 및 baled rice straw의 5종, 수염과 낙엽(browse and fallen leaves)류는 mixed browse, oriental white oak browse, Quercus serrta Thunb. oriental cherry fallen leaves 및 Japanese chestnut fallen leaves의 5종, 그리고 수입건초(imported hay and straw)류로 timothy, tall fescue hay, annual ryegrass, klinegrass 및 alfalfa의 5종 등 총 25종을 공시하였다. 공시축은 유산양(Saanen 우, 평균체중 $25{\pm}2.1kg$) 10두를 공시하였고, 시험은 유산양은 충남 금산군 추부면 유산양목장에서 수행하였다. CP, NDF, ADF, hemicellulose, cellulose, lignin 함량및 IVDMD는 채취장소, 초종, 생육단계 및 예취시기에 따라 조사료원별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은 혼합목초(mixed grasses) 와 두과목초인 화이트 클로버(white clover)나알팔파(alfalfa) 등을 즐겨 채식하였으나, 콘포볏짚(baled rice straw)이나 호밀 사일리지 (rye silage) 등은 거의 채식하지 않았다. 유산양이 즐겨 채식한 조사료원은 NDF나 ADF와 같은 섬유소물질의 함량이 낮은 반면에 IVDMD는 높은 조사료를 주로 선택하여 채식하는 습성을 나타내었다(p<0.05). 유산양(Saanen)은 화본과 와 두과목초(34.6%)를 가장 즐겨 채식하였던 것으로 보아 초류채식형 (grazers)에 가까운 것을 재확인하였다.

맥류의 분벽별 생육상 및 생산능력의 변이에 관한 연구 (Growing Process of Tillers in Wheat and Barley and Its Contribution to Grain Production)

  • 남윤일;하용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5-121
    • /
    • 1983
  • 점파 조건하에서 맥류 분벽의 발생과 유무효화, 분벽 벽자간 유수의 분화 발육, 질소 함유율의 변이 및 생산능력에 관하여 조사하였든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주간과 1차의 1, 2, 003 분벽은 분벽 최성기까지 거의 100% 발생하였으나 004 분벽은 60-88%정도 발생하였고, 2차 분벽은 발생 비율도 낮고 품종간 차도 컸다. 2. 단위면적당 수수를 구성하는 유효분벽의 비는 소맥에서는 주간이 100%, 1차의 1, 002는 90-95% 003 분벽은 70-85%이었고 004 및 1P분벽은 8-49%였으며, 대맥도 주간 및 1차의 1,002 분벽은 소맥과 비슷한 정도였으나 고위 분벽의 유효화는 소맥에 비하여 낮았다. 3. 분벽별 엽의 출현은 소맥에서는 주간 7엽위부근까지는 동신엽 이론대로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의 엽위에서는 엽의 출현에 조만이 인정되었고 엽수도 이론치보다 벽자에서는 1엽 정도 더 출현되었다. 그러나 대맥에서는 이론치와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4. 유수의 분화, 발육은 품종에 따라 또 분벽 차위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그 차이는 대맥보다 소맥이 더욱컸다. 5. 출수 및 개화기는 주간이 가장 빠르고 분벽들은 주간에 비하여 벽자에 따라 1-6일 정도 지연되었는데, 개화기는 출수기에 비하여 분벽간에 더 큰 차이가 있는 경향이었다. 6. 소맥 엽신의 질소 함유량은 생육초기에 높고, 생육이 진전되면서 감소하였으며, 벽자간에는 고위 분벽의 엽신일수록 높았다. 7. 단위면적당 전종실중에 기여하는 각 분벽의 비율은 소맥에서는 주간과 1차의 1, 002 분벽간에는 큰 차이없이 각각 약 20-26%를 점유하였으나, 대맥은 주간의 기여도가 가장커서 전종실중에 대하여 약 ⅓, 다음은 1, 2, 003 분벽의 순으로, 수량 구성의 주체는 주간과 1차의 1, 2, 3호 분벽이었다.

  • PDF

Cellular and Molecular Pathology of Fungi on Plants Studied by Modern Electron Microscopy

  • Sanwald, Sigrun-Hippe
    • 한국식물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물병리학회 1995년도 Proceedings of special lectures on Molecular Biological Approaches to Plant Disease National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Suwon, Korea
    • /
    • pp.27-53
    • /
    • 1995
  • In plant pathology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for improved cytological techniques as basis for the localization of cellular substances within the dynamic fine structure of the host-(plant)-pathogen-interaction. Low temperature (LT) preparation techniques (shock freezing, freeze substitution, LT embedding) are now successfully applied in plant pathology. They are regarded as important tools to stabilize the dynamic plant-pathogen-interaction as it exists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 The main advantage of LT techniques versus conventional chemical fixation is seen in the maintenance of the hydration shell of molecules and macromolecular structures. This results in an improved fine structural preservation and in a superior retention of the antigenicity of proteins. - A well defined ultrastructure of small, fungal organisms and large biological samples such as plant material and as well as the plant-pathogen (fungus) infection sites are presented. The mesophyll tissue of Arabidopsis thaliana is characterized by homogeneously structured cytoplasm closely attached to the cell wall. From analyses of the compatible interaction between Erysiphe graminis f. sp. hordei on barley (Hordeum vulgare), various steps in the infection sequence can be identified. Infection sites of powdery mildew on primary leaves of barley are analysed with regard to the fine structural preservation of the haustoria. The presentation s focussed on the ultrastructure of the extrahaustorial matrix and the extrahaustorial membrane. - The integration of improved cellular preservation with a molecular analysis of the infected host cell is achieved by the application of secondary probing techniques, i.e. immunocytochemistry. Recent data on the characterization of freeze substituted powdery mildew and urst infected plant tissue by immunogold methodology are described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localization of THRGP-like (threonine-hydrxyproline-rich glycoprotein) epitopes. Infection sites of powdery mildew on barley, stem rust as well as leaf rust (Puccinia recondita) on primary leaves of wheat were probed with a polyclonal antiserum to maize THRGP. Cross-reactivity with the anti-THRGP antiserum was observed over the extrahaustorial matrix of the both compatible and incompatible plant-pathogen interactions. The highly localized accumulation of THRGP-like epitopes at the extrahaustorial host-pathogen interface suggests the involvement of structural, interfacial proteins during the infection of monocotyledonous plants by obligate, biotrophic fungi.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