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mboo mat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초

대나무매트의 격자크기에 따른 보강효과 및 지반 파괴형상 파악을 위한 모형시험 (A strengthening effect based on a grid size of a bamboo-mat and a model-test for the understanding on ground failure.)

  • 이지훈;김승곤;김우진;김종열;강희복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1673-1677
    • /
    • 2008
  • A method of construction with a basis treatment that uses a latticed bamboo mat puts bamboo's peculiarity and bamboo mat's bending substance to use, and a latticed bamboo mat equally distributes to embankment loading in a basis ground. Therefore it prevents ground destruction by an ill-balanced load and an irregular ground subsidence, and it makes safety system. This investigation make progress a soil box model by a dredged reclamation ground of west and south sea at domestic area,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and analyze the strengthening effect based on a grid size of a bamboo-mat and ground failure that it will use in the field.

  • PDF

해저 연약지반 보강 조건에 따른 인공어초 침하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Settlement Behavior of Artificial Reef according to Reinforcement Characteristics)

  • 윤대호;김윤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17
  • 바다 자원의 조성을 위해 시설되는 인공어초는 해저 연약지반에 설치될 경우 침하 및 세굴에 의한 기능 상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저 연약지반의 보강에 따른 인공어초의 침하 거동을 알아보기 위해 모래, 실트 및 점토 지반을 각각 조성하여 관입실험, 침하실험 등과 같은 다양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무보강(unreinforced), 지오그리드(geogrid) 보강 및 하이브리드 대나무매트(hybrid bamboo mat, HBM) 보강과 같은 3종류의 보강과 보강재의 면적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보강재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보강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HBM이 지오그리드 단일 보강에 비해 더 뛰어난 보강 효과를 보였다.

침하 저감용 보강재로 보강된 인공어초 설치 지반의 거동 특성 (Behaviors of Artificial Reef Reinforced with Settlement Reduction Reinforcement)

  • 윤대호;김윤태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을 저감하고자 다양한 보강재로 보강된 해저 지반의 침하 및 세굴 거동 특성을 알아보았다. 지반에 적용한 보강재는 총 3가지로서 지오그리드(geogrid), 지오그리드-대나무 매트(geogrid-bamboo mat, GBM) 및 해초-지지봉 매트(seaweed-pile mat, SPM)를 각각 보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래, 실트 및 점토 지반에 대해 지지력 실험, 대형 수조 침하 실험, 2차원 흐름 수조 세굴 실험 등 다양한 실내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보강재의 보강에 따라 인공어초의 지지력 증진, 침하 및 세굴이 저감되는 효과를 보였으며, 모래나 실트 지반보다 점토 지반과 같은 연약 지반에서 보강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대나무매트가 포설된 준설매립지반의 모형실험 및 변형해석 (An Experimental Study and Deformation Analysis of a Dredged fills Improved with Bamboo Mats)

  • 김종렬;강권수;김우진;황성원;강진태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520-1527
    • /
    • 200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mprovement with bamboo mats on dredged fills, several tests were performed with different widthes (0.0B, 0.5B, 1.0B, 2.0B).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failure modes of the models without bamboo mats are close to local shear failure, and change to general shear failure as the width of a bamboo mat increases. A series of tests with four different widths (0.0B, 0.5B, 1.0B, 2.0B) were carried out on the models which have no desiccated surface layers, to find out the width that the general shear failure might occur. Finally, a series of tests with this width were performed on the models with three different desiccated surface layers (3cm, 5cm, 10cm). Throughout the tests, strength and deforma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desiccated surface layer was investigated.

  • PDF

대나무 망으로 보강된 준설매립지반의 지지력 특성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 of Dredged and Reclaimed Ground Reinforced by Bamboo Net)

  • 강명찬;양기석;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8호
    • /
    • pp.5-11
    • /
    • 2006
  • 준설매립된 초연약지반의 표층처리공법 적용시 보강재로 이용되고 있는 대나무망 및 토목섬유로 보강된 준설매립지반의 지지력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 대형평판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각 보강재별 지지력비(BCR) 산정결과 대나무망 보강의 경우 지지력비는 $.{\sim}6.03$, 토목섬유의 경우 $2.19{\sim}3.59$로서 대나무망 보강의 경우 $1.6{\sim}1.7$배 크게 측정되었고, 실험결과와 이론식에 의한 지지력 비교결과 기존 토목섬유 보강시의 지지력 평가식은 대나무망 보강시 지지력 평가에 있어 적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대나무 망 보강시의 지지력 평가를 위한 변수들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시험에서 얻어진 지지력비(BCR)와 복토두께/대나무망 간격의 비(H/S)로 표현한 경우 좋은 상관관계 특성을 얻을 수 있었고, 이는 대나무망의 지지력특성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저지반 보강에 따른 인공어초의 침하 및 세굴 특성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Reef according to Reinforced Ground)

  • 윤대호;서성호;김윤태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86-193
    • /
    • 2016
  • Recently in Korea, a marine ranching project has continued to grow with the increasing needs of sea development. Management techniques, including settlement reduction and scour protection, have been required for constructing and maintaining the artificial reefs of this marine ranching project. The generation of settlement and scour can be influenced by ground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various laboratory tests (penetration test, two-dimensional water tank test)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settlement and scour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reefs under various ground conditions. Three kinds of ground reinforcement were prepared: unreinforced, geogrid, and hybrid bamboo mat. Penetration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normalized settlement ratio of ground reinforced with a hybrid bamboo mat was smaller than those of unreinforced ground and geogrid-reinforced ground. Two-dimensional water tank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cour characteristics of ground reinforced with a geogrid were more reduced and stable than unreinforced ground. The amount of scour and ground settlement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reinforced area.

Effect of Several Exterior Adhesive Type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Bamboo Oriented Particleboard

  • Iswanto, Apri Heri;Munthe, Rensus;Darwis, Atmawi;Azhar, Irawati;Susilowati, Arida;Prabuningrum, Dita Sari;Fatriasari, Widya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277-281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adhesive types on dimensional stability of bamboo-oriented particleboard. The materials used in this research are bamboo tali(Gigantochloa apus J.A & J.H. Schult. Kurz), UF/MDI(8, 10, 12 % level), and MF, MDI, and PF at 7 % level. Particle and adhesive are mixed using a blending machine; then, mat forming and hot pressing processes are performed using adhesive-suitable temperature and time references. MDI resin is set at $160^{\circ}C$ temperature for 5 minutes. PF resin and MF resin are pressed at $170^{\circ}C$ for 10 minutes, and $140^{\circ}C$ for 10 minutes, respectively, while UF/MDI sets at temperature of $140^{\circ}C$ for 10 minutes. The results show that particleboard using PF resin produces the lowest thickness swelling value. The particleboard using UF/MDI resin also produces good response for thickness swelling value. Interesting things happen in that UF/MDI adhesive produces a thickness swelling value better than that of MDI resin. FTIR analysis on particleboard bonded by UF/MDI resin combination shows the presence of carbonyl group C=O vibration on multi substitution of urea at wave number of around $1,700cm^{-1}$.

대나무매트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즉시침하량 추정에 관한 고찰 (The Immediate Settlement Estimation of the Improved Soft Ground Using Bamboo Mats)

  • 김우진;김윤하;강진태;최용환;김종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5호
    • /
    • pp.55-64
    • /
    • 2008
  • 연약지반 위에 토공구조물을 축조할 경우, 기초지반이 지지할 수 없는 큰 하중의 성토를 실시하게 되면 지반파괴가 발생하면서 연약층 내로 성토재료가 함몰하게 된다. 이때, 축조재료가 어떤 깊이까지 연약지반에 침하하여 단면이 형성되는가를 예측할 필요가 있다. 기존의 이론식(Janbu, Peroff의 이론식)을 이용하여 즉시침하량을 계산하구 결과를 검토한 후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나무 매트를 부설한 지반에 적합한 이론식을 제시하였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여 즉시 침하량을 계산하고 지반조사에 의한 침하량과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침하는 제체 중앙부에서 최대 침하가 발생하였으며 이론식과 비슷한 수치와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존 이론식으로 현장의 즉시침하량을 계산한 결과, Janbu의 방법과 Peroloff의 방법의 침하량은 실제 침하의 40%정도의 침하량이 계산되었다.

전통장의 메주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king Meju (Molded Soybean) for Traditional Jang)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70-676
    • /
    • 2016
  • 서기 530년부터 1950년까지의 고조리서 32권에 수록된 장 만드는 방법 중 메주 만드는 방법을 언급한 225가지 중 재료의 가열방법, 메주의 형태, 메주를 띄우는데 사용하는 용기, 덮개 및 깔개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통 메주의 콩이나 전분질의 가열 방법은 찌기 57가지, 삶기 58가지, 볶아 삶기 21가지, 밥짓기 2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메주의 형태는 알 41가지, 구형 27가지, 덩어리 22가지, 칼자루형 8가지, 납작형 6가지, 쪼가리형 4가지, 구멍형 1가지, 사각형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고추장 메주 72가지 중 콩 가열 방법은 삶기 9가지, 찌기 6가지의 순이었고, 전분질의 가열방법은 떡찌기 19가지, 밥 짓기 11가지, 익반죽 삶기 5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콩메주 띄우는 용기는, 가마니 섬 섶 49가지, 독 5가지, 둥구미 멱서리 14가지, 온돌 11가지, 소쿠리 채반 광주리 7가지, 독 5가지, 흙도랑 4가지, 시루 오쟁이 3가지, 바가지 2가지, 시루 2가지, 용수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메주 띄우기용 덮개나 깔개는 짚 36가지, 닥나무잎 17가지, 멍석 거적 자리 15가지, 쑥 14가지, 솔잎 11가지, 콩잎 10가지, 도꼬마리잎 6가지, 북나무잎 6가지, 보릿짚 6가지, 뽕잎 6가지, 가랑잎 5가지, 띠풀 5가지, 삿자리 4가지, 헝겊 3가지, 개오동나무잎 2가지, 갈잎 1가지의 순으로 나타났다. 매달기는 5가지 밖에 없었다.

김치에 사용되는 소금의 이용실태 및 소비자 인식 연구 (A Survey on the Use and Recognition of Various Salts in Kimchi Production)

  • 김주현;윤혜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54-561
    • /
    • 2011
  • The nutritional value of kimchi is gaining global focus along with new possibilities and uses for the various salts used in making kimchi.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the uses of various salts and investigate the consumer recognition of salt use in kimchi preparation. The findings are from 824 consumers over 19 years old from 15 locations who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via one-to-one interviews from September 23rd to October 14th, 2009.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when customers cooked, 71.9% used solar salt, 62.2% used flower salt (refined salt), 27.4% used Hanju salt (purified salt), 59.0% used processed salt (roasted salt), 47.4% used bamboo salt, 69.4% used Mat salt (table salt), and 18.2% used low sodium salt. The most preferred origin of salts was domestic. Most customers salted Chinese cabbage while preparing kimchi. Consumers showed low perceptions of different salts used in kimchi production, and did not exactly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alts. The preferences for domestic and solar salts were very high, while the preference for sea salts was low. In conclusion, various types of salts could improve the quality of kimchi. This study hopes to help consumers produce better kimchi to match different needs. Theref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promoting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alts influencing the quality of kimc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