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rk content

검색결과 212건 처리시간 0.023초

삼섬유를 이용한 특수기능지 개발 (제 1보) - 소다펄프화 삼 섬유의 수초지 특성 - (Manufacture of Specialty Paper with Hemp Bast Fiber Cultivated in Korea (Part 1) - Characteristics of Hemp-Wood Paper by Soda Pulping -)

  • 이다희;이명구
    • 펄프종이기술
    • /
    • 제45권6호
    • /
    • pp.30-35
    • /
    • 2013
  • To conserve wood resources for papermaking,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hemp (Cannabis sativa L.) bast fiber cultivated in Korea such as holocellulose, ${\alpha}$-cellulose, lignin, alcohol-benzene extractives, hot and cold water extractives, and ash contents were investigated to manufacture the specialty packaging paper effectively. Significantly very low klason lignin content of 3.3% was accomplished by removing of the outer shell of bark. Laboratory soda pulping method which is very useful for the nonwood fiber was adapted,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kappa number and H-factor between 25% and 30% NaOH charge. Hemp pulp cooked with the laboratory digester in 25% NaOH at $170^{\circ}C$ were mixed together with the wood pulp(NBKP:LBKP=1:1) in order to find the optimum mixture ratio which exhibited acceptable paper strength properties such as tensile index, burst index, and tear strength. When 10% of hemp soda pulps was mixed with 90% of wood pulps comprised of SwBKP and HwBKP (1:1), all physical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hysical strength decreased as the amount of hemp pulp increased because the cell wall of bast fiber is very thick which causes low conformability and low fiber-fiber bonding. These results showed that paper made of hemp-wood pulp can be used for the specialty packaging paper which requires both the characteristic surface properties and the high physical strength of hemp fiber.

Studies on Anti-Cancerous Substances from Higher Plants in East Asian Region

  • Takeya, Koichi
    • Plant Resources
    • /
    • 제3권1호
    • /
    • pp.1-45
    • /
    • 2000
  • To date many kinds of compounds have been obtained from plants kingdom as antineoplastic and anti-cancerous agents. However, there is no special type of compounds for cancer therapy. Various types of substances are effective for various types of cancers and tumors: for instance, alkaloids. lignans, terpenes and steroids etc. Curcumol obtained from Curcuma aromatica was tested and noticed to be effective against cancer of the uterine cervix clinically. Oridonin isolated from Rabdosia ssp. is now investigate for clinical trials in China. Moreover camptothecine isolated from Camptotheca acuminata is also antineoplastic alkaloid, but is very toxic. Chemical modification has been tried to decrease its toxicity This compound is now using as clinical agent. Harringtonin was investigated as an anticancerous drug in China. Taxol, a compound with a taxane ring isolated from the bark of Taxus brevifotia. has been demonstrated to have substantial anticancer activity in patients with solid tumors refractory standard chemotherapy. Supply of this drug has severely limited full exploration of its antineoplastic potential Some efforts are continued in National Cancer Institute(NCI) Washington for surveying various Taxus species for optimal taxol content, improvement in semi-synthesis from baccatin 111, improvement in method of extraction, and development of alternative renewable resources. Further, there are many compounds which have been reported as antineoplastic agents. On the other hand, we have screened on higher plants collected In Japan, China, Korea. Southeast Asia and South America for antineoplastic activity, which has been done using Sarcoma 180 ascites in mice, P388 Iymphocytic leukemia In mice, Chinese hamster lung V-79 cells, P388 cells and nasopharynx carcinoma(KB) cells in our laboratory, as primary screening. In this meeting, 1 will present on antitumor and cytotoxic substances of the higher plants(Rubis cordifolia, Ailanthus vilmoriniana, Aster tataricus, Taxus cuspidata var. nana,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drupacea, etc.) selected from above screening tests.

  • PDF

Inhibition of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raw ground pork by Terminalia arjuna fruit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Chauhan, Pranav;Pradhan, Soubhagya Ranjan;Das, Annada;Nanda, Pramod Kumar;Bandyopadhyay, Samiran;Das, Aru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65-273
    • /
    • 2019
  • Objective: Terminalia arjuna plant, specially its leaves, bark, and roots, a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ue to presence of bioactive components and being a rich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But its fruit has not been used for any such purposes despite its potential to retard oxidation. Henc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Arjuna fruit extract (AFE)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of raw ground pork was evaluat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r 9 days. Methods: The AFE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viz. ethanol (EH), water, ethanol: water (60:40) and methanol:hot water (60:40). The AFEs were analys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PC), 2, 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ater extract (WE) and ethanol-water extract (EH-WE) were selected and incorporated at 1.0% into freshly minced pork meat and compared with a synthetic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during storage. Results: The TPC in AFEs using different solvents ranged from 11.04 to 16.53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extracts exhibited appreciable scavenging activity ranging from 50.02% to 58.62%. Arjuna extract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colour score of meat samples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metmyoglobin during storage. Both the AFEs (WE and EH-WE) significantly (p<0.05) lower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peroxide formation and formation of protein carbonyls in raw pork than control sample during storage. Upon sensory evaluation of all samples, it was found that AFE treatment could prolong the storage period of meat samples, without influencing the colour and odour score, up to 6 days. Conclusion: AFEs used at 1% improved the oxidative stability, colour and odour score and prolonged the refrigerated shelf life of ground pork up 6 days. Therefore, AFE could be explor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meat products.

산불 피해 소나무재의 역학적 특성 및 급속오븐 건조특성 (Mechanical and Oven-drying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황원중;권구중;박종수;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7-6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불 피해 소나무재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역학적 및 건조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불피해재는 종압축 특성, 전단강도, 충격휨흡수에너지 등에서 건전재와 거의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산불피해재 변재부의 휨특성은 건전재보다 양호하게 나타났다. 건전재와 산불피해재 변재부의 생재함수율은 산불피해재가 다소 낮았으나, 건조속도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건조시 발생되는 초기할렬은 건전재가 산불피해재보다 발생율이 높았고, 내부할렬은 건전재와 산불피해재에서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산불에 의해 피해를 입은 목재의 대부분은 수피부를 제거하여 이용할 경우 건전재와 거의 동일한 용도로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장수버섯 배양법에 의해 urushiol이 제거된 발효옻 추출물이 된장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rushiol-Free Extracts from Fermented-Rhus verniciflua Stem Bark with Fomitella fraxinea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 최한석;정석태;최지호;강지은;김유진;노종민;김명곤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4-253
    • /
    • 2012
  • 된장제조공정에 발효옻 추출물을 첨가하고 염수발효기간 동안의 미생물, 효소활성, 유리아미노산, 유기산 및 일반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염수발효 42일 경과 후 추출물 첨가군(0.7%, 2.0%, 5.0%, 10.0%, w/v)의 염수 중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88.3, 4634.7, 2982.7, 5070.6 mg/100 mL로 대조군 보다 각각 1.3, 2.8, 1.8, 3.1배 높게 나타났다. 염수를 걸러낸 된장의 미생물 분포는 일반세균 $0.3-12.0{\times}10^8$, 곰팡이 $3.0-21.0{\times}10^4$, 효모 $1.0-2.0{\times}10^4$, 대장균 불검출, B. cereus $3.0-25.0{\times}10^2$ cfu/g으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일반세균과 곰팡이의 생균수가 1 log cycle 범위 내에서 변하였을 뿐 큰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발효옻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skim milk 분해활성은 13.8-26.0%, starch 분해활성은 16.1-35.1%, acidic protease의 활성은 1.8-2.5배, 1.9, a-amylase의 효소활성은 6.4-7.0배 증가되었다. 발효옻 추출물이 첨가된 된장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855.97, 1899.01, 1675.03, 1733.07 mg%로 추출물 첨가에 의해서 1.4-3.0배 상승하였으며, alanine, arginine, aspartic acid, citrulline, glutamic acid, glycine, 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proline, serine, threonine, tyrosine, valine 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이었다. 유기산은 lactic, acetic, pyroglutam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다. 일반성분은 pH, 수분, 회분, 염도, 아미노산성 질소 함량이 증가하였다.

리그노셀룰로오스 섬유-기반 3층 섬유판과 한지로 구성된 실내외 대기 오염물질 정화용 필터세트의 개발 (Development of Filtering Sets Composed of Lignocellulosic Fiber-based 3-layers Fiberboard and Traditional Korean Paper for the Purification of Indoor and Outdoor Air Pollutants)

  • 이영규;최영서;문명철;소재민;권오경;최원실;최준원;양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2권1호
    • /
    • pp.87-98
    • /
    • 2024
  • 본 연구는 리그노셀룰로오스 섬유와 굴참나무 수피-기반 활성탄(COA)으로 제조한 3층 섬유판에 한지를 조합하여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의 미세먼지(PM), 휘발성 유기화합물(TVOC), 폼알데하이드(HCHO) 여과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단백질계 접착제를 적용하여 표층에 목섬유 그리고 심층에 재생섬유/COA로 제조한 섬유판(WRF)과 한지로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는 일반향의 연소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하였다. 섬유판 제조에 있어 표층/심층에 적용되는 접착제의 함지율을 4%/4%, 5%/3%, 6%/2%로 조절하여 WRF를 제조한 후, 이를 한지와 함께 WRF-기반 필터세트 제작에 이용하였다. 이 필터세트의 PM, TVOC, HCHO 여과능은 심층의 함지율이 감소함에 따라 향상되었다. 한편 WRF-기반 필터세트 구성에 있어 45 g/m2 평량의 한지보다 25 g/m2 평량의 한지(KP-25g)를 사용하여 제작한 필터세트에서 여과능이 우수하였다. 표층에 재생섬유와 심층에 목섬유/COA로 제조한 섬유판(RWF)과 KP-25g로 구성한 섬유판 필터세트의 여과능은 WRF와 비교하여 높았다. 소형 실내공간 및 대형 옥외공간에 WRF-기반 섬유판 필터세트 및 무필터 조건과 함께 측정한 PM 및 TVOC 여과능은 RWF-기반 섬유판 필터세트에서 높았다. 따라서 RWF와 KP-25g를 조합하여 제작한 섬유판 필터세트가 실내외 공간에 존재하는 PM, TVOC 여과용 필터로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유럽표준배지분석법에 의한 원예용 유기·무기성 배지의 수분보유특성 (Determination of Water Reten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and Inorganic Substrates for Horticulture by European Standard Method)

  • 강지영;박순남;이현행;김계훈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55-5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중인 몇 가지 원예용 배지재료의 수분특성을 유럽표준배지분석법에 따라 수분보유곡선을 작성함으로써 살펴보았다. 유기성배지로는 피트모스, 코이어, 바크, 톱밥, 생왕겨를 사용하였고. 무기성배지로는 펄라이트. 팽화 버미큘라이트, 입상암면, 클레이볼을 사용하였다. 수분특성곡선은 유럽표준배지분석법을 사용하여 수두 변화에 따른 수분함랑(v/v)으로 작성하였다. 유기성배지 중 피트와 코이어는 유사한 수분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쉽게 이용 가능한 수분함량 (easily available water)이 30% 이상으로 식물생육에 적합한 보수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바크, 톱밥, 생왕겨와 무기성 배지들은 -10 cm의 낮은 수두하에서도 보유되는 수분함량이 매우 낮았고 식물이 쉽게 이용 가능한 수분함량 또한 매우 낮아 통기성은 충분하나 보수력이 부족하여 작물재배시 수분부족현상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보였다. 한편. 원예용 배지는 같은 종류의 배지라도 원산지에 따라 수분 특성에 차이를 보였으며, 입자가 미세하고, 시비 또는 부숙처리를 가한 것일수록 높은 수분보유능력을 나타내었다.

억새배지를 이용한 느타리 봉지재배 (Bag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with Miscanths species substrates)

  • 유영진;강찬호;최규환;김효진;정종성;김희준;문윤호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22-126
    • /
    • 2014
  • 천연 억새 1년, 2년, 3년생의 화학성분 분석결과 인산은 증가하는 반면 칼슘과 칼리는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총 질소는 2년생 억새에서 증가하였고, 총 탄소는 3년생 억새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으로 버섯배지의 이용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억새의 발효조건은 미강20%를 혼합할 경우 발효는 5일부터 5일간에 지속되고 이때 온도는 $50-55^{\circ}C$로 유지되어 고온성 미생물 군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고 처리효과 구명은 미강20% 첨가발효배지가 무처리 억새배지보다 수량이 60% 향상되었다. 느타리봉지재배의 억새배지는 포플러톱밥50%의 포플러톱밥 20%를 억새발효배지 20%로 대체한 혼합배지인 포플러톱밥30%, 억새발효배지20%, 비트펄프30%, 면실박20% 배지를 개발하였다.

우분(牛糞)의 유기질비료화(有機質肥料化) 연구 III. 부숙도(腐熟度) 기준설정(基準設定) (Development of Organic Fertilizer based on the Cow Dung III. Studies on Tentative Guideline for Degree of Maturity)

  • 임동규;정이근;신제성;한기학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78-285
    • /
    • 1991
  • 우분(牛糞)을 속성(速成)으로 부숙(腐熟)시켜 양질(良質)의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로 제조(製造)해서 그 제품(製品)의 부숙(腐熟)이 량호(良好)하게 되었는가 여부(與否)를 판단(判斷)할 수 있는 기준(基準)인 부숙도(腐熟度) 잠정(暫定) 기준치(基準値) 설정시험(設定試驗)에서 여지(濾紙) Chromatography법(法), CEC 법(法) 및 환원당율(還元糖率)을 중점(重點)으로 연구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가. 퇴적내(堆積內) 부숙온도(腐熟溫度) 측정(測定)은 부숙도(腐熟度)의 간접적(間接的)인 기준(基準)으로 가장 적합(適合)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나. 건물중(乾物重)의 2% T-N함량(含量)과 20이하(以下)의 C/N율(率)을 부숙도(腐熟度)의 잠정기준치(暫定基準値)로 설정(設定)하는 것은 인난(因難)할 것으로 사료(思料)되었다. 다. 여지(濾紙) Chromatography법(法)는 주재료(主材料)가 우분(牛糞)이고 충전제(充塡劑)가 나무껍질, 나무조각, 톱밥인 목질계통(木質系統)이기때문에 Chromatography가 선명(鮮明)하게 나타나지 않아 부숙도(腐熟度)의 기준치(基準値)로 적용(適用)할 수 없었다. 라. CEC 함량(含量)은 부숙(腐熟)이 진행(進行)될수록 높아졌으며, 부숙온도(腐熟溫度)가 높았던 처리구(處理區)에서 CEC함량(含量)이 높아 '88년(年)에는 우분(牛糞)+나무껍질구>우분(牛糞)+볏짚구이고, '89년 우분(牛糞)+나무조각구>우분(牛糞)+볏짚구이며, '90년 우분(牛糞)+볏짚구>우분(牛糞)+톱밥구가 높았다. 마. 환원당율(還元糖率)('90년(年))은 부숙온도(腐熟溫度)가 가장 높았던 우분(牛糞)+볏짚구 보다 우분(牛糞)+톱밥구가 더 낮았는데 이는 우분(牛糞)과 톱밥의 분리(分離)가 잘 되지 않아서 제품(製品)의 T-Cg함량(含量)이 높았기 때문에 나타난 것으로 보여졌다.

  • PDF

SDR(Saw-Dry-Rip) 방법(方法)을 적용(適用)한 이태리 포플라 재목(材木)의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 (Drying Rate and Drying Defects of Populus euramericana Using the SDR(Saw-Dry-Rip) Process)

  • 심재현;정희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3호
    • /
    • pp.3-15
    • /
    • 1986
  • 본(本) 실험(實驗)은 이태리 포플라(Populus euramericana) 플리치(flitch)의 SDR (Saw-Dry-Rip) 방법(方法)과 대조재로서 평균각재(平均角材)를 사용하여 동일한 건조조건(乾燥條件)에서 양자간(兩者間) 건조속도(乾燥速度)와 건조결함(乾燥缺陷)의 발생정도를 비교코저 실시하였으며 두께 50mm인 평소각재(平小角材)와 플리치 건조(乾燥)스케쥴 T8-F4를 적용하여 함수율(含水率) 10%정도까지 열기건조(熱氣乾燥)하여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평균각재(平均角材)의 평균(平均) 건조속도(乾燥速度)는 0.41%/hr. 였으며 플리치의 평균(平均) 건조속도(乾燥速度)는 0.44%/hr. 였다. 2. 평균각재(平均角材)의 최종함수율(最終含水率)은 8.0%이고 플리치의 최종함수율(最終含水率)은 10.1%였다. 함수율분포(含水率分布)에 있어서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층, 중간층 및 내층 의 평균함수율(平均含水率)은 각각 8.8%, 10.4%, 12.6%이고 플리치의 경우는 각각 10.6%, 12.9%, 16.3%였다. 3. 플리치의 SDR방법(方法)은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건조(乾燥)보다 길이굽음 20%, 너비굽음 25%, 측면(側面)굽음 54.9%, 비틀림 13.4% 감소되었다. 4. 수피(樹皮)인접부위의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길이굽음과 너비굽음은 수심(樹心)부위의 평소각재(平小角材)의 경우보다 감소되었으나 측면굽음과 비틀림은 오히려 증가되었다. 5.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면할열(表面割裂)보다 적게 발생하였고 횡단면할열(橫斷面割裂)은 양자(兩者)간에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6. 평소각재(平小角材)와 플리치의 내부할열(內部割裂), 두께 수축율(收縮率) 및 찌그러짐은 서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7. 평소각재(平小角材)의 표면경화율(表面硬化率)은 19.2%로서 플리치의 표면경화율(表面硬化率) 11.9%보다 컸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