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 content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4초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폐타이어칩의 영향 (Effect of Waste Tire Chips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 김홍열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17-21
    • /
    • 2009
  • 본 실험은 폐타이어칩이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잎, 줄기의 지상부 생장은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지상부의 생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총근수, 신근수, 근장 등 지하부의 생장도 지상부의 생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패근수는 폐타이어칩 중립과 대립의 단용구에서 증가하였다. 전당, 전분, 엽록소와 N, P, K 등 무기양분의 함량도 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으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감소하였다.

목탄 및 수피탄의 중금속 이온 제거 (Removal of Heavy Metal Ions Using Wood Charcoal and Bark Charcoal)

  • 조태수;이오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4호
    • /
    • pp.29-37
    • /
    • 2007
  • 탄화온도 차이에 따른 목질 탄화물의 중금속 흡착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목부와 낙엽송(Larix kaempferi) 수피분말을 $400{\sim}900^{\circ}C$에서 탄화하였다. 목질 탄화물의 pH는 재료의 종류와 관계없이 탄화온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여 $900^{\circ}C$의 목탄 및 수피탄은 각각 10.8, 10.4를 나다내었다. 또한 탄화 온도 증가와 함께 탄소함량비가 증가하고 동일 탄화온도에서 목탄에 비해 수피탄의 탄소함량비가 큰 경향을 보였다. 액상흡착력을 나타내는 요오드흡착력은 목탄이 수피탄보다 다소 큰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목탄과 수피탄에 의한 15ppm의 Cd, Zn 및 Cu 중금속용액에 대한 흡착제거율을 조사한 바, 높은 탄화온도에서 제조된 목탄과 수피탄일수록 높은 중금속제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탄화물 종류에 있어서는 목탄이 수피탄 보다 높은 중금속 제거율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었다. 특히 목탄의 경우, $500^{\circ}C$ 이상에서 제조된 탄화물 0.2 g의 사용으로 거의 100%에 가까운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한편 흡착질 종류에 있어서의 제거성능에는 다소 차이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탄화물의 흡착성은 Cu>Cd>Zn 순으로 높았다. 이는 목탄과 같은 흡착제와 흡착의 대상이 되는 흡착질과의 물리 화학적 상호관계가 흡착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목탄의 흡착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tudies on The Nutrition of Apple Trees with Reference to The Bark Necrosis Disease

  • 박영대;김영섭;이동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권
    • /
    • pp.43-47
    • /
    • 1964
  • 근년(近年) 우리나라의 과수생육(果樹生育)을 해(害)치는 Bark Necrosis의 원인(原因)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엽(葉) 및 토양분석(土壤分析)의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망강은 본병유인(本病誘因)의 가장 중요(重要)한 인자(因子)의 하나이며 1962년(年) 필자(筆者)에 의(依)하여 얻어진 결과(結果)와 동일(同一)하다. 이병상(罹病狀)은 엽중(葉中) Mn 904 ppm에서 발생(發生)하였으며 평균(平均) 이병엽(罹病葉)의 Mn 함량(含量)은 건전엽(健全葉)(외관상(外觀上))의 4배(倍)이다. 이상(以上) 기술(記述)한 바와 같이 본(本) Bark necrosis는 Mn 과다흡수(過多吸收)에서오는 Mn-toxicity이며 Berg가 말한 "Internal Bark necrosis"이다. 본(本) Bark necrosis를 방지(防止)하기 위하여서는 토양(土壤) pH를 높이거나 혹은 다른 방법(方法)으로 과수(果樹)의 Mn 흡수(吸收)를 감소(減少) 시켜야 한다.

  • PDF

육계 및 기원종별 계피의 지표성분 함량 비교 (Quantitative Comparison of Cinnamomi Cortex and Various Cinnamon Barks using HPLC Analysis)

  • 김한영;김정훈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3-35
    • /
    • 2024
  • Objective : In this study, we performed quantitative comparison on the content of 10 marker compounds in cinnamon barks from different species and found chemical discrimination between genuine Cinnamomum cassia and other Cinnamomum species (Non C. cassia). Methods : Cinnamon bark samples were extracted using the ultrasonication in 100% methanol for 30 minutes. The samples were analys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The analytical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met all validation criteria and was applied to the quantification of the 10 marker compounds in cinnamon bark samples. The major chemical discrimination of C. cassia were identified as low content of epicatechin and eugenol, and high contents of benzaldehyde, cinnamaldehyde and cinnamic acid compared to other Non C. cassia samples. Especially, among other compounds, the content of cinnamaldehyde was the highest in the C. cassia and Non C. cassia samples. The result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ed that the samples of C. cassia and Non C. cassia were clearly differentiated via benzaldehyde, cinnamaldehyde, cinnamic acid, eugenol, and epicatechin, which influenced on clustering C. cassia and Non C. cassia samples. Conclusion : C. cassia and Non C. cassia samples were chemically discriminated using the quantitative HPLC analysis.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quality of herbal medicines containing Cinnamomi Cortex.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discrimination between C. cassia and Non C. cassia species to evaluate cinnamon bark quality.

Screening of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of Paulownia coreana Bark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an Edible Oil

  • Lee, Nam Gull;Jeong, Kap Seop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17-1325
    • /
    • 2013
  • Paulownia coreana is a medicinal, edible and industrial plant with the largest leaf, and is native to Korea. We evaluated the reducing power activitie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SAs),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NSAs)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cation RSAs by solvent extraction of P. coreana bark by using $50^{\circ}C$ hot water and $25^{\circ}C$ methanol. The antioxidative effect of P. coreana bark extract on corn seed oil was evaluated using the Rancimat test. The extraction yields on dry weight basis with 15 folds of hot water and methanol were 23.88% and 5.30%, respectively; further the flavonoid content in the hot water extract was over 2.5 times more than that in the methanol extract. The DPPH RSA of the methanol extract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 whereas the NSA of the water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methanol extract at pH 1.2. The ABTS RSAs of the two extracts were almost the same as that of ascorbic acid and 2,6-ditertiarybutyl hydroxytoluene. The two extracts of P. coreana bark in this study were found to slightly improve the oxidation stability of corn seed oil.

한국산(韓國産) 주요(主要) 수종(樹種) 수피(樹皮)의 이학적(理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소나무속(屬), 사시나무속(屬), 참나무속(屬)을 중심(中心)으로-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ajor Tree Barks Grown in Korea -Genus Pinus, Populus and Quercus-)

  • 이화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3-58
    • /
    • 1977
  • 수피(樹皮)는 원목(原木) 체적(體積)의 10~2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적(一般的)을 운반(運搬), 제거(除去), 처리(處理)에 따른 비용에 비(比)해 효용가치(効用價値)는 적다. 뿐만아니라 세계적(世界的)인 임산자원(林産資源)의 부족(不足)에 따른 전수체이용화(全樹體利用化)의 개념이 점고(漸高)되면서부터 수피(樹皮)의 이용(利用)에 관심(關心)을 가지게 되었다. 본연구(本硏究)는 수피(樹皮)에 대(對)한 연구(硏究)가 전무(全無)한 국내(國內)의 실적(實積)에 비추어 국내주요(國內主要) 수종(樹種) 수피(樹皮)는 소나무속(屬), 사시나무속(屬), 참나무속(屬)을 대상(對象)으로 수피(樹皮)의 물리기계적(物理機械的) 성질(性質)을 구명(究明)하고 수피(樹皮)의 가능(可能)한 이용(利用) 책을 위한 기본적 성질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사용(使用)한 공시수피(共試樹皮)는 서울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부속연습림(附屬演習林)과 임업시험장(林業試驗場) 중부지장(中部支場) 부근에서 벌채이용(伐採利用)이 적령기(適齡期)에 달(達)하고 포고직경(胞高直徑)이 동급(同級)인 건전하고 정상적(正常的)으로 생장(生長)하는 입목(立木)의 흉고직경 부위(部位)에서 수종별(樹種別) 20주(株)씩 $200cm^2$로 채취(採取)하였다. 물리적(物理的) 성질(性質)로는 수피(樹皮) 전건비중(全乾比重), 내피(內皮) 및 외피(外皮)의 생수피(生樹皮) 함수량(含水量), 섬유포화점(纖維飽和點), 수분이력곡선(水分履歷曲線), 전수축율(全收縮率), 흡수량(吸收量), 비열(比熱), 습윤열(濕潤熱), 열전도도(熱傳導道), 열확산(熱擴散),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 및 발열량(發熱量)을 측정(測定) 연구(硏究)하였다. 다음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로는 곡강도(曲强度)와 압축강도(壓縮强度)를 측정연구(測定硏究)하였으며 본(本) 연구(硏究)에서 얻은 결론(結論)은 다음과 같다. 1. 전건비중(全乾比重)은 같은 개체(個體) 내(內)에 있어서도 목질부(木質部)와 수피간(樹皮間)에 차이(差異)가 있을 뿐아니라 수피(樹皮)에 있어서도 내피(內皮)와 외피간(外皮間)의 차이(差異)가 있다. 2. 수피(樹皮)의 전건비중(全乾比重)이 목질부(木質部) 비중(比重)보다 높은 사실(事實)은 수피내(樹皮內)의 사부섬유(篩部纖維) 및 보강세포(保强細胞)가 많이 있다는 해부적(解剖的)인 구조적(構造的) 특징(特徵)에 기인(基因)한다. 3. 전건비중(全乾比重)에 있어서 잣나무를 제외하고는 내피비중(內皮比重)이 외피비중(外皮比重)보다 높았으며 이는 내피(內皮)보다 높은 수축율(收縮率)에 기인(基因)한다. 4. 수피내(樹皮內)의 해부적(解剖的) 구조(構造)에 있어서 사요소(篩要素)의 구성비율(構成比率)이 높을수록 함수율(含水率)은 높아지고 후막조직(厚膜組織)과 주피조직(周皮組織)이 많으면 많을수록 함수율(含水率)은 떨어진다. 5. 수피(樹皮)의 섬유포화점(纖維飽和點)을 습윤열측정(濕潤熱測定)에 의(依)하여 구(求)할 수 있는 가능성(可能性)을 제시(提示)하였으며 그 결과(結果) 소나무에서는 26~28%사이에 상수리나무에서는 24~28%사이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對)한 것은 금후연구(今後硏究)에 의(依)하여 더 밝혀져야 할 것이다. 6. 수피(樹皮)의 수축율(收縮率)은 목질부(木質部)와는 달리 경단방향(經斷方向)에서 제일 높고 수축방향(樹縮方向)에서 제일 낮았으나 졸참나무와 굴참나무에서는 열외(列外)이었다. 7. 수피(樹皮)의 비열(比熱)은 목질부(木質部)와 같고 습윤열(濕潤熱)은 목질부(木質部)보다 다소 높았다. 열전도도(熱傳導度)는 목재(木材)보다 낮으며 전건수피비중(全乾樹皮比重)과 수증기비중(水蒸氣比重)을 알고 열전도도(熱傳導度)를 계산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을 유도(誘導)하였고 이 방정식(方程式)에 의(依)하여 얻어진 열전도도(熱傳導度) 수치는$(0.8{\sim}1.6){\times}10^{-4}cal/cm{\cdot}sec{\cdot}deg$이었다. $$K=4.631+11.408{\rho}d+7.628{\rho}m$$ 8. 수피(樹皮)의 열확산(熱擴散)은 $(8.03{\sim}4.46){\times}10^{-4}cm^2/sec$이며 시차열분석(示差熱分析)의 결과(結果)에 의(依)하면 발열량(發熱量)은 발열반응(發熱反應)이 시작(始作)되기 전(前)까지는 목질부(木質部)가 높고 발열반응(發熱反應)이 시작(始作)되면서부터는 수피(樹皮)가 목질부(木質部)보다 상회(上廻)하였다. 9. 경단방향(經斷方向)의 수피곡강도(樹皮曲强度)는 수피비중(樹皮比重)에 비례(比例)하고 회귀식(回歸式)은 M=243.78x-12.02(F=31.41)이었고 압축강도(壓縮强度)는 목질부(木質部)와는 달리 경단방향(經斷方向)이 가장 높고, 경단방향(經斷方向), 수축방향순(樹軸方向順)으로 적어졌다.

  • PDF

한국자생(韓國自生) 주목(朱木), 설악(雪岳)눈주목(朱木), 회율(檜率)나무의 집단(集團) 및 채취부위(採取部位)에 따른 탁솔함량(含量)의 변이(變異) (Variation in Taxol Content of Bark, Shoots and Needles of Seven Populations of Three Native Taxus Species)

  • 이용욱;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365-371
    • /
    • 199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주목(Taxus cuspidata S. et Z.), 설악눈주목(Taxus caepiltosa Nakai)과 회솔나무(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Nakai)에서 탁솔을 추출하고 정량하여 자생지별,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주목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소백산, 태백산에서, 설악눈주목은 설악산에서 10월에 수피, 줄기, 그리고 잎을 채취하였으며, 회솔나무는 울릉도에서 3월에 줄기와 잎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재료는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로 정량분석하고 분석한 자료를 통계처리하여 각 집단간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주목의 경우 채취부위별 탁솔함량은 수피에서 평균 0.006~0.017%로 가장 높았고 줄기에서는 0.001~0.005%이었고, 잎에서 0.0005~0.002%로 가장 낮았다. 수피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17%이었으며, 지리산, 소백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줄기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53%이었으며, 소백산, 지리산, 덕유산, 태백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잎의 탁솔함량은 한라산에서 가장 높은 0.0013%이었으며, 태백산, 덕유산과 지리산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설악눈주목에서의 탁솔함량은 주목보다 낮았으며, 수피와 줄기에서 평균 0.0035%이었다. 회솔나무에서의 탁솔함량은 줄기에서는 주목보다 높았으나, 줄기에서 평균 0.0064%, 잎에서 0.0006%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탁솔의 함량은 위도가 낮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생육조건에 따라서 큰 변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라산 집단의 일부 주목(Taxus cuspidata)은 높은 탁솔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설발육종하거나, 조직배양을 통하여 상업용 탁솔생산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 PDF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의 총 폴리페놀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of Cudrania tricuspidata)

  • 이진식;한갑조;한경필;코즈쿠에 노부유키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6-70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differences in mineral, ascorbic acid,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DPPH radical scavenging, FTC, and TBA methods) in three size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 For the mineral contents of the leaves, Ca was highest(17.26 mg/g.d.w.), followed by K(15.53 mg), P(2.61 mg), and Mg(1.99 mg). Ascorbic acid was found to be slightly higher(43.4 mg/100g.f.w.) in the basal parts of the medium size leaves and lowest in the whole parts(9.9 mg) of the small size leaves.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highest($1,384{\sim}1,258mg/100g.f.w.$) in the leaves, for all sizes, when extracted with 80% ethanol, followed by the stem bark(543 mg%), roots(369 mg%), stems(243 mg%), and thorns(223 g%). By determining DPPH activity, we foun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higher in the ethanol extracts of the leaves than in the ethanol extracts of the thorns, stems, roots, and stem bark. While in the tea,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ethanol and water extracts.

  • PDF

울릉도 주목(Tiaxus cuspidata var. latifolia)의 Taxol 및 관련 화합물의 함량분석 (Analysis of Taxol and Related Compounds in Ullung Island Yew (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 최명석;곽상수박용구유장렬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186-190
    • /
    • 1994
  • 울릉도주목(Taxus cuspidata var. latifolia, 일명 회솔나무)의 각 부위에 함유되어 있는 taxol 및 관련 화합물의 함량을 조사한 결과 taxol 및 cephalomannine함량은 잎에서 높았고, 전구물질인 10-deacetyl baccatin III(10- DAB III), baccatin III의 함량은 수피에서 높았으며, 신초줄기와 종자에 서의 taxane 함량은 매우 낮았다. 또한 울릉도 전역에 자생 또는 재식되어 있는 주목의 taxol 및 전구 물질 10-DAB III의 함량변이를 조사한 결과, 5개 지역(나라분지, 태화령, 현포, 통구미, 도동)의 잎과 수피에서 이틀의 함량은 개체뿐 아니라 지역 사이에 큰 변이를 나타내였다. 분석개체 전체의 잎에서의 평균 taxol 함량( 건물 중 기준으로 0.017% )은 수 피의 것( 0.003 % )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전구물질 1 10-DAB III의 전체 평균함량은 수피(0.073%)가 잎(0.054% ) 보다 약간 높았다. 특히 섬 북서지역에 위 치한 현포지 역 주목 잎의 평균 taxol 함량은 약 0 0.024 %로 이는 보고된 태평양주목의 수피의 것보다 높은 것이며, 전구물질의 함량도 0.049%로 비교적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지속적으로 채취가 가능한 울릉도주목 잎은 taxol 생산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뽕나무 묘목 식재후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의 변화 (Changes of Reserve Substances in the Bark of Stem and Root Mulberry (Morus alba L.) Graftages after Planting)

  • 성규병;유근섭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9-84
    • /
    • 1990
  • 뽕나무 묘목의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저장물질량이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묘목의 청수부 위 3cm 부분의 가지 직경을 측정하여 7.0-7.9mm, 9.0-9.9mm 및 11.0-11.9mm의 3수준으로 구분하고, 시비구와 무시비구로 나누어 폿트에 식재재배하여 경시적으로 건물중, 신초생장, 뽕잎 생산량, 엽록소 함량, 탄수화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1. 신초가 생장함에 따라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은 식재후 5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증가하였다. 건물중의 최대 감소비율은 지조피부에서 17.5-20.1%, 뿌리 피부에서 20.1-24.6%로, 뿌리 피부의 감소율이 높았으나, 식재 후 3주까지의 초기 생장기간에는 지조피부의 감소율이 높았다. 2. 저장물질에 의존하는 생장의 한계는 식재 후 6-7주로 생각된다. 무시비구의 신초장은 식재후 6-7주에 최대를 보인 후 감소하였으나 시비구에서는 계속 생장하였다. 3. 묘목의 직경이 클수록 뽕잎 건물생산량이 많았으며, 식재후 3주에는 시비유무에 관계없이 같은 묘목굵기에서는 거의 같은 경향이었으나, 3주 이후에는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4. 뽕잎의 엽\ulcorner소함량은 묘목이 굵을수록 높았으며, 시비구가 무시비구보다 높았다. 5. 묘목굵긷와 지조 및 뿌리피부의 건물중당 탄수화물함량간에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전당함량은 식재후 3주까지 일시 증가한 후 5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 그 후 시비구에서는 다시 증가하였으나, 무시비구에서는 계속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 모두 식재후 3주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후 감소하였다. 지조 및 뿌리피부의 전분함량은 시비구 및 무시비구에서 식재 후 5주까지 감소 후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