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acterial secondary productiv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낙동강 하구생태계의 세균 생물량과 이차생산성 (Bacterial Biomass and Secondary Productivity in Naktong River Estuary)

  • 송성주;권오섭;이혜주;이진애;김영의
    • 미생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8-244
    • /
    • 1994
  • 부영양화된 낙동강 하구역에서 세균에 의한 용존 유기물의 이용능을 조사하고 이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미생물학적 요인과 물리화학적 환경요인의 연중 변화를 분석하였다. 총세균수는 0.33 ~ $2.09{\times}10^7$ cells/ml의 변화폭을 나타냈으며, 오염부하량이 큰 정점에서 종속영양세균의 개체수와 비례하였다. 세균이 체적과 생물량은 각각 0.064~0.156 ${\mu}m^3$/cell, 0.163~1.036 ${\mu}g$-C/ml을 나타냈다. 세균의 이차생산성은 0.24~60.86 ${\mu}g$-C/l/h의 범위로 측정되었으며, 부영양화 지표로 사용되는 환경인자와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담수역에 속하는 정점에서의 세균생산성의 계절별 변화는 동계에 최고치를, 하계에 최저치를 나타내어 갈수기의 오염부하량 증가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해수역에 속하는 다대의 경우 동계에 낮은 값을, 하계에 높은 값을 나타내고, 환경요인 중 엽록소 a, 수은 등과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다 (r>0.5, p<0.05). 이로 미루어 낙동강 하구의 하구언 상류역에서는 주위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 하구언 하류역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광합성 산무링 세균의 이차생산성에 미치는 주 영양물질임을 암시하고 있다.

  • PDF

낙동강 하류에서 식물플랑크톤 생산력과 수질 변화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Phytoplankton Productivity and Water Quality Changes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 박홍기;정종문;박재림;홍용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106
    • /
    • 1999
  • The relationship between primary productivity and changes in water quality was investigated at Mulgum station, a site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Korea. Phytoplankton production was characterized by blooms of Microcystis aeruginosa during the summer and Stephanodiscus hantzschii during the winter. Primary production and secondary production by bacterioplankton ranged from 1.5~53.5 mg-C/ι day and 0.1~0.3 mg-C/ι day, respectively. Distribution of total organic carbon appeared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phytoplankton biomass, especially during blooms of M. aeruginosa, when particulate organic carbon was 81% of total organic carbon and the main source of organic materials supplied into the wat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hlorophyll-a and BOD was 0.86. Thus it was concluded that autochthonous phytoplankton mostly affected the BOD level. Total bacterial numbers were also highly correlated with chlorophyll-a ($r^2$= 0.84) and the bacterial community appears to be regulated by phytoplankton biomass in this area.

  • PDF

낙동강하구 연안수역의 세균 생산성과 환경요인의 영향 (Heterotrophic Bacterial Secondary Productivity and Effect of Environmental Parameters is Naktong Embayment Korea)

  • 김미정;윤인길;정익교;권오섭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5-129
    • /
    • 2000
  • 낙동강 연안 수역에서 세균의 생산성과 생산물량을 측정하여 미생물의 먹이고리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미생물학적 요인과 주요 환경요인을 측정하였다. 낙동강 연안 수계는 겨울철 갈수기에 유입되는 부영양화 담수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종속영양세균과 총세균의 개체수는 각각$5.4{\times}10^2 ~ 3.2{\times}10^4, 2.2{\times}10^5 ~ 9.8{\times}10^5 $cells/ml이었으며, 세균의 평균 체적과 생물량은 각각 0.023~0.201$\mu$$m^3$/cell, 0.010~0.140$\mu$g-C/ml로 정점별, 계절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 체적과 총세균수가 반비례하였다. Thymidine pool size는 12.93~44.66nM로, 동계에 비해 하계에 세균이 이용하기 쉬운 pool로 이루어져 하계의세균 이차 생산성 측정치가 과소 평가될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종속영양세균의 이차생산성은 0.12~22.38$\mu$g-C/l/h의 변화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담수 유출부와 인접한 정점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동계에 세균 생산성의 분포는 엽록소 a 및 수온 변화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또한 세균 생산량도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조사 수역에서 측정된 세균 생산성의 상당 부분은 식물플랑크톤의 공합성 산물을 이용하는 세균 생물량의 증가임을 알 수 있다.

  • PDF

Bacterial Cellulose 생산균 KJ-1으로 부터 uv와 NTG mutant들의 cellulose 생산수율의 증가

  • 김혜은;손창진;정선용;김성준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23-726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BC 생산균주인 KJ-1을 UV와 NTG mutagenesis를 통하여 초기에 주입된 glucose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cellulose 수율이 향상된 균주로 계량하였다. Mutant들 중 수율이 2배정도 향상한 균주에서는 cellulose를 비롯한 gluconic acid, 2-keto gluconic aicd, 5-keto gluconic acid의 비율이 parent strain과 차이를 보였고, 시간에 따른 acid 농도 분포를 살펴보면 수율이 증가한 원인 중에 mutant가 parent strain보다 합성한 acid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추론 할 수 있었다.

  • PDF

광합성세균 Rhodobater capsulatus PS-2의 대량배양 최적화 및 대사산물 분석 (Mass Cultivation and Secondary Metabolite Analysis of Rhodobacter capsulatus PS-2)

  • 봉기문;김종민;유재홍;박인철;이철원;김평일
    • KSBB Journal
    • /
    • 제31권3호
    • /
    • pp.158-164
    • /
    • 2016
  • Plant growth promoting (PGP) hormones, which are produced in a small quantity by bacteria, affect in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PGPs play an important role on the crop productivity in agricultural field. In this study, a photosynthetic bacterial strain producing the PGP was isolated from paddy soil. Bacterial isolate was gram negative, rod-shaped and motility positive. From th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Rhodobacter capsulatus PS-2. The mass cultivation of R. capsulatus PS-2 was optimized by considering of the carbon, nitrogen and inorganic salt sources. Optimal medium composition was determined as Na-succinate 4.5 g, yeast extract 5 g, $K_2HPO_4$ 1 g, $MgSO_4$ 5 g, per liter. From the result of 500 L fermentation for 2 days using the optimal medium, the viable cells were $8.7{\times}10^9cfu/mL$. R. capsulatus PS-2 strain produced the carotenoid and indole-3-acetic acid (IAA). The carotenoid extrac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were performed by HCl-assisting method. Total carotenoid contents from R. capsulatus PS-2 culture broth were measured as $7.02{\pm}0.04$ and $6.93{\pm}0.05mg/L$ under photoheterotrophic and chemoheterotrophic conditions, respectively.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IAA, colorimetric method was employed using Salkowski reagent at optical density 535 n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ontent of IAA was $197.44{\pm}5.92mg/L$ in the optimal medium supplemented with 0.3% tryptophan.