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ley $\alpha$-amylase 2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산 Triticale 의 식품 이용에 관한 연구 (Nutritional Quality and Food-Making Performance of Some Triticale Lines Grown in Korea)

  • 신현국;배성호;박무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9-65
    • /
    • 1980
  • 한국산 triticale과 연질 밀을 사용하여 그들의 이화학적 특성, 제분 특성 및 제품 특성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riticale은 단백질 함량이 높고 아미노산 조성도 밀 보다 양호하였으나 제한 아미노산은 역시 lysine이었다. 2. Triticale 의 식품 이용상의 문제점은 밀가루 수율이 떨어진다는 점과 $\alpha-amylase$ 역가가 높다는 점이었다. 3. 밀가루 수율이 밀보다 약 10% 정도 낮았으며 제빵으로 이용하는 경우 빵의 용적이 밀 보다 떨어졌다. 4. 그러나 triticale도 국수 제조에는 큰 문제가 없었으며 $M_{1}A$ 품종의 경우 특히 국수 적성이 양호하였다.

  • PDF

결명자(決明子)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타감성(他感性) 저해(沮害) 작용(作用)에 대한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기작(機作) (Physiochemical Mechanism of Allelopathic Inhibition by Water Soluble Extracts from Sicklepod(Cassia tora L.) Seeds)

  • 임선욱;문경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89-196
    • /
    • 1993
  •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타(他) 식물(植物)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및 생육(生育)을 억제(抑制)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인다는 것이 확인(確認)되었으며, 이 현상(現象)을 이용(利用)하여 자연(自然) 생태계(生態系) 또는 농업(農業) 생태계(生態系)에서 널리 일어나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의 일반적(一般的)인 작용(作用) 기작(機作)을 이해(理解)하고자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을 처리(處理)하여 발아(發芽) 시간별(時間別)로 수분(水分) 함량(含量), ${\alpha}$-amylase의 활성(活性), protease의 활성, abscisin산(酸)의 함량(含量),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함량(含量) 등(等)을 측정(測定)하여 이를 무처리구(無處理區)와 비교(比較),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한다. 1. 무우, 벼, 상치, 보리 종자(種子)의 발아(發芽) 실험(實驗)으로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에 기인(起因)하는 물질(物質)이 발아율(發芽率)을 저하(低下)시키는 타감(他感) 현상(現象)을 보이며, 상치와 무우에서 특(特)히 뚜렷하였다. 2.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한 무우의 발아저해(發芽沮害)는 단백질(蛋白質) 합성기(合成期)에 protease 활성(活性)(합성(合成))의 증가(增加) 이후에 수분함량(水分含量)의 감소(減少)와 더불어 전(全) phenol 화합물(化合物)의 축적(蓄積)(분해저해(分解沮害))의 순서(順序)로 진행(進行)되었다. 3. 반면, 벼에서는 결명자(決明子) 종실(種實)의 수용성(水溶性) 추출물(抽出物)의 처리(處理)에 의해서 abscisin산(酸)의 축적(蓄積)에 따른 ${\alpha}$-amylase의 활성(活性)(합성(合成))감소(減少)에 의해 발아(發芽)가 저해(沮害)되어 Einhelling의 가설(假說)과 부분적(部分的)으로 일치(一致)하였다.

  • PDF

방사선(放射線) 조사(照射)에 의(依)한 맥아역가증대(麥芽力價增大)에 관(關)한 연구(硏究)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Enzyme Activities of Green Malt)

  • 김병묵;김형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31-136
    • /
    • 1969
  • 저선량(低線量) 방사선(放射線)의 생물학적(生物學的) 촉진효과(促進效果) (possitive effect)는 이미 주지(周知)된 사실(事實)인 바 맥아(麥芽)의 역가증대(力價增大)에 대(對)한 그 응용성(應用性) 여하(如何)를 검토(檢討)하기 위(爲)하여 대맥종자(大麥種子)에 10, 100, 1000, 10000 rads의 ${\gamma}$선(線)을 조사(照射)하고 맥아(麥芽)를 만들어 기중(其中)의 몇몇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을 측정(測定)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표준구(標準區)에 비(比)해 조사구(照射區)의 생체중(生體重)은 1,000rads 이하의 저선량구(低線量區)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나 10,000rads의 고선량구(高線量區)에서는 감소(減少)되었다. 2. ${\alpha}$-amylase activity 및 당화력(糖化力)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증대(增大)되었으며 특(特)히 100rads 구(區)에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다. 증대효과(增大效果)는 ${\alpha}$-amylase activity의 경우 $26{\sim}69%$ 당화력(糖化力)의 경우 $87{\sim}178%$이었다. 3. pretense activity는 1,000rads이하의 저선량구(低線量區)에서는 거의 변화(變化)가 없고 10,000rads의 고선량구(高線量區)에서는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4. 생맥아중(生麥芽中)의 환원당(還元糖) 함량(含量)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감소(減少) 되었으며 특(特)히 100, 1,000 rads 구(區)에서 더욱 감소(減少)되었다. 5. 생맥아중(生麥芽中)의 soluble protein 함량(含量)은 전조사구(全照射區)에서 증가(增加)되었으며 특(待)히 100rads 구(區)에서 가장 증가(增加)되었다.

  • PDF

보리 ${\beta}-Glucan$ [mixed-linked $(1-3),(1-4)-{\beta}-D-Glucan$의 리올로지 특성 (Studies on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Barley ${\beta}-Glucan$ [mixed-linked $(1-3),(1-4)-{\beta}-D-Glucan$])

  • 김미옥;차희숙;구성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21
    • /
    • 1993
  • 보리를 thermostable ${\alpha}-amylase$와 amyloglucosidase로 처리하여 ${\beta}-glucan$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정제한 후, 보리 ${\beta}-glucan$의 여러가지 리올로지 특성치들을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제조한 ${\beta}-glucan$의 함량은 64%이었다. crude한 시료를 정제과정을 통해 순수한 ${\beta}-glucan$을 얻었으며 순수한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290 dl/g 이었다. pH 의존성은 pH 7일 때, 고유점도가 2.290 dl/g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산성과 알칼리성이 강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다. 산성보다는 알칼리성이 pH 의존성이 크게 나타났다. 염농도의존성에서는 염을 가하지 않았을 때 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2.290 dl/g이었으나, 염존재하에서는 고유점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염농도의존성을 나타냈다. 10% glycerol 용액에서 보리 ${\beta}-glucan$의 고유점도는 1,360 dl/g이었으며 8 M urea 용액에서 고유점도는 4.114 dl/g로 나타났고, urea 제거후의 고유점도는 1.686 dl/g로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Chain stiffness는 0.05이었으며 온도에 대해서는 매우 안정하였다. Zero shear specific viscosity에서는 $C{\cdot}[{\eta}]=0.573$이었으며, specific viscosity는 0.327로서 0.573 g/dl농도 이상에서 entanglement가 시작되며, 보리 ${\beta}-glucan$의 농도의존성은 1.0 g/dl, 2.0 g/dl 농도용액에서 newtonian fluid 성질을 나타냈고, 3.0 g/dl 농도 이상일 때는 pseudoplastic behavior를 보여주는 동시에 thixotropic hysteresis가 일어나는 특성을 보였다. Dynamic 성질로서는 4.0 g/dl 용액에서 damping이 0.5 frequency에서 나타나며, 0.5 frequency 이하일 때는 viscous behavior 성질이 있고 0.5 frequency 이상일 때는 elastic behavior 성질을 나타냈다.

  • PDF

주정증류 폐기물의 당화 및 구연산 발효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Saccharification and Citric Acid Fermentation of Alcoholic Distillery Waste(I))

  • 서명교;서근학송승그
    • KSBB Journal
    • /
    • 제5권4호
    • /
    • pp.383-390
    • /
    • 1990
  • 주정공장에서 배출되는 쌀보리 주정증류 폐기물을 효소와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구연산 발효를 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폐기물을 농축하여 당의 농도를 50g / l로 하였을때 글루코오즈, 구연산 및 균체농도는 각각 5.7g / l, 0.8g / l 및 3.86g / l가 얻어졌고 $\alpha$- 및 $\beta$-amylase에 의한 폐기물의 효소 가수분해에 의해서 글루코오즈, 구연산 및 균체농도가 각각 81g / l, 1g / l 및 5.33g / l가 얻어졌으며 25% 염산에 의한 산가수분해에 의해서는 각각 21.5g / l, 1.75g / l 및 4.9g / l가 얻어졌다. 10시간동안 계속된 2차 산 가수분해를 행한 결과 글루코오즈의 농도가 3.44g / l로 장기간의 산 가수분해는 생성된 글루코오즈를 분해시키는 속도가 3당류 이상의 올리고 환원당의 분해속도보다 빨랐다. 폐기물내 균체 접종량을 0.5%에서 2%로 증가시킴에 따라 균체농도는 1.35g / l에서 3.71g / l 로 증가 하였으나 구연산 농도는 0.4g / l에서 0.12g / l로 감소하였으며 또한 질산암모늄을 3g / l를 첨가할 경우 균체 농도는 3.7g / l에서 7.3g / l로 증가하였으나 구연산 농도는 0.12g / l에서 0.08g / l로 감소되었다. $MnSO_4{\cdot}4~5H_2O$의 농도가 0.0125g / l 일때 구연산 생산량이 가장 많았으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구연산 생산이 감소하였으므로 금속이온이 과다하게 존재할때는 구연산 생산이 저해됨을 알았다.

  • PDF

효소적 방법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Enzymatic Isolation of Husk from Barley Kernel)

  • 안병윤;안경혜;조재선;권태완;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4-256
    • /
    • 1984
  • 가열처리에 의한 전분의 호화작용과 아밀라제에 의한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한국산 곁보리(강보리와 올보리)및 쌀보리 (백동과 세도하다가)의 피층을 분리 측정하고 피층함량을 종래의 산, 알칼리 방법과 비교하였다. 효소적 방법을 이용한 피층함량은 강보리와 올보리의 경우 각각 14.9%, 15.1%이고, 백동 및 세도하다가는 각각 11.6%. 10.2% 이었다. 산처리방법에 의한 피층함량은 겉보리의 경우 $12{\sim}13%$. 찰보리의 경우 $5{\sim}7%$ 이었고 알칼리방법의 경우 겉보리는 $13{\sim}15%$. 찰보리는 $7{\sim}8%$의 피층함량을 나타내었다. 효소처리방법에 의해 분리한 피층의 단백질, 지방. 회분함량은 각각 $4{\sim}8%$. $5{\sim}11%$. $0.2{\sim}0.6%$이었으며 조섬유함량은 $20{\sim}40%$이었다. 효소처리에 의한 보리피층의 분리 방법은 기존의 산, 알칼리 처리와 비교할 때, 피층물질을 직접 분리 회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 PDF

위생캔으로 제조한 감주 음료의 품질 평가와 금속물질 함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Evaluation and Metal Content of Sanitary Canned Kamju Beverage)

  • 허윤행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2호
    • /
    • pp.18-26
    • /
    • 2000
  •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Kamju(sikhae), Korean traditional sweat fermentated rice drink, Kamju made with laboratory fermenting from both covered barley malt and that added to commercial $\alpha-amylase$ and commercial sikhae ca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d follows 1. The amylase activities in L-malt(laboraory made malt), C-malt(commercial malt) were 25,065 units, 20,498 units at $60^{\circ}C$ and when heating at $60^{\circ}C$ for one hour their heat stability was getting lower and while at $70^{\circ}C$ after 2 hours both their heat stability was under 21%. 2. The external appearance, of all samples, in beating test, flipper, springer and leaker test were excellent and good valued. On the open test of sample can, head space was 7.9~9.0mm, net weight 247~250g, 432~435g, pH 4.96-5.76, Brix 13.2~14.0 and vacuum degree was 29~35cmHg. 3. The sucrose content of sample 1~5 was 8,57~10.01% highest ammount than sample 6(0.91%) 7(0.43%) and maltose content of sample 1~5 was 0.65~1.41% lower than 6 was 7.91% and 7 was 8,36%. The good traditional flavor texture and saccharides components content of glucose of sample 1~5 was 1.09~1.51, 6(3.86%), 7(3.97%), fructose content of sample 1~5 was 0.45~0.95%, 6(2.76%), 7(2.81%), maltotriose and raffinose of sample 1~5 were 0.04~0.291, 6(0.61%), 7(2.81%), and solid content of sample 1~5(3.1~3.8) was lower than 6(10.25%), 7(10.09%). 4. The result of sensory test as measured as lemone yellow of sample 6 and milky of sample 7, and weetness, flavor, color, traditional texture and sensory value for sample 1~5(3.1~3.8) was lower degree than that for 6(4.5), 7(4.0). 5. Among the heavy metals analyzed from sample cans, tin, iron and lead content for sample 1~5 were 31.95~36.71ppm, 5.84~6.39ppm and 0.075~0.09ppm while their content of sample 6.7, tin, 32.91ppm, 32.87ppm, iron 5.51ppm, 5.41ppm and lead, 0.074ppm, 0.079ppm.

  • PDF

Bacillus subtilis HJ18-4를 이용하여 제조한 대맥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Soybean Paste (Daemaek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HJ18-4)

  • 김지연;이선영;박나영;최혜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743-749
    • /
    • 2012
  • 별미장은 메주를 다른 방식으로 띄운다든가 대두 이외의 부재료를 섞어 특별한 맛을 낸 장 또는 계절에 따라 별미로 담아 먹는 단기장을 의미하며, 대맥장은 검정콩과 보리를 이용하여 만든 별미장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소 활성 및 항균 활성이 뛰어난 B. subtilis HJ18-4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대맥장의 발효 중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발효 후 6 또는 9일째 급격히 상승했다가($41.45{\pm}0.3-42.72{\pm}0.16$, $21.84{\pm}0.24-23.11{\pm}0.35unit/g$), 이후 일정하거나 약간 감소하였으며, 환원당 함량은 ${\alpha}$-amylase 활성과 일치하는 변화를 보여 발효 6일째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23일째 $173.78{\pm}3.51-195.63{\pm}1.51mg%$까지 증가하다가 이후 비교적 일정하였으며,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은 발효 후 6일째에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9일째부터 다시 감소하였다. 혐기성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발효 기간 중 약간 증가하였다가 감소하였으며, 유산균수가 $7.91{\pm}0.05-8.17{\pm}0.02log\;CFU/g$으로 높은 값으로 나타났다. 효소 활성, 환원당 및 질소 함량, 혐기성 총균수와 유산균수는 처리구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호기성 총균수와 B. cereus 생균수는 발효 30일에 B. subtilis HJ18-4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수치를 보였으며, treat-2 보다 treat-1이 유의하게 낮았다. 다른 품질 특성은 비슷하면서 일반 세균과 B. cereus가 가장 낮게 검출되어 안전성이 우수한 treat-1의 경우, glutamic acid가 높은 값으로 나타나 관능적으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되며,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도 다량 검출되었다. 대맥장은 30일간 발효 시 가식 가능한 아미노태 질소가 생산되며,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이 낮아져 불쾌취가 감소되고, 다량의 glutamic acid를 비롯한 아미노산과 유기산, 그리고 유산균이 풍부하여 관능성과 영양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B. subtilis HJ18-4 적용 메주를 이용하여 장을 제조하면 일반 세균과 B. cereus 억제 효과가 뛰어나 안전성이 확보되므로 여러 다른 장류에도 응용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곡류의 혈당지수와 전분 가수분해율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Glycemic Index and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Cereals)

  • 이정선;신현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229-1235
    • /
    • 1998
  • 본 실험은 in vitro에서 곡류시료의 전분 가수분해율 및 가수분해지수를 조사하였고 아울러, in vivo에서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곡류의 혈당지수를 포도당(GI-glucose)과 쌀밥 (GI-rice)을 기준으로 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이러한 in vitro 및 in vivo 결과의 상관성을 검토해 봄으로써 in vitro에서의 전분 가수분해실험이 인체의 혈당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In vitro에서 각 시간별로 측정한 전분 가수분해율은 시간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현미찹쌀이 가장 높고 보리가 가장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전분 가수분해곡선 면적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보리가 83%로 가장 낮았고 현미찹쌀이 112%로 가장 높았다. 그외는 율무, 차조, 차수수, 메밀, 현미멥쌀, 찹쌀, 멥쌀, 메조의 순으로 전분 가수분해지수는 각각 107, 105, 103, 102, 96, 96, 95, 92%이었다. 한편 곡류의 GI-glucose는 찹쌀군이 110%로 가장 높았고 보리군이 57%로 가장 낮았다. 또한 GI-rice는 차수수군 122%, 율무군 116%, 차조군 115%, 현미찹쌀군 106%, 찹쌀군 102%, 멥쌀군 100%, 현미멥쌀군 90%, 메조군 85%, 메밀군 79%, 보리군 63%로 나타났다. 이상의 in vitro 실험 결과와 in vivo 실험 결과를 통계처리 하였을 때 15, 30, 60, 90 및 120분의 전분 가수분해율, 가수분해곡선 면적 및 가수분해지수는 모두 GI-rice와 유의적인(p<0.05) 상관관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다단계 회귀분석에 의한 회귀방정식에서 GI-rice는 in vitro 실험결과의 변수에 의해 81%의 설명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곡류의 in vitro 전분 가수분해율은 곡류 섭취 후의 인체 내 혈당지수인 GI-rice를 반영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필름용액의 pH를 10.0으로 조절하고 가소제와 가교제를 첨가함으로써 혼합원료 중 유청분말의 비율을 70%까지 사용하여 양호한 기계적 성질을 지닌 생고분자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40.64{\sim}101.30)$, 7-ketocholesterol $(7.16{\sim}33.91)$. 모든 결과에서 처리구에 따른 콜레스테롤 산화물의 전체 발생량은 조사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발생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를 동시에 일으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trans-2-hexanol이 147.33 peak area%인 것과 유사(類似)하게 높았다.tarrow}6$보다 $4{\beta}{\rightarrow}8$의 결합방식이, 그리고 procyanidin 류에서는 gallate를 갖는 물질이 이를 함유하지 많은 물질보다 더욱 높은 ACE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또한 hydroxyl 기가 많을수록 효소 저해효과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chocolate의 주원료인 cacao bean의 polyphenol 성분 또한 녹차 등에서 볼 수 있는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균주들의 유전학적 분석목적에 가장 신뢰도 높고 감별능력이 뛰어난 분석기법으로 선발되었다.cid로부터 cyclooxygenase를 통해 일단 생성된 endoperoxide에서 각각의 prostaglandin을

  • PDF

유아식품(乳兒食品)의 소화율(消化率)과 영양적(營養的) 의의(意義) (Digestibility of Infant Food and its Nutritional Meaning)

  • 홍기욱;유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7권1호
    • /
    • pp.17-23
    • /
    • 1974
  • 밀가루, 보리가루, 감자가루, 고구마가루 등 재료용(材料用)가루 4종과 비스켓, 크랙카, popped-cake (corn-flour), 식빵, 카스테라, 라면과자, 이유식(離乳禽)(I), 이유식(離乳食)(II)등 전분질(澱粉質) 식품(食品) 8종(種)에 대(對)해서${\beta}-Amylase$에 대(對)한 소화율(消化率)을 30분(分), 1시간(時間), 3시간(時間)등 경시적으로 측정(測定)한 결과(結果)와 설문지법에 의한 유아식품(乳兒食品)의 기호도(嗜好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재료용(材料用) 가루들의 소화율(消化率)은 생분(生粉)의 경우 $5{\sim}11%(3hrs)$였고, 고구마가루가 가장 낮았으며, 호화처리(糊化處理)한 가루들은 $20{\sim}30%(3hrs)$로 상승(上昇)하였고, 역시 감자가루, 고구마가루가 보리가루, 밀가루보다 낮은 편이다. (2) 비스켓, 크랙카, popped cake (corn-flour)의 소화율(消化率)은 호화처리(糊化處理)를 하지 않은 경우, 비스켓, 크랙카는 popped cake(corn-flour) (29%)에 비(比)하며 크게 떨어지고, 비스켓 ,크랙카를 호화처리(糊化處理)하면 $19{\sim}29%(3hrs.)$${\alpha}$화(化) 재료분(材料粉)에 비슷하였다. (3) 식빵, 카스테라의 소화율(消化率)은 $21{\sim}32%$${\alpha}$화(化) 재료분(材料紛)과 비슷하였고, 카스테라보다 식빵이 높았다. (4) 이유식(離乳食)의 소화율(消化率)은 이유식(離乳食)(I)이 24.1%(3hrs.)에 비(比)하여, 이유식(離乳食)(II)는 15%(3hrs.)로 크게 낮았다. (5) 제조(製調) 시기(時期)가 $1{\sim}2$개월(個月) 경과한 일부(一部) 과자류에서는 소화율(消化率)이 떨어지는 경향이며, 시판(市販) 이유식(離乳食) 중(中)에는 소화율(消化率)이 크게 낮은 것도 있다. (6) 어머니들이 아기들의 이유식(離乳食)을 선택(選擇)할 때 양양가(營養價)(42%), 소화율(消化率)(27%)을 많이 고려하며, 집에서 이유식(離乳食)을 만들어 주는 경우, 쌀가루(41%), 밀가루(23%)가 높은 빈도수를 보이고, 소화정도(消化程度)는 쌀가루가 49%, 밀가루가 23%로 그 다음이다. (7) 소화(消化)가 잘 된다고 생각되는 이유식(離乳食)으로서는 밥류(16%)와 시판이유식(市販離乳食)(13%)이 다소 높은 편이고, 선택성(選擇性)이 비교적(比較的) 높은 간식(間食)으로는 비스켓류(類)(44%)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