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flour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제분 산업 발달사 (History of Korean flour mills)

  • 김성곤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50권2호
    • /
    • pp.86-97
    • /
    • 2017
  • The major food grains in Korea are rice and barley. The wheat was supplied from USA after World War II in 1945 and it changed the eating habits for Korean diet. The role of barley as a food grain has been diminished and that of wheat has been acknowledged; the consumption per capita per year of wheat is over the half of that of rice which is the staple grain in Korea. This article is a brief review on the background of wheat becoming the important grain in Korean diet and the following developmental story of flour mills. Emphasis was given to the statistics on flour mills industry.

맥류(麥類)의 가공(加工)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illing of Barley, Naked-barley & Wheat)

  • 김희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9-111
    • /
    • 1978
  • 보리, 쌀보리, 밀등 3종(種)의 국산맥류(國産麥類)를 공시(公試)하여 도정(搗精)과 제분(製粉)의 두가지 가공방법(加工方法)으로 가공수율(加工收率) 60%, 70%, 80%, 90%의 네 수준(水準)으로 나누어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지질(脂質) 섬유질(纖維質), Calcium, 철분(鐵分), Thiamine등의 함유율(含有率)을 분석(分析) 조사(調査)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가공(加工)된 곡물(穀物)의 회분(灰分), 단백질(蛋白質), 지질(脂質), 섬유질(纖維質), Calcium, 철분(鐵分), Thiamine등의 함유율(含油率)은 도정(搗精)의 경우 제분(製粉)의 경우에 다 같이 가공수율(加工收率)과 정비례관계(正比例關係)에 있었다. 2) 겉보리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83%, 단백질(蛋白質)은 1.31%, 지질(脂質)은 0.40%, 섬유질(纖維質)은 0.75%, Calcium은 3.03mg%, 철분(鐵分)은 2.40mg%, Thiamine은 0.14mg%가 낮았다. 3) 쌀보리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41%, 단백질(蛋白質)은 1.96%, 지질(脂質)은 0.33%, 섬유질(纖維質)은 0.84%, Calcium은 4.54mg%, 철분(鐵分)은 1.19mg%, Thiamine은 0.10mg%가 낮았다. 4) 밀에서는 도정(搗精)한 것이 제분(製粉)한 것에 비(比)해 평균적(平均的)으로 동일(同一)한 가공수율(加工收率)에서 회분(灰分)은 0.28%, 단백질(蛋白質)은 2.25%, 지질(脂質)은 0.05%, 섬유질(纖維質)은 0.25%, Calcium은 4.31mg%, 철분(鐵分)은 0.12mg%, Thiamine은 0.15mg%가 높았다.

  • PDF

자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via Addition of Purple Barley Flour and Olive Oil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진곤;김영호;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813-18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뛰어난 자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첨가한 제빵개발을 위해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자맥가루와 올리브유의 양을 독립변수로 하여 빵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고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최적배합비를 구하였다. 실험 결과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무게, 부피, 비용적, 명도, 황색도,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적색도는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 중에서는 색, 외관, 조직감, 맛, 전체적 기호도가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고, 향은 이차 회귀분석의 설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자맥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 황색도, 경도, 검성, 씹힘성이 증가하였고 부피, 비용적, 명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올리브 첨가량이 증가하면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고, 황색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특성에 자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이 올리브유 첨가량에 대한 영향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자맥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향을 제외한 모든 기호도가 감소하였으며, 올리브유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 관능특성 중 유의성이 있었던 항목의 최대값을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비율은 자맥가루 10.00%, 올리브유 1.45%로 이 경우에 기호도는 색 6.45, 외관 6.60, 조직감 6.13, 맛 5.96, 전체적 기호도 6.37로 산출되었다. 또한 다소 관능평가 점수가 낮아지더라도 자맥가루를 첨가량을 최대로 늘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 결과, 자맥가루가 15.85~22.10%에서는 올리브유 첨가량에 관계없이 5.0의 전체적 기호도를 보였고, 자맥가루가 14.62% 이하일 때 올리브유 첨가량에 관계없이 6.0 이상의 전체적 기호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이용한 식빵을 비롯한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 식빵의 제조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White Pan Bread Preparation by Addition of Black Barley Flour and Olive O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진곤;김영호;오종철;유현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80-190
    • /
    • 2013
  • 흑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식빵의 영양성과 기호성을 개선하기 위해, 밀가루 대체 흑맥가루 첨가량은 6-34%로, 쇼트닝 대체 올리브유 첨가량은 0.6-3.4%로 첨가량을 달리 하여 식빵을 제조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하여 최적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무게, 부피, 비용적, 명도, 적색도, 황색도,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이 linear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검성은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다. 관능적 특성 중에서는 색, 외관, 조직감, 맛, 전체적 기호도가 quadratic 모델이 채택되었고, 향은 이차 회귀분석에 대한 설명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중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무게, 적색도,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이 증가하였고 부피, 비용적, 명도, 황색도,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이화학적 특성과 물성 특성에 흑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이 올리브유 첨가량에 대한 영향 보다 컸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향을 제외한 모든 관능검사 항목에서 흑맥가루와 올리브유 첨가량에 의해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으며, 올리브유에 대한 영향은 흑맥가루 첨가량에 대한 영향보다 적었다. 관능특성 검사 결과 중 유의성이 있었던 모든 항목의 최대값을 목표범위를 충족시키는 최적의 배합비율은 흑맥가루 18.00%, 올리브유 1.80%로 산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흑맥가루와 올리브유를 이용한 식빵을 비롯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양한 곡류의 Sourdough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Using Various Grain Flours)

  • 이경숙;박금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64-279
    • /
    • 2015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sourdough to various grain flours in bread, specifically, in regards to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read dough, sensory evaluation, and bread storage. As the incubation time of sourdough increased,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Viable yeast counts of sourdough increased consistently until the third day, while lactic acid bacteria counts increased until the second day. The weight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with rye flour, strong flour, and Korean wheat flour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However, the height,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control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s with sourdough made with various grain flours. The pH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while the total titratable acidity and moisture cont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In analyzing the visible mold colony during the five days of storage at $30^{\circ}C$, mold growth in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barely flour, and rye flour was retarded. In the color measurement, the L values of the control and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with barley flour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after five days. The a value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rye flour was higher, and the b values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barley flour and rye flour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after five days. The hardness of breads containing sourdough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where as breads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Korean whole wheat flour, and rye flour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control group. Sensory evaluation scores in terms of after swallowing,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of bread containing sourdough made of Korean wheat flour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Effects of Blends of Low-Protein Winter Wheat Flour and Barley Byproducts on Quality Changes in Noodles

  • Lee, Na-Yo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4호
    • /
    • pp.361-366
    • /
    • 2016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fresh noodles made with blends of low-protein wheat flour and barley byproduct (BBP, $250{\mu}m$) were investigated. The crude protein contents (PC) of flour from Goso and Backjoong cultivars were 7.91% and 7.67%, respectively. PC and ${\beta}$-glucan contents from the BBP were 14.10% and 3.11%,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in wheat flour. The water-holding capacity (WHC) of various blends was increased as a function of BBP but not gluten contents. Goso flour had the highest starch content (78.68%), with peak and final viscosities of 3,099 and 3,563 cp, respectively. Peak and final viscosities, trough, breakdown, and setback of the blends were decreased with the addition of BBP. Noodles made with Backjoong had the highest thickness score, while the hardness of noodles made with blends of Goso or Backjoong and 20% BBP were similar to those made from wheat flour only. The WHC of the samples was strongly correlated with PC, crude fiber, and ${\beta}$-glucan. The PC was not correlated with final viscosity, setback, thickness, hardness, gumminess, or chewiness.

보리류(類)의 제분방법(製粉方法)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illing Method of Barley and Naked-barley)

  • 김희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33-137
    • /
    • 1974
  •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이용(利用)한 보리류(類)의 제분성(製粉性)을 구명(究明)코자 하는 의도 하에 국산(國産) 보리류(類) 4종(種)과 미주산(美洲産) 수입(輸入)밀(혼합(混合)) 1종(種)에 대하여 Tempering 최적조건(最適條件), 제분수율(製粉收率),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의 Stock의 흐름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리류(類)의 최적(最適) tempering 조건(條件)은 겉보리가 수분(水分) 15%에서 24시간(時間), 쌀보리가 수분(水分) 14%에서 48시간(時間), 겉보리쌀과 쌀보리쌀은 수분(水分) 13%에서 48시간(時間)이다. 2) 보리류(類)의 가루는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 뒤로 밀리기 때문에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이용(利用)하려면 공정(工程)의 부분적(部分的) 재조정(再調整)이 필요(必要)하다. 3) 보리류(類)의 제분성(製粉性)은 겉보리쌀, 쌀보리쌀, 쌀보리, 겉보리의 순(順)으로 좋으나, 겉보리쌀과 쌀보리쌀은 정곡(精穀)인 까닭에 1차 도정(搗精, 2차 제분(製粉)의 두 단계(段階) 가공과정(加工過程)을 거쳐야 하므로 가공비용(加工費用)이 과중(過重)하게 되고 수율(收率)에 있어서도 조맥(粗麥) 대(對) 분(粉)의 비율(比率)이 조맥제분(粗麥製粉)에 비(比)하여 겉보리쌀은 13.6%, 쌀보리쌀은 12.5%가 떨어지므로 경제성(經濟性)이 불리(不利)하다. 4) 밀과 보리류(類)를 9 : 1로 혼합제분(混合製粉)한다면 밀 제분공정(製粉工程)을 그대로 이용(利用)할 수 있다. 5) 겉보리는 쌀보리에 비(比)하여 수율(收率)이 6% 떨어지고 제분공정(製粉工程)에서 거칠은 외과피(外果皮)가 부에 혼입(混入)되어 사료적(飼料的) 이용가치(利用價値)를 결정적(決定的)으로 떨어뜨린다. 6) 밀과의 혼합제분용(混合製粉用)으로는 쌀보리가 가장 좋다.

  • PDF

맥분(麥粉)의 이용(利用)에 관한 연구(硏究) (I) (Studies on the Utilization of Naked Barley Flour (I))

  • 김형수;이기열;최이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7-83
    • /
    • 1972
  • 맥분(麥粉)의 가공적성(加工適性)을 알아보기 위해서 나맥(裸麥) Sedohadaka(1971년도(年度) 수확(收穫), 전남지방산(全南地方産))을 정맥(精麥)한 후 다시 제분(製粉)하여, 이것의 일반성분(一般成分) 및 아미노산조성(酸組性)과 점성(粘性), 팽화력(膨化力) 나맥전분(裸麥澱粉)의 amylose 함량(含量), 이것의 alkali number와 blue value, 및 X 선회절상(線廻折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조나맥(粗裸麥)을 81.6%, 79.2%, 74.1%로 제분(製粉)하는 경우 조섬유(粗纖維)의 함량(含量)이 $2.48{\sim}2.36%$로서 소맥분(小麥粉)에 비해서 높은 편이다. 2) 나맥분(裸麥粉)의 호화개시온도(糊化開始溫度)는 소맥분(小麥粉)과 비슷하였으나 나맥전분(裸麥澱粉)의 그것은 $89.5^{\circ}C$로 곡류전분중(穀類澱粉中)에서 높은 편이다. 나맥전분(裸麥澱粉)의 amylose 함량(含量)은 28.5%로 소맥전분(小麥澱粉)과 비슷하였다. 3) 나맥분(裸麥粉)의 팽화력(膨化力)은 곡류전분(穀類澱粉)보다 낮은 편이다. 4) 나맥전분(裸麥澱粉)의 X 선회절도(線回折圖)에 의하면 그 결정화도(結晶化度)가 멥쌀전분보다 낮은 경향이다.

  • PDF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6보 복합분(複合粉)에 의한 제(製)빵에 있어서 첨가제(添加劑)의 영향(影響)-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Part VI. Effect of Additives on the Bread-making Quality with Composite Flours-)

  • 김형수;이희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06-115
    • /
    • 1977
  • 쌀보리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의 각 가루와 밀가루(강력분)를 3 : 7로 혼합(混合)한 복합분(複合粉)을 이용한 제빵에 있어서 첨가제(添加劑)로서 glyceryl monostearate(GMS), sodium stearyl lactylate(SSL),calcium stearyl lactylate(CSL), xanthan gum(XG),polysaccharide(PS)를 단독 또는 혼용(混用)하였을 때의 영향을 검토하고자 sedimentation test, amylograph 점성측정(?性測定), 제빵등의 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Sedimentation value는 밀가루, 옥수수가루, 김자가루, 고구마가루, 쌀보리가루 순으로 그 값이 낮아졌으며, 밀가루와 3 : 7로 혼합(混合)한 후 첨가제(添加劑)를 첨가(添加)한 결과(結果) 모두 그 값이 증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첨가제(添加劑)의 효과는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 크게 나타났다. 첨가제별(添加劑別)로 살펴보면 GMS 1%+CSL 1%를 첨가(添加)한 것과 GMS 1%+SSL 1%첨가구는 비슷하게 증가효과가 크다. XG를 첨가(添加)한 경우는 gum이 산(酸)에 의해 응고되어 침전되지 않음으로 측정(測定)되지 못하였다. 2) 각 복합분(複合粉)의 amy!ograph점성(?性)에 미치는 첨가제(添加劑)의 영향은 GMS 1%+SSL 1%를 첨가한 것이 호화온도(糊化溫度), 최고점도(最高點度), 냉각정도에 있어서 그 상승효과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GMS 1%+CSL 1%를 첨가(添加)한 것이었고, GMS 1%+XG 1%, GMS 1%+PS 1%를 첨가(添加)한 것은 영향이 크게 못하였다. GMS 1%+XG 1%를 첨가(添加)한것은 모든 실험구에서 호화온도(糊化溫度)를 낮게 하였다. 3) 각종 복합분(複合粉)에 의한 제빵에 있어서의 첨가제(添加劑)의효과는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는 GMS 1%+CSL 0.5% 첨가구가 빵의 SLV를 높이는 면에서 가장 우수 했고,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복합분(複合粉)에서는 GMS 1%+SSL 0.5% 첨가구가 가장 우수한 결과(結果)를 나타냈다. 반면에 XG의 첨가(添加)와 PS의 첨가(添加)는 빵의 loaf volume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였다. 특히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의 경우는 첨가제(添加劑)를 사용하면 그 loaf volume이 개선되어 표준빵과 매우 유사했고 외관, 식미(食味), texture등이 매우 좋았다. 4) 쌀보리가루 복합분(複合粉)에 SSL, CSL, XG, PS를 단독 1% 수준으로 첨가(添加)한 경우는 빵의 loaf volume이 개선되지 못하였다.

  • PDF

섬유소가 풍부한 곡분으로 만든 머핀의 품질 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Made with Various Cereal Powders in Dietary Fiber)

  • 김현아;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8-8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consumption of cereals rich in dietary fiber by substituting brown rice, barley, oat and goami powder for flour in making muffins. All cereals powder was prepared by grinding for 15 min. The appropriate water quantity for cereal powders muffins was set at 105 mL. The volume index of the flour muffins was 132 mL, while that of cereal powders muffins was 117 mL for broun rice muffins, 118 mL for barley muffins, 132 mL for oat muffins and 119 mL for respectively for goami powder muffins. The hardness of the flour muffins, measured by a texture analyzer, was $2.03{\times}10^3\;g/cm^2$, and the other powder muffins were $3.27{\times}10^3\;g/cm^2$ for broun rice muffins, $3.33{\times}10^3\;g/cm^2$ for barley muffins, $2.38{\times}10^3\;g/cm^2$ for oat muffins, and $2.33{\times}10^3\;g/cm^2$ for goami powder muffins respectively. The L-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goami powder muffin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uffins.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preference was the highest in oat powder muffi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